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지덕영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9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udging that the existence of a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is related to the expertise of the common science map. To that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June to August 2018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nd multiple choice questions were analyzed as statistical processing and descriptive questions as topical model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teachers with a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had a high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nd the response average was high in all areas of value, direction and success condi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e average response of teachers with a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was also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ith a common science teacher qualification.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strength of science education and ESD integration, but the difference was that teachers with a common science teaching certificate focused on science in all topics and recognized science as a medium for each topic compared to teachers who did no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교사자격증 유무가 공통과학 지도의 전문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3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객관식 문항은 통계처리를, 서술형 문항은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방향, 성공조건의 모든 영역에서 응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인지도 및 과학교육과의 통합 필요성 및 통합 의향의 응답 평균도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가진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 시 강점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의 큰 인식 차이는 없었으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비해 모든 Topic에서 과학을 중심으로 두고 과학을 각Topic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접목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

        지덕영,손연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는 시대적 배경으로 통합성을 강조하고 과 학적 소양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교육의 효과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과학수업에서 관찰 가능한 세계관 기반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접목한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고등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 과 학생들은 스스로 자신의 가치관을 파악하여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고 의사결정하는 과정에서 생태주의의 세계관으로 전환이 일어난 것을 볼 수 있었다. 프로그 램 적용과정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각 교과 내용과 교사 세계관의 불일치로 인한 학생들의 가치 충돌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을 파악하고 수업 과정에서 다양한 측면의 가치에 접근하는 과정 중에 학생들의 세계관이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개인 의 가치관 영역에서 세계관은 과학교육에서 확대 적용 하여야 하며 교사 및 교과 내용의 세계관에 대한 이해 도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세계관으 로 대표되는 개인의 가치관 영역의 접근이 학생의 근 본적인 변화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study developed and analyzed programs that incorporate observable worldviews-based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science classes to emphasize integration with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achieve effective goals of science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scientific literacy.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actual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were able to see the transition to the worldviews of ecology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various values and making decisions by identifying their own values. Students' worldviews were found to be at odds dur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ir worldviews and approaching values in various aspects of the class due to the conflicting values of each curriculum and teacher worldviews. In the area of individual values, the worldviews should be applied in sci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views of teachers and curriculum contents is also requir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access to the area of individual values represented by the worldview in science education will help students change fundamental.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과학교육의 통합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인식

        지덕영,맹희주,손연아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ESD 의미에 대한 인지, ESD와 과학교육의 통합에 대한 인식과 ESD와 과학수업을 통합했을 때 기대되는 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특히 초․중등 학교급과 통합과학교육 인지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ESD와 과학교육의 통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중등 과학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ESD인지 정도, ESD와 과학교육의 통합의 필요성과 적용 의향, 과학교육에 추가하면 좋을 ESD 교육목표, 통합 시 기대되는 강점, 그리고 인지/기능적, 태도적 측면의 기대되는 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객관식 문항은 기술적 통계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서술형 문항은 집단 간 인식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집단별 단어 출현 빈도와 함께 전체 네트워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알아보는 연결정도중심도성을 표와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ESD 의미, ESD와 과학교육의 통합의 필요성, 적용 의향 등에 대해 평균이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ESD에 대한 인지 정도는 가 높게 나타났다. ESD와 과학교육을 통합할 때,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실천․체험형 수업을 통한 학생 역량 발견 및 진로 탐색을, 고등학교는 실천이나 체험보다는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 시스템적 사고 등의 역량 함양을 중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합과학교육의 인지도가 높은 집단에서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 시스템적 사고 등의 역량 함양’을, 인지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실천․체험형 수업을 통한 학생 역량 발견 및 진로 탐색’을 과학교육에 추가하여야 할 ESD의 목표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SD와 과학교육을 통합했을 때 강점에 대한 응답의 주요 키워드는 ‘사회, 문제, 가치, 사고, 해결’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합과학교육에 대해 이해를 잘하고 있는 과학교사들은 특히 ‘가치’의 측면을 ESD와 과학교육을 통합할 때의 강점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ESD와 과학교육을 통합했을 때, 인지/기능적 측면에서는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창의적사고, 논리적사고력’, 그리고 태도 측면에서는 ‘자아효능감, 책임감, 감수성, 관계형성, 다양성’이 함양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eaning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eir awareness of the integration of ESD and science education, and their expected competences when integrating ESD and science education. For this study, we surveyed 360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the whole area of Korea. As a result,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understood the meaning of ESD more than average. And they were more than average positive about the need to integrate ESD with science education and the willingness to apply ESD to classes. ESD goals, which ESD would like to add if possible when integrating ESD with science education, are focused on "discovering students' competences and career exploration through practical and practical class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on the competences of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creative thinking, and systemic thinking" in high schools. In response to the strong points of integrating ESD with science education, the main keywords were "social," "problem," "value," "thinking" and "solution." In particular, science teachers with a strong understanding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consider the aspect of 'value' as their strength when integrating ESD with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 KCI등재

