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지역축제 품질 인식에 따른 축제 성과인식과 지방정부-시민 관계성 연구

        지용승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5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5 No.2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지방정부-시민관계성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방정부-시민관계성 발전전략은 무엇인가에 대해 전주의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축제 품질인식이 지역축제 성과인식과 지방정부와의 시민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주시민을 대상으로 표본의 추출방식은 층화표출과 유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시정관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였고 특히, 축제품질 인식이 높을수록 성과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축제 성과인식은 정부-시민관계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축제품질인식이 직접적으로 정부-시민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으로 지역주민은 축제의 부분별 평가라고 할 수 있는 품질인식의 결과를 중심으로 지역축제에 대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을 구성하기 보다는, 지역주민들의 축제 참여 유도와 주민들과 지방정부가 함께 축제를 어떻게 개최하고, 어떤 성과(결과)를 나타내고 있느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에 대해 긍정적인 구축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즉, 지역주민은 지역축제에 참여함과 동시에 축제의 관람객의 역할도 하게 되기 때문에 두 가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제 자체의 객관적 평가보다는 지역주민의 입장에서 지역축제에 대한 성과가 나타났을 경우 이러한 성과는 지역주민들의 인식에도 지방정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만들게 되며, 이러한 성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을 형성하게 된다.

      • KCI등재

        축제품질 인식이 지방정부-시민 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주 대표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지용승,홍준현 한국지방자치학회 2014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6 No.2

        Local festival can affect the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performance by inter-networking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ublic.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itizen's perceived quality of local festivals affects the perception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 To find the components and measure the quality of local festivals and the perception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 we first us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since the perception of quality might be affected b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o local festivals, we divided target population into two groups: active and passive, and test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quality level in five categorie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through t-test. Then we employed O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itizen's perceived quality of local festivals on the perception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 To gather data we performed surveys on citizens of Jeonju City. The results showed that active participants had higher levels of perceived quality and government-public relations in all parts than passive participants. The effects of the citizen's perceived quality of local festivals on the perception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 are also higher in the active group than in the passive group. 지역축제를 통해 지방정부는 지역주민과의 원활한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을 수행함으로써 주민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지방정부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도 도움이 된다. 지역축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정부 차원의 시민 관계 형성의 정치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지역축제의 품질 인식이 지방정부-시민관계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지역축제 참여 수준에 따른 지역축제 품질 인식과 지방정부-시민관계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둘째, 지역축제 품질 인식이 지방정부-시민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축제 품질과 지방정부-시민관계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의 보다 효과적인 관계성 관리를 위한 지역축제 정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주지역의 대표적인 축제인 전주국제영화제, 전주한지축제, 전주비빔밥축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요인분석과 t-test,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전주시민을 대상으로 적극적 참여집단과 소극적 참여집단을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적극적 참여집단이이 소극적 참여집단에 비해 지역축제 품질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적극적 참여집단의 지방정부-시민관계의 형성 수준이 소극적 참여집단에 비해 높았다. 셋째, 소극적 참여집단에서 적극적 참여집단에 비해 축제품질 인식 수준이 지방정부-시민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이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지역축제와 지방정부-시민관계성:시정관심의 조절효과

        지용승 한국공공관리학회 2018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2 No.1

        This study shows that festivals perform any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and how the citizen's perceived quality of local festivals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high and low interest in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for the Jeonju local festival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itizens of Jeonju City, using stratified and purposive sampl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SEM are as follow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high and low interest, first it showed that higher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quality increased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outcome, and second showed that higher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outcome increased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Third, although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quality shows high, it appeared to be not directly influenced on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Finall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and the more objective evaluation made of the festival. Such an evaluation led to the local festival outcome, which in turn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able to show that the festival formed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with the festival outcome being centered on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rather th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festival itself. 본 연구는 전주의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시정관심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를 통해 지역축제가 지방정부-시민관계성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지방정부-시민관계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주시민을 대상으로 표본의 추출방식은 층화표본추출과 무작위추출방법을 사용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시정관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였고 첫째, 그 차이에 따라 축제 품질인식이 높을수록 성과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축제 성과인식이 높아지면 지방정부-시민관계성 인식도 좋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하지만 축제품질이 높다고 해서 그것이 직접적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시정관심이 높은 집단일수록 축제에 대한 참여인식이 높아 축제의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평가는 지역축제의 성과로 이어져 결국 지방정부와 시민 관계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었다. 즉, 축제 자체의 객관적 평가보다는 시정관심도에 따른 지역주민으로서 축제의 성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 NCRO(New Contribution Ratio of Outdoor Climate)개념을 활용한 공동주택 외부 온열환경 형성의 정량적 분석방법

        지용승,이수미,정은영,송두삼 대한설비공학회 201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11

        Interest in the field of residental environment has been on a rise due to the improvement of overall life quality in these modern times. This trend brought along a response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eco-friendly outdoor space as well as related academia in improving the outdoor environment, such as trying to understand the physical effects of an outdoor environment in a quantitative measure. However, calculating and predicting the physical effects of an outdoor environment is difficult as composition parameters are variable and interrelations among parameters are extremely complex. The following paper includes the suggested study of how the contribution ratio of outdoor climate(CRO) method is applied to an actual residental building block and shows the calculations of the CRO method as well. Through this calculated CRO method, an engineer is able to design a outdoor space referring to a conclusive quantitative result.

