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 주류화 하기(Doing gender-mainstreaming)”의 가능성 탐색

        주혜진(Chu, Hyejin)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4

        이 연구는 1995년 ‘베이징 행동 선언’ 이후 한국사회에 제도로 정착되고 있는 ‘성주류화’가 지방자치단체에서 확산되는 과정이 정부 공무원과 관련 전문가를 중심으로 너무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성 주류화가 시민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책 사업의 성평등한 결정과 추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성 주류화의 확산을 시민사회 여성 활동가들이 애초 제안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시민 및 여성 활동가들과는 괴리된 모순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현장의 여성 활동가들과 시민이 성 주류화의 확산과정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은 최근 ‘젠더 거버넌스’의 구성과 활성화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지만, 과연 현장 활동가들과 시민인 여성들이 젠더 거버넌스에 정부 및 전문가들과 동등한 입장에서 참여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 연구는 2012년 대전시 출연 연구기관에서 실험적으로 수행해 본 ‘시민 성별영향분석평가단’ 운영과 그 결과를 분석하면서, 시민사회 여성 활동가들과 보통의 시민인 여성들이 어떻게 젠더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파악해 보았다. ‘시민 성별영향분석평가단’의 활동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성 주류화 하기(Doing gender-mainstreaming)’이면서, 동시에 젠더 거버넌스에 참여하는 시민사회 여성들이 거버넌스 참여 주체로서의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젠더 거버넌스의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참여 주체들의 자발성과 공동체 의식 등, 참여 자체를 위한 요건도 매우 중요하지만, 참여 주체가 지닌 자산, 즉 역량과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다. 시민 성별영향분석평가단 활동을 통하여 참여자들은 성인지 관점을 발견하고 형성하면서 젠더 입장을 가지게 되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평가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맥락적 지식(situated knowledge),’ 즉 젠더 지식을 생산한다. 이들이 생산한 개별적이고도 고유한 ‘입장과 지식’은 시민 사회 여성들이 앞으로 젠더 거버넌스 참여 주체로서 갖추게 될 독특한 역량 및 전문성이자 자산이 될 것이다. Along with the unique and remarkable achievements of gendermainstreaming policies, there may at the same time also be unforeseen risks. As GIA is increasingly practiced in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if the progress influence women’s lives in gender-responsive way. People “who have continued to pay attention to improving women’s lives” refer to women’s rights activists, gender experts, and some civil movements activists. Do they still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spread of gender-mainstreaming? Are those who presented their ideas on the instruments of gender-mainstreaming strategies and embarked on political struggles to get their views incorporated into the administrative policy for over a decade still involved? In this research, participants of the civic GIA working groups in Daejeon demonstrate how individualized gender knowledge and standpoint are developed through “doing gender-mainstreaming.” This civic GIA working groups purposed to get the public to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gender mainstreaming strategies, including presenting their thoughts and listening to others at the meetings. These experiences provided the civic GIA member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d firsthand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paid attention to recipients’ responses and challenges the implementation body faces to interpret the whole process from a gender-responsive perspective. In terms of this, this procedure can be termed the ‘field-based GIA by the public’ or “civic GIA working group.”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of policy scenes, and pondering and writing experiences contributed to develop individual gender knowledge and standpoint. This individual gender knowledge and standpoint would be the salient elements of gender governance bringing significant improvements in gender mainstreaming strategies.