        지역 연계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꿈의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지덕영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3 No.3

        이 연구는 지역 사회 연계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명으로 경기꿈의학교 공모사업에 신청하여 선발된 학생들이었다. 지역 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프로젝트로 개발되었으며, 전문가 검토 과정을 거쳐 16주차 76차시로 개발하였다. 효과분석을 위해 환경태도 검사지(CHEAKS)를 사용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연계 환경교육은 초등학생들의 환경태도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지역 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환경일반, 환경오염, 기후변화, 에너지 등 각 주제에 대한 환경태도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지역 연계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수업 후 학생들에게 실천하는 태도로 전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communitybonding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A total of 20 research participants from Gyeonggi Dream School applied for the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e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s a project with 76 sessions conducted over 16 weeks, based on the developmental experience of expert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response sample t-test and success relationship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 test (CHEA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nked local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Second,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environmental attitudes on various topics, such as the gene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environmental change, and energy. Therefore, the region-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attitudes of the student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further region-based environmental programs.

      • KCI등재

        통합과학 프로그램 개발과정이 예비교사의 학습동기 및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 : 가치관과 소프트웨어 접목을 중심으로

        지덕영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3

        이 연구는 사회적 요구에 의해 강조되고 있는 집단 지성, 가치관,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예비교 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로 첫 째, 집단지성을 활용한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예비교사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켰다. 특히 수행과정에 서 학습동기가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집단지 성 기반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예비교사들의 집단지성 역량을 함양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 시연, 피드백하는 전 과정에서 집단의 긍정적 영향이 발현되 었다. 셋째, 과학 교과에 소프트웨어와 개인의 가치관 은 접목할 필요가 있으나 이를 위해 전문적 지원이 필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n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group intelligence, values, and software application in response to societal demands.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utilizing group intelligence enhanced the learning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particularly demonstrating improvements during the implementation phase. Secondly, the group intelligence-based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cultivated the group intelligenc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manifesting positive effect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demonstration, and feedback. Thirdly, it was evident that the integration of software and individual values into science curriculum requires specialized support.

      • KCI등재

        초․중등 학교급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지덕영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의 목표와 통합과학교육의 인지, 과학수업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통합의 방향, 그리고 통합과학교육의 가치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과학교사들은 과학교육의 목표 중 자연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생각였고, 초, 중학교 과학교사들은 과학을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고등학교 교사들은 과학의 핵심 개념이해를 중요한 과학교육의 목표로 생각하였다. 학교급이 높고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통합과학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은 과학수업과 생활과의 연계를, 통합과학의 가치는 과학 지식영역간의 상호 관련성 증대로 인한 학습효과 증가 및 자연현상의 통합적 이해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통합과학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각 과학교과 내용의 충분한 이해와 함께 다양한 통합의 경험이 제공되어야 함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verall percep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includi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recognition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direction of integration, and valu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awareness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mong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teachers thought that solving problems scientifically with curiosity and interest in natural phenomena was the most important goa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hought of science as the ability to scientifically explore the problems of everyday life, and high school teachers thought of science as the goal of science education that is important.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school level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better one is awar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The integrated school education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ink between science classes and life in the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recognized the increase in learning effects caused by increased inter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knowledge areas and the integration of natural phenomena as the valu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the teacher in charge of integrated schoo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integration experiences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each science textbook.

      • KCI등재

        텍스트 네크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세계관 접목 통합과학교육 수업 설계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인식

        지덕영(Ji, Dukyoung)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3

        이 연구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민주시민으로서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개인의 가치관 영역인 세계관을 통합과학교육과 접목하여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실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과학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계관이라는 개인의 가치관 영역을 통합과학교육에 접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이를 다양한 가치가 포함되어 있는 시각으로 스스로 분석할 수 있는 수업 주제가 적합하다. 특히 에너지나 환경의 주제가 이에 적합하다. 또한, 세계관 접목 수업을 위해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자료와 실제 수업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수업 과정에서는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할 수 있는 수업의 단계가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토론과 같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필요하다. 세계관은 사람마다 사고하는 기준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과학교육에 접목하는 것은 중요하며, 학생활동 중심의 수업, 에너지 환경문제와 같은 다양한 사례 제시, 학생 스스로 자신과 인간 전체에 대해 성찰해 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세계관 접목 통합과학교육을 위해서는 교사에 대한 충분한 안내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performing classes by combining individual values, worldviews, with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required by democratic citize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order to incorporate the area of individual values of worldview into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 subject of the class is appropriate to objectively observe one s thoughts and analyze them by oneself from a perspective that includes various values. In particular, the subject matter of energy or environment is appropriate. In addition, data on the role of teachers and actual class programs are needed for worldviews classes. In the course of the class, a class step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to think and think about themselves, and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should be necessary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It is important to incorporate this into science education because the worldview provides the criteria for people to think, and it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on the human as a whole. This integrated worldviews and education requires sufficient guidance for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