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준비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지명원,이주연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2

        본 연구는 취업준비 대학생들의 전공만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경기와 충남지역 4개 대학의 4학년 학생 208명을 대상으로연구를 수행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전공만족과 취업불안, 취업불안과 긍정심리자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전공만족과 긍정심리자본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전공만족은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만족이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취업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전공만족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학과, 학교 취업진로센터 및 학생상담센터 등의 전공 및 심리·정서적 지원 조력 상담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부정적 심리요인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조절효과

        지명원,이주연 대한아동복지학회 2020 아동복지연구 Vol.18 No.1

        For this study, we used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o examine the effect of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that effect. We performed data analysis on 2,500 subjects, using SPSS 23.0 to conduct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For each of the study questions,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nd smartphone dependency. Second,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were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dependency. Last, leisure satisfact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perceived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on their smartphone dependency. .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대학생의 취업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지명원,이주연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취업에 대한 불안이 정신건강에는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졸업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 201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첫째, 취업불안, 정신건강, 회복탄력성 간에는 모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취업불안은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취업불안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은 높고, 희망의 수준은낮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취업불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에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취업불안의수준을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개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여가활동시설별 이용경험이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지명원,이강욱,이주연 대한아동복지학회 2023 아동복지연구 Vol.21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leis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event problems that may arise related to children's mental health and to provide timely help through early detection. For the study,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to examine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facilities us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2,882 cases in 2020,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leisure activities facilities(public libraries, sports facilities, and culture & art spaces) less than one to two times per year was the most common case, and the case of not using youth facilities was the most common cas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isure activities facilities using experience on children’s depression and self-esteem,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among the using experience of public libraries, youth facility, sports facilities, and culture & art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agencies to prepare leisure activity facilities for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성취압력이 아동의 학업수행능력과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지명원,이주연 대한아동복지학회 2022 아동복지연구 Vol.20 No.2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on the child’s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and academic stress together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examined by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from 2019 concerning 1,390 childre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the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The higher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the lower the child’s academic performance level.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affected the child’s academic stress. The higher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level, the higher the children’s academic stress level.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effect of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on the child’s academic performance was verified. Las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effect of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on the child’s academic stress was verif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consideration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ego resilience, which a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s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and reducing academic stress.

      • KCI등재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지명원,이주연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2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workers' ego-resilience and stress-coping methods on their job stress, and we carried out research setting the limit of the emotional workers surveyed to childcar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emotional workers' ego-resilience on their job stress, an activity factor with children, a factor related to their tasks, a factor of administrative support, a factor related to personal relations, a factor related to economic stability, and a factor related to individuals had effects as the study found. It is clear that the higher their ego-resilience is, the lower their stress arising from the activity factor with the children, stress related to their tasks, stress arising from their administrative support, stres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 stress of economic stability, and stress related to individuals are perceiv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motional workers' stress-coping strategies on their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in the activity factor with the children, the factor related to their tasks, the factor of administrative support, the factor related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 the factor of economic stability, and the factor related to the individuals,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which are coping strategies with stress are factors having effects. It was observed that among their stress-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active and passive coping method levels with stress are, the lower their job stress is perceived. Therefore, programs are needed to increase emotional workers' ego-resilience and ways coping with stress, which is a key element to providing psychological well-being to children who are given childcare as well as decreasing childcare teachers' personal job stress. 본 연구는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두고, 연구대상인 정서노동자를 보육교사로 한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정서노동자인 보육교사는 인천과 경기도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44명을 대상으로 연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원아들과의 활둉요인, 업무관련 요인, 행정적 지원 요인, 대인관련 요인, 경제적 안정 요인, 개인관련 요인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을 높을수록 원아들과의 활동요인 스트레스, 업무관련 스트레스, 행정적 지원 스트레스, 대인관련 스트레스, 경제적 안정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는 낮게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서노동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원아들과의 활둉요인, 업무관련 요인, 행정적 지원 요인, 대인관련 요인, 경제적 안정 요인, 개인관련 요인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인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정서노동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운데 적극적 대처방식, 소극적 대처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는 보육교사 개인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줄 뿐만 아니라 보육의 대상인 아동에게 심리적인 안녕감을 제공해 주는 것에도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명원,조태영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6

        By examining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y among adolescents ha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consequently, the effects that leisure satisfaction has 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this study identifies and confirms the link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ound and healthy leisure culture for adolescents. Two hundred and forty fou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SPSS 12.0, AMOS 7.0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leisure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Second, leisur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Third, leisur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Lastly,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These findings run consistent with numerous reported studies on this subject, and as such, bring attention to the need for increased leisure facilities program for adolescents continuous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In addition, proper leisure education is needed to increase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여가만족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계규명을 통하여 청소년의 건전한 여가문화 확립에 기여할 수 있는 여가의 역할을 입증함과 동시에 여가의 순기능을 정착시킬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44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여가만족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여가만족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지속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여가시설의 확충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적절한 여가교육을 실시하여 스스로에 대한 소중함과 자신감 및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旅行社 組織構成員의 經歷沒入과 移職意思와의 關係 -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불안의 조절효과 -

        지명원,유정림,김영국 한국관광학회 2009 관광학연구 Vol.33 No.7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employees in travel agencies. Analysis of the survey data from 184 employees in 19 Korean travel agencies indicated that locus of control, job characteristics at individual leve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t group levels had all positive effects on career commitment. Results also showed that career commitment was marginal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job insecur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terestingly, job insecurity changed the moderat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to a negative relationship.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관광업체 종사자의 잡스케이프(jobscape)와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지명원,이강욱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들의 직무만족감 개선을 위한 심리학적 융합연구이며, 관광업체 종사자의 잡스케이 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러한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여행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정서적·사회적 환경을 포함하는 잡스케이프는 심리적 복지감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안녕감에는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소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잡스케이프와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업체 종사자들의 심리적 복지감에는 잡스케이프가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조절변 수임을 밝힘으로써 관광업체 종사자의 자아탄력성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was psychological convergence research for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emotional worker, and verified the effects of jobscape on psychological welfare and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jobscape and psychological welfar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SPSS 20.0 program based on surveys from workers in travel agency in Seoul. As a result, jobscape that includes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enviro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Moreover, ego-resilience plays a moderating role in relation among these factor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jobscape is an important factor in psychological welfare of the employees in tourism industry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employees’ ego-resilience by revealing ego-resilience as an important moderating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