      • KCI등재

        수퍼우먼의 비애

        주혜진(Hyejin Chu)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5

        인지부조화란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태도와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한 경우, 이 행동을 상황 탓으로 돌릴 수 없게 되었을 때 경험하는 심리적인 불편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조직사회 소수자들이 경험하는 인지부조화의 조건과 그 대응 방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여성과학기술인 집단의 구술을 질적 분석한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 근무하는 16명의 여성과학기술인들을 심층 인터뷰하고,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주제어와 범주를 정해 ?인지부조화?개념을 활용하여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틀을 구성했다. 인지부조화의 발생 조건과 대응에 성별 정체성(gender)은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성(性)이 다수를 차지하는 조직사회 내 남성과 여성의 심리적 긴장을 다룬 유사 연구들에서도 소수자들의 극복 전략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여성과학기술인들의 인지부조화 경험 및 대응 전략들과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 ?과학기술은 남성의 일?이라는 태도는 사회적 상황 및 상호작용을 통하여 체득된다. 여성과학기술인들은 과학기술관련 직장에서 남성이 아닌 여성으로 존재하고, 과학기술분야에 종사(연구)한다는 점 때문에 태도와 충돌하는 인지부조화를 경험하며, 인지부조화로 인해 훼손된 자아 정의 및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하여 인지부조화 해소에 적극적이게 된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인지부조화를 경험한 개인들의 부조화 해소 전략을 크게 ?행위 변경?, ?인지부조화 발생 요인의 부정? 그리고 ?새로운 인지 내용의 추가?로 구분하는데, 여성과학기술인들은 인지부조화 발생요인을 부정하거나, 새로운 인지내용을 추가하는 전략을 통하여 ?상징적 자기-완성(symbolic self-completion)?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자기 효능감의 극대화이기도 한 이 전략은 소위 ?수퍼우먼 신드롬?과 일맥상통한다. ?상징적 자기-완성?은 긍정적 자아 개념을 강화한다는 면에서 개인적으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공론화와 정치가 부재한 이러한 전략은 이 전략이 발생한 사회적 맥락과 경험, 특히 2000년대 초반의 IMF경험과 이후 폭발적으로 확산된 자기계발 및 성취 가치에 대한 태도 형성과 연관이 있다. 또한, 여성의 고용에 집중해온 여성과학기술인 지원 정책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인지부조화를 유발한 태도와 과학기술분야 조직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지 못하고 다시 개인적 차원에서의 상징적 자기-완성 전략에 몰두하게 하는 악순환을 유도하는 한계가 있다. 인지부조화 해소 전략을 사회심리학의 측면에서 탐색하고, 개인의 전략과 사회적 여건과의 관계 및 의미를 살펴본 연구가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고유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이 연구가 조직사회 소수자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성장과 활용 위주의 관련 정책을 수정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gnitive dissonance is a drive or a feeling of discomfort, defined as being caused by holding inconsistent cognitions or by performing an action that is discrepant from one’s customary attitude. Analyzing narratives of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this study shows that the causes of cognitive dissonance women experience and how they reduce it. Several similar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defensive posture and behavioral attributes of minority group members. However, those studies did not illuminate how their less powerful status affect the attitude-behavior link depending on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Interactions among group members play a large role in shaping the customary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he technology studies. Women have learned science and the technology studies are men’s fields not theirs. Originally defined as being in men’s fields, dissonance is most powerful and most upsetting, and it subsequently leads to threatening their positive self-conception.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nd to reduce the dissonance by attempting to change the dissonant cognitions or add new cognitions. These dissonance reduction strategies are linked to symbolic self-completion. Since women experience a threat to an identity to which they are committed, they become highly motivated to restore that aspect of their self-concept through social recognition. This is parallel to the superwoman syndrome. Being a good mother(woman) and capable scientist at the same time is a successful way to signal to others that she does in fact have a credible, legitimate claim to those identities that have been challenged. However, this successful superwoman is not able to change the customary attitude causing the dissonance and the male dominant structure of science and the technology studies community.