      • KCI등재

        지역축제의 품질인식, 성과인식, 시민관계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용승(池龍昇),홍준현(洪準賢)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 품질인식이 지역축제 성과인식을 매개로 지방정부-시민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주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품질인식이 높을수록 성과인식도 높아졌다, 둘째, 지역축제 성과인식은 지방정부-시민관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역축제 품질인식이 지방정부-시민관계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은 지역축제 품질인식 결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을 구성하기 보다는 지역주민들의 축제 참여 유도와 주민들과 지방정부가 함께 축제를 어떻게 개최하고, 어떤 성과를 나타내고 있느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이 긍정적으로 구축된다고 판단된다. 즉, 축제 자체의 객관적 평가보다는 지역주민의 입장에서 지역축제에 대한 성과가 나타났을 경우 지방정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만들게 되어, 이러한 성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을 형성하게 된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effects of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on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and effecting paths between perceptions of local festival quality and outcome and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itizens of Jeonju City.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employed as a main analytical method. The result of SEM is as follows. First, higher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quality increased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outcome. Second, higher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outcome increased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Third, although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quality shows high, it appeared to be not directly influenced on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For the analysis of these results, local citizens recognize how to hold local festivals, make a decision on formation of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by local festival outcome rather than results of perception of local festival quality. In other words, local citizens participated passively in the civic-led festival, playing dual roles as visitor of the festival and local resident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y formed the local government-public relations focusing on the outcome of festival as local citizens rather than objective evaluation on the festival itself.

      • KCI등재

        축제품질 인식이 지방정부-시민 관계에 미치는 영향

        지용승(池龍昇),홍준현(洪準賢) 한국지방자치학회 2014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6 No.2

        Local festival can affect the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performance by inter-networking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ublic.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itizen"s perceived quality of local festivals affects the perception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 To find the components and measure the quality of local festivals and the perception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 we first us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since the perception of quality might be affected b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o local festivals, we divided target population into two groups: active and passive, and test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quality level in five categorie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through t-test. Then we employed O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itizen"s perceived quality of local festivals on the perception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 To gather data we performed surveys on citizens of Jeonju City. The results showed that active participants had higher levels of perceived quality and government-public relations in all parts than passive participants. The effects of the citizen"s perceived quality of local festivals on the perception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 are also higher in the active group than in the passive group.

      • KCI등재

        지역축제와 지방정부-시민관계성

        지용승(池龍昇) 한국공공관리학회 2018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2 No.1

        본 연구는 전주의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시정관심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를 통해 지역축제가 지방정부-시민관계성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지방정부-시민관계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주시민을 대상으로 표본의 추출방식은 층화표본추출과 무작위추출방법을 사용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시정관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였고 첫째, 그 차이에 따라 축제 품질인식이 높을수록 성과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축제 성과인식이 높아지면 지방정부-시민관계성 인식도 좋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하지만 축제품질이 높다고 해서 그것이 직접적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시정관심이 높은 집단일수록 축제에 대한 참여인식이 높아 축제의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평가는 지역축제의 성과로 이어져 결국 지방정부와 시민 관계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었다. 즉, 축제 자체의 객관적 평가보다는 시정관심도에 따른 지역주민으로서 축제의 성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도구 연구: 유휴 공간 업-사이클링(up-cycling)과 세액공제 제도를 중심으로

        지용승 ( Ji Yong Seung ),최유진 ( Choi Eugene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사례를 대상으로 연방정부의 세액공제 제도가 유휴 공간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도시재생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사례 분석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미국의 대표적 세액공제 제도는 역사유산 세액공제 제도(historic preservation tax credit), 저소득층주택건설 세액공제 제도(low income housing tax credit)와 시장개척 세액공제 제도(new market tax credit)를 포함한다. 그동안 도시재생을 위한 우리나라의 재정 운용 방법은 재정을 마련하여 일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이었으며 이런 방식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세액공제 제도는 미국 도심지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도시재생을 위해 세액공제를 활용한 미국의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federal tax credit in the US including Historic Preservation Tax Credit, Low Income Housing Tax Credit and New Market Tax Credit is utilized in urban regeneration through up-cycling of abandoned spaces. The US urban renewal support system has increased the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On the other hand, Korea's financial investment method for urban regeneration was a method of intensive investment in a certain period. This approach may negatively affect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However, the US tax credits have a positive impact on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in the US using tax credits for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intends to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Korea.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마케팅 믹스 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지용승(Yong-Seung Ji) 한국지방행정학회 2021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8 No.3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믹스 우선순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사회적・경제적 성과달성을 위한 지속가능성 확대의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문별로 평가 지표를 확보하고, 카테고리 별로 평가지표를 분류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마케팅 7P 믹스 전략을 위한 상위계층의 중요한 우선순위는 제품, 과정, 판매촉진, 사람(인재), 가격, 유형적 증거, 장소 또는 유통경로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여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장 판로 개척의 필요 요인들을 찾아내고 우선순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의 재정 및 행정적 지원 이외에 장기적으로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경영 전략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정부의 정책도 강구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요인들에 대한 구체적 방안과 전략을 제시하는 데는 부족하지만, 이것은 추후 연구 과제이며,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마케팅 전략은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lternatives to expand sustainability to achiev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s by analyzing priorities of the Marketing Mix on social enterprise.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cured by sector through case analysis, and were classified by categories. The important priorities of the upper layer for the marketing 7Ps mix strategy were product, process, promotion, people, price, physical evidence, place(distribution channel) in the ord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ocial enterprise uses marketing strategies to find out the necessary factors for developing market channels to secure sustainability and examine their priorities. It is more effective to understand the long-term marketing management strategies of social enterprise and to design government policies. Although it is insufficient to present specific measures and strategies for each factor of the 7Ps mix, this can be a subject for future research,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 can be positioned as a very important research top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