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율주행 농기계를 위한 곡률 기반 적응형 추종 제어

        지세민 ( Semin Ji ),윤창호 ( Changho Yun ),김용현 ( Yong-hyun Kim ),김학진 ( Hak-ji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농촌의 고령화 및 농업 인구 감소로 인하여 농업에서의 노동력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농업에서의 자율주행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관련된 기술에 관한 연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노지에서의 자율주행 농기계는 GPS를 이용한 경로점 기반의 경로 추종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고, 작업이 진행되는 구간에서 횡 방향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계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한다. 본 연구는 경로의 곡률을 기반으로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고 경로 추종 알고리즘에 사용하는 인자인 전방 주시 거리의 변화를 통하여, 선회 후 직선 경로에 진입할 때의 횡 방향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리 정의된 여러 곡률을 가진 경로에서 횡 방향 편차를 최소화하는 속도와 전방 주시거리를 실험을 통하여 얻은 후, 이를 기반으로 곡률과 변수 사이의 관계를 모델링하였다. 경로의 곡률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농기계의 속도와 전방 주시거리를 결정하였다. 수정된 제어 방식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orai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에 GPS를 장착한 실험 환경을 구성하였다. 실험 결과는 고정된 속도와 전방 주시 거리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곡률 기반 추종 제어를 통하여 선회 후 작업 열에 진입할 때의 최대 횡 방향 오차가 감소하였다.

      • 과수원 로봇의 무인 자율과 수확량 모니터링을 위한 비전 센서 활용

        유승연 ( Seung-yeon Yu ),지세민 ( Semin Ji ),김용현 ( Yong-hyun Kim ),김학진 ( Hak-ji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과수원 내 무인 로봇은 스스로 주행하면서 과실 생육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찰해 과수원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과수원의 canopy로 인해 GNSS 수신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고 산재된 장애물을 회피하는 동시에 과실의 생육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전 센서의 활용 빈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2022년 9월 1일 농촌진흥청 농용로봇경진대회의 일환으로 비전 센서를 활용하여 자율주행과 과실 생육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ROS 기반 로봇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Turtlebot3 Burger에 2D LiDAR 센서와 IMU 센서, camera 2개를 설치하여 사용하였고, 과수 모형과 상자로 과수 환경을 모사한 실험 환경을 구성하였다. 2D LiDAR를 로봇 하단 전방에 설치하고 전방의 대각선 방향을 바라보도록 감지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과수 열 중앙으로 주행함과 동시에 장애물이 존재 시 회피가 가능한 주행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선회 시 회전각은 2D LiDAR로 측정한 과수원 벽까지의 거리 값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로봇의 odometry를 계산 시 IMU 센서의 초기화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특정 bias를 보정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과실의 생육 상태 정보는 다양한 환경에서 물체를 인식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YOLOv5를 활용하여 생육 상태에 따른 과실의 이미지를 학습시켜서 모델을 만들었다. 과수원 전체의 과실 생육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과수별 과실의 생육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이미지 상에서 특징점이 없는 각 과수를 구별해야 한다. 과수 하나를 인식할 수 있는 구역을 설정했고 각 구역에서의 odometry 값을 구하여 좌측 이미지와 우측 이미지의 과수 번호를 계산하였다. 이미지의 생육 상태에 따른 과실 개수와 계산한 과수 번호를 결합하여 과수별 과실 생육 상태를 맵핑하는 방식으로 과수 구별 문제를 해결하였다. 실험 결과, 로봇 플랫폼은 90% 이상의 확률로 충돌없이 안정적으로 주행하였고, 과실의 모니터링 결과는 90%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