      • KCI등재

        젊을수록 강한 성평등 인식을 가지는가? - 성평등 인식의 연령효과 검증

        주혜진 ( Hyejin Chu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5 담론 201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성역할 고정관념, 거주 도시 성평등 수준 평가, 그리고 성평등 정책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연령대별로 분석하여 성평등 관련한 인식의 연령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2012년 대전광역시에서 시행된 성평등인식 시민조사 자료를 근거로 한 연구의 결과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고정관념, 성평등 수준에 대한 평가, 성평등 정책 필요성 공감에 있어 성과연령 집단별 인식 차이가 있다. 둘째, 연령 차이가 적은 이십대와 삼십대가 유사한 인식과 가치관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삼십대가 이십대보다 더 성평등 가치관을 지향하고, 더 비판적으로 성평등 수준을 평가하며, 성평등을 위한 제도와정책 필요성에 더 적극적으로 공감했다. 셋째, 이십대는 삼십대와 달리 성평등인식에 있어 사·오십대와 유사한 집단 속성을 보였다. 이는 연령의 증가에 따른태도나 인식의 선형적 변화를 가정하는 ‘연령효과’ 가설에 반하는 결과다. 넷째, 이십대의 인식 특성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남성이라 할 수 있다. 성평등 인식에 대한 ‘연령효과’는 성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성과 연령은 성평등 관련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이면서 또한 상호작용에 의한 효과를 가졌다. 본 연구는 성평등 관련한 이십대 남성의 인식이 취업 기회 축소에 따른 여성에 대한반발과 경제위기 시 강화된 가부장적 가족모델에 대한 향수에 기인할 수 있다고추정한다. 본 연구는 이십대의 특수성에 대한 후속 세대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mong age groups, and furthermore to explore the extent empirically to which the awareness has spre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Data from a survey of the 20s through the 50s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conducted in 2012 was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groups in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 stereotypes, gender equality evaluation, and gender equality policy needs; (2) the thirties are more likely to be egalitarian and more critical of gender issues than the twenties; (3) the twenties are similar to the forties or the fifties in terms of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it violates ‘aging effect’ assumption; (4) there is significant age-gender interaction in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it suggests that specifically the men in twenties presumably contribute to formation of conservative attitude toward gender equality issues. Deepening economic crisis, worsening job market for the younger and pervasive discourses of patriarchal familism possibly influenced the conservative perception of the twenties.

      • KCI등재

        내 성공의 비밀: 여성과학기술인들의 Deflection 경험과 정체성 구성의 탈정치화 전략

        주혜진(Chu, Hyejin)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이 연구는 과학기술 사회여성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한 집단 내 소수자들의 사회구조적 위치의 특성과 그로 인해 경험되는 정체성 형성과정의 독특성, 그리고 그 독특성의 사회적 의미에 대하여 논의한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정체성 형성의 과정은 스스로의 위치를 찾기 위한 범주화 과정이라 보는데, 이 범주화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권력 관계에 대한 성찰이 따른다. 보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확보해 줄 집단으로 자신을 범주화하려는 개인의 노력과 그 과정에서 경험되는 독특한 감정의 긴장 상태(Deflection)는 탈정치화된 정체성 형성의 전략을 이끌어낸다. 이 감정적 긴장이 새로운 정체성 구축과 조직 문화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주장들과는 달리, 이 연구에서 여성 과학기술인들의 감정적 어긋남/굴절의 경험은 탈정치화된 정체성 구성전략, 즉 ‘여성’을 배제한 과학기술인 정체성 추구 전략을 야기하였다. 정치세력화가 가능할 수 있는 ‘여성’을 버림으로써, 여성 과학기술인들은 보다 더 ‘과학기술인다운’ 성공에 몰입할 수 있었다. 가장 정치적일 수 있는 정체성의 한 측면을 배제하고 추구한 성공의 전략들은 집단 내구성원으로서의 정당성 확보와 심리적 안정감을 획득하게 하였지만, 그 집단 구성원들 간 권력관계와 권력관계를 통한 종속적 관계를 계속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모순적이게도, 과학기술인으로서 더욱 성공적일수록 ‘여성’ 과학기술인으로서의 위치는 더욱더 주변화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여성을 과학기술사회에서 주변인으로 만들었던 사회구조적 관계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 KCI등재

        ‘젠더화된(Gendered)’ 행복

        주혜진(Chu, Hyejin)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2

        이 연구는 행복의 젠더 특수성에 주목한다. 여성과 남성의 행복이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며, 행복을 결정하는 대표적 조건인 소득 외에 어떠한 것들이 행복의 젠더 특수성을 구성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배우자가 있으면서 일하는 1,114명의 대전시민을 대상으로 집단별 차이, 행복과 독립변인들 간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과 ‘성역할 태도와의 상호작용항’을 추가한 회귀분석 및 단순기울기 검증을 통해 발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 정도의 젠더 차이는 없었고, 남성이나 여성 모두 행복을 견인하는 요인들은 같았다. 건강을 위해 비용을 충분히 지출하고, 여가를 즐기며, 폭넓은 사회적 관계를 가지고 있고, 가족들과 교류를 활발히 하는 사람들이 행복했다. 둘째, 성역할 태도는 성별 변인과 상호작용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강하게 가지는 여성이 더 행복할 것으로 예측됐다. 셋째, 전통적 성역할 태도는 여성의 행복감 상승에 크게 영향을 미쳤던 변인인 ‘의지할 수 있는 지인의 충분함’의 영향력을 억제했고, ‘범죄피해 불안감’의 부정적 효과를 강화했다. 단순 기울기 검증 결과,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강하게 가진 여성들은 불안감이 커지면 행복감도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제정당화이론에 따르면, 여성들이 현재 젠더 불평등한 사회에 살고 있음을 반증한다. 또한, 행복하기 위해 필요했던 태도가 나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행위들을 위축시키고 더욱 불안하게 만들어 결국 불행해진다는 여성의 모순적인 현실을 드러낸다.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first to examine the happiness profile of the economically active citizens living in Daejeon with partners and gender differences in happiness, utilizing different aspects of life. This study mostl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s of socio-demographic and other factors with happiness and, where (or when) possible, their independent and causal effect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and its interactions with other factors as a moderator. Results reveals tha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happiness. Regardless of gender,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happy when they are satisfied with leisure time, family relations, health expenditure and social networking. However,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is highly correlated with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happiness especially for women. This study finds that happiness is moderated by the degree of ‘gender role attitude’ for women.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moderates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ing and anxiety about crimes. Simple slopes analysis reveals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networking, anxiety about crimes and happiness for women. Ironically and sadly, there is the endorsement of justifications of gender inequality is inversely related to happiness. The central argument is that the strategy for being happy hinders women from understanding properly the nature of oppression.

      • KCI등재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정책에 ‘여성’은 있는가

        주혜진(Chu, Hye-Jin) 한국여성연구소 2014 페미니즘 연구 Vol.14 No.2

        과학기술분야의 여성이라는 소수집단을 직접 대상으로 한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은 젠더 관점에 의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으나, 그 내용은 젠더가 사라진 인재육성정책 혹은 노동수급정책의 성격을 띤다. ‘여성이 사라진’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정책의 추진은 사실 개인능력주의라는 과학기술 전문가 사회의 오랜 훈육 이데올로기와 적절히 부합했으며, 여성들 스스로도 이를 타당하게 여기기도 했다. 여성주의와 연대가 없었던 여성과학기술인 정책결정 및 추진 결과는 전문인 양성을 통한 일정 수준의 여성 비율을 달성하는 데 치우칠 뿐, 젠더 세력화를 통한 젠더관계의 평등한 변화를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십여 년 간 지원 정책은 꾸준히 추진되어 왔지만, 여성과학기술인들은 ‘여전히 여성이 견디기 힘든 과학기술 공동체’임을 이야기한다. 여성주의 전문가들에 의해 촉진된 참여토론(타운미팅)에서 여성과학기술인들은 여성의 특수성과 여성의 지위 향상 요구가 부각된 정책사업들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 했다. 정책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AHP조사에서 여성과학기술인들은 기존 추진전략의 우선순위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했고, 보다 중요한 지위에서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 보다 능동적으로 정책 형성의 과정에 참여하고 지식을 생산할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했다. 타운미팅이나 계층분석방법(AHP) 조사 참여는 정책의 내용을 스스로 생산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는 민주적 정책 결정 절차에의 동참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험의 축적은 여성과학기술인 스스로가 필요한 정책 지식과 입장을 형성하는 과정에 참여함을 의미하며, 앞으로 과학기술자 사회에 구성될 거버넌스에서 다른 참여자들과 동등한 힘을 행사할 수 있는 자산이 될 것이다. National policies and law on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designed to promoting women and addressing gender issues in those areas. However, gender perspectives has been diluted and current policies and law give an strong impression of human resource policies. ‘Gender-blind’ policies for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consistent with the individual achievement ideology which has been working for a long time as the disciplinary mechanism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careers. There still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the issue of women’s under-representation and lower level of women’s empowerment in scientific careers. At the Town-Meeting activity facilitated by feminists,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actively engaged in dialogue and exchanged views on national policies, taking into account gender perspectives. They emphasized the action plan to promote gender equality and prioritized the elements of policy through which performe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omen’s participation in democratic policy-making should contribute to develop individual policy knowledge and gender standpoint. This capability can be the salient element of governance bringing significant improved status of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 KCI등재

        공대 여학생 사례를 통해 본 소수자의 사회심리학적 경험

        주혜진 ( Hye Jