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조 집권 과정에서의 내종친의 정치성향

        지두환(Ji, Doo-Whan)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9

        조선초기 15세기 정치세력과 정치 경제 사회 사상 문화의 변화를 정리해 보면, 세종 성종대로 이어지는 개혁이 잠시 왜곡되었던 시기가 세조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종이 재위 2년 3개월만인 문종 2년(1452) 39세로 승하하고, 12세의 어린 단종이 조선 제6대 왕으로 등극하자, 왕실과 조정은 어린 임금을 보호하려는 세력과 어린 임금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하려는 세력으로 나뉘게 된다 왕실에서는 단종을 보호하려는 세종 3남인 안평대군 세력과 단종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하려는 세종 2남인 수양대군 세력으로 나뉜다. 조정에서는 문종의 유명(遺命)에 따라 단종을 보호하려는 영의정 황보인, 우의정 김종서 등과 왕위를 찬탈하려는 한명회, 권람 등으로 나뉘었다. 왕실 친인척으로 단종 보호세력은 금성대군과 의안대군 집안과 영빈 강씨, 혜빈 양씨 집안, 안평대군 처가인 연일정씨, 문종비 현덕왕후 집안인 안동 권씨 등이었다. 찬탈세력은 임영대군, 영응대군과 신빈 김씨, 수양대군 처가인 파평 윤씨 등이었다. 이렇게 볼 때 세조는 찬탈 과정에서 왕권을 지키고 왕권을 강화하는 왕실 종친 세력을 몰살하면서 찬탈을 하였다는 것이 자명하게 드러났다. 그래서 오히려 세조대 이후는 왕권 강화보다는 한명회, 권람 등 세조찬탈 공신세력과 외척 세력이 훈척으로 왕권을 좌우하는 시기가 되었던 것이 자명해졌다. 따라서 세조집권과정에서 왕권을 보호하려는 왕실 종친세력과 왕권을 약화시키려는 신권세력의 대립으로 보아 세조찬탈이 왕권강화와 부국강병을 위해 불가피했던 것으로 보았던 기존 연구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rough a study of changes in political forces, politics, economy, society, ideology, and cultur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15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at reformation efforts, which had been sustained during the reigns of King Sejong and King Seongjong, became distorted for a time. King Munjong died in the 2nd year of his reign at the age of 39, only 2.3 years after ascending to the throne, and Danjong was crowned the 6th king of the Joseon Dynastry at the age of 12. This led to the royal family and the royal court being divided into two groups: one seeking to protect the young king and the other seeking to drive him out and usurp the throne. The royal family was once again divided into two forces: one led by Grand Prince Anpyong, the 3rd son of King Sejong, who wanted to protect King Danjong, and the other led by Grand Prince Suyang, his 2nd son, who wanted to kill Danjong and seize the throne. The royal court was likewise divided into two forces: one centering around Yeongeuijeong (Chief State Councilor) Hwang Bo In and Uuijeong (Right State Councilor) Kim Jong Seo, who wanted to protect Danjong, as instructed by the last words of Munjong, and the other centering around Han Myung Hoi and Kwon Ram who wished to usurp the throne. The royal relatives wishing to protect Danjong included the families of Grand Prince Geumseong and Grand Prince Uian, the families of the Yeongbin Gang clan and the Hyebin Yang clan, as well as the Yeonil Jeong clan, the families of the in-laws of Grand Prince Anpyong, and the Andong Kwon clan, the families of Queen Hyeongdoek, the wife of King Munjong. The forces that wanted to seize the thrown consisted of Grand Prince Imyeong, the Sinbin Kim clan, and the Papyeong Yoon clan, who were the families of the in-laws of Grand Prince Suyang. It is self-evident that King Sejo usurped the throne by wiping out the relatives and clans of the royal family who wished to protect and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It is also obvious that the royal authority, rather than being strengthened, was controlled by the forces that contributed to Sejo's usurpation, such as Han Myong Hoi and Kwon Ram as well as Sejo's maternal relatives once he ascended to the throne. Some existing research papers present the view that Sejo's usurpation was inevitable in light of the ne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foster national prosperity and produce a stronger military. These are flawed, however, given the conflicts which occurred over the course of King Sejo's rise to the throne, between the clans within the royal family which wanted to protect the royal authority and the forces which upheld divine right and wished to reduce the royal authority.

      • KCI등재후보

        사학(史學) :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경세사상(經世思想)

        지두환 ( Doo Hwan J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2 No.-

        그동안 조선후기에 가장 보수적인 사상가로 우암 송시열을 지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유교망국론에 입각한 시각이었다. 우암 송시열을 보수적이라고 하려면 우선 노비제 문제나 양반호포론 문제나 대동법 개혁문제나 구휼정책에 대해 우암 송시열이 보수적인 정책을 주장하고 실천해 갔는가를 검토했어야만 했다. 그러나 그 동안은 유교망국론의 선입관 때문에 이에 대한 검토 조차도 하지 않고 무조건 보수주의자로 몰아 부친 감이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암 송시열의 사회경제정책을 노비제 양반호포론 대동법 구휼정책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사회경제정책 모든 면에서 우암은 당시 남인 세력보다는 물론이고 서인 정치세력들보다도 훨씬 개혁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암은 율곡 이이가 주장한 노비종모종량법을 법제화 시키고, 영조 때 시행되는 균역법의 전반적인 골격을 유계 이유태 송준길과 의논하여 확립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양반호포론을 국론으로 부각시켜 갔다. 그리고 조선성리학의 이념에 입각하여 정전제를 조선후기 현실에 맞게 실천하는 대동법을 율곡의 이념을 충실히 계승하면서 실천해 갔다. 이는 공물 전세 요역 모두를 합하여 10분의 1을 거두는 이상적인 정전제의 실현이었다. 그리고 정전제를 실현하여 달성하려는 국가재정이나 사적인 재산보다는 민생 안정을 기본으로 하는 구휼정책을 충실히 실천해갔다. 이는 사창제의 주장이나 환곡 포흠 등의 탕감 정책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우암은 율곡이 제시했던 조선성리학에 입각한 이상사회를 이루기 위하여, 현실적으로 역할을 달리하는데서 나오는 차별을 인정하면서도 본질적으로는 모든 사람이 평등한 것을 추구하는 사회경제정책을 주장하고 추진해 갔다. 따라서 앞으로는 사회경제정책을 비교하여 개혁 보수를 나누는 연구가 학계에서 진행되어, 당파에 입각하여 선입관을 갖는 연구를 극복해 나갔으면 한다. Woo-arm(尤庵) Song Si Youl(宋時烈) had been considered as the most conservative political thinker. However, this was a sight based on You-Kyo-Mang-Kuk-Ron(儒敎亡國論). If he was a conservative thinker, we would have to review for his behavior regarding the Slavery problem, Innovation problem of Dae-Dong-Bub(大同法改革問題), Policy of Gyu-Hyul(救恤定策) as conservative opinion. But It was appeared as an unfair deal with this subject, because there was no discussion and we just pushed his images as a conservative thinker by preconceived-idea of You-Kyo-Mang-Kuk-Ron(儒敎亡國論). Especially, the slavery policy already had particular Ph.D thesis but the academic world had never accepted it. This thesis figured out Yoo-arm(尤庵) Song Si Yul(宋時烈)`s social economic policies totally which are separated into Slavery system, Yang-Ban-Ho-Po-Ron(兩班戶布論), Dae-dong-bub(大同法) the relief to poors. And in conclusion, Yoo-Arm(尤庵) was far more innovative rather than Nam-in(南人) and Seo-in(西人) also. Yoo-arm(尤庵) made No-Bi-Jong-Mo-Jong-Ryang-Bub(奴婢從母從良法) to legislation system which Yul-Gok(栗谷) Lee-Eh(李珥) claimed. He established general frame of Kun-Yuk-Bub(均役法) with You-Gye(兪棨), Lee You Tae(李惟泰) and Song Jun Gill(宋浚吉), and he drove Yang-Ban-Ho-Po-Ron(兩班戶布論) to national opinion for Kun-Yuk-Bub(均役法)`s operation. He followed Yul-Gok(栗谷)`s thoughts and practiced Dae-Dong-Bub(大同法) which was a tax law changed Jung-Jun-Je(井田制) based on the environment and Cho-Sun-Sung-Ri-Hak(朝鮮性理學). This was the realization of ideal Jung-Jun-Je(井田制) which collects 1/10 for total, combining Kong-Mul(貢物), Jun-se(田稅), Yo-Yuk(요役). And Jung-Jun-Je(井田制) performed giving relief to poors successfully rather than achievement of national finance or private wealth. This was appeared for canceling of dept policy such as claims for Sa-Chang-Je(社倉制) or Han-Kok-Po-Hum(還穀逋欠). Yoo-Arm(尤庵) recognized the discrimination from gaps between real situation and ideal situation based on Jo-Sun-Sung-Ri-Hak(朝鮮性理學). However, He claimed social economic policies which was pursued that all mankind were essentially equal. From this point I expect further research process that divides characters by comparing social economic policy. So that can get over the old preoccupied stud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조선전기(朝鮮前期) 사족세력(士族勢力)의 형성(形成)과 변천(變遷) -사계(沙溪) 금장생(金長生) 집안을 중심(中心)으로-

        지두환 ( Doo Hwan J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본고는 광산 김씨 사족동향을 고려 후기에 주자성리학을 받아들여 신흥사대부로 등장하는 양간공(良簡公) 김련(金璉) 계의 형성과 변천을 통해 살펴본 것을 이어, 16세기에 조선성리학을 발전시키면서 이를 예학(禮學)으로 집대성하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광산 김씨 집안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살펴보았다.. 김약채의 아들 김문(金問)은 허응(許應)의 딸 양천 허씨와 혼인하여 조선초기 신흥사대부로 등장한다. 그러나 김문이 일찍 죽자 양천 허씨는 아들 김철산(金鐵山)을 데리고 연산 시집으로 낙향하여 집안을 일으킨다. 김철산은 김명리(金明理)의 딸 안동 김씨와 혼인하여, 당시 태종 후궁 집안이 되는 훈척 집안과 사돈이 되어 세종대에 훈척 집안으로 등장한다. 김철산의 아들 김국광(金國光) 김겸광(金謙光)은 세조대에 공신이 되며 성종대에 공신과 재상을 겸하는 훈척 집안으로 등장한다. 김국광의 아들 김극뉴(金克뉴)는 연산대에 김일손(金馹孫) 등과 소릉복위를 주장하였다. 김극뉴의 집안은 아들 김종윤(金宗胤), 손자 김호(金鎬), 증손자 김계휘(金繼輝)로 이어지며 사림 집안으로 성장한다. 김겸광의 아들 김극핍(金克핍)은 연산군 대에 갑자사화를 당하여 유배갔다가, 김헌윤(金憲胤)의 아들 김인경이 중종부마가 되면서 중종 부마 집안으로 등장하면서 훈척 가문으로 성장한다. 선조대에는 김계휘 김은휘가 등장하면서 서인 사림의 핵심인물로 등장한다. 김계휘의 아들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에 오게되면 광해군대 사림의 종주로 등장하여 인조 반정을 주도하는 사림으로 성장하여 아들 신독재 김집(金集) 대에 오게 되면 인조대 산림으로 주도하게 된다. This study looked at the movement of the noble Kim family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family line of Yang Gan Gong (良簡公) Kim Ryeon (金璉) who embraced the neo-Confucianism of Zhu Xi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to become a newly rising Sadaebu (noble man),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the family of Sagye(沙溪) Kim Jang Saeng (金長生) who developed Joseon neo-Confucianism to compile yehak (禮學, The Study of Ritual Thoughts) in the 16thcentury. Kim Moon(金問), the son of Kim Yak Chae, married the daughter of Heo Eung(許應) of Yangcheon and became a newly rising Sadaebu (noble man) during the earlier Joseon period. However, Kim Moon died soon after and his wife went with their son Kim Cheol San(金鐵山) to live with her parents-in-law at Yeonsan and restored the family`s glory. Kim Cheol San married the daughter of Kim Myeong Ri(金明理) of Andong, a family of a concubine to King Taejong. Kim Cheol San`s family thus became an honorable relative to the king. Kim Cheol San`s sons, Kim Gook Gwang(金國光) and Kim Gyeom Gwang(金謙光), became vassals of merit to King Sejo Thus, Kim Cheol San`s family became an honorable family to the king as vassals of merit and ministers by the time of King Seongjong`s reign. Kim Gook Gwang`s son Kim Geuk Nyu(金克뉴) asserted restoration of Soreung with Kim Il Sohn. Kim Gook Nyu`s family grew into a Sarim family and was continued by son Kim Jong Yoon(金宗胤), grandson Kim Ho(金鎬), and great grandson Kim Gye Hwi(金繼輝). Kim Gyeom Gwang`s son Kim Geuk Pib(金克핍) was exiled during the Second Literati Purge of 1504 under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As Kim Heon Yoon(金憲胤)`s son, Kim In Gyeong became King Jungjong`s son in-law, Kim`s family became an honorary relative to the king and prosper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Kim Gye Hui and Kim Eun Hui emerged as key figures of Seoin Sarim. By the time of Kim Jang Saeng(金長生), Kim Gye Hui`s son, Kim clan grew to the head of Sarim during King Gwanghaegun and led the Injo restoration coup. By the time of Sin Dok Jae Kim Jib (金集), Kim clan led Sallim(山林)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 임진왜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지두환(Ji, Doo-Hwan)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조선후기에 성리학의 의리명분에 따라 절의를 지킨 충신열사들을 어떻게 현창하면서 양란이후 조선왕조의 문화적 자존심을 지키고 영정조 문예부흥기의 기반을 닦아나갔는가를 조명하였다. 조선후기 충신 현창 정책은 學行一致를 주장하는 心學에 입각한 조선성리학이 정착하는 과정과 일치했다. 선조대에는 임진왜란 충신 순절자들을 우선 贈職하였다. 그러나 사당건립과 시호 추증은 인조 효종 현종대에 이루어졌다. 숙종 7년에는 그동안 2품이상의 훈신에게 내리던 諡號를 절의지사에게 내리는 贈諡가 행해지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임진왜란에 순절한 의병에게는 시호를 내렸지만 병자호란에 순절한 충신열사에게는 미루어졌던 것이 숙종 7년부터 공식적으로 내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숙종 30년(1704)에 만동묘가 인정되고 大報壇이 건립되면서 충신열사에 대한 현창이 더욱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러한 충신열사 현창은 영조 30년(1754) 훈신에게만 내리던 不?之典을 절의지사에게도 내리면서 절정을 이루게 된다. 이는 정조 순조로 이어지면서 議政으로 증직하여 임금이 치제하고 不?之典으로 정하고 봉사손을 녹용하는 단계로 올라가면서 충신 열사 현창은 가장 중요한 국가적인 행사가 되었다. A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how advocate faithful subjects who are loyal to their principle and uphold a cause according to Neo-Confucianism after both war. And the Joseon Dynasty keeps their cultural pride during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I focus on these. A policy that advocate faithful subjects a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is equal to the process that The Joseon Neo-Confucianism(조선성리학) based on school of mind(心學) takes root in society. The policy of faithful subjects according to consensus of learning and virtue(學行一致)) takes root in the Joseon Dynasty from King Sukjong to King Yeongjo. And then give government posts to dead vassals(贈職) and build a ancestral shrine in King Injo, King Hyojong and King Hyeonjong"s periods. Next, give a posthumous title to dead vassals(贈諡) in King Sukjong"s period. At last, It works up to enshrine their ancestral tablet forever(不?之典)in King Yeongjo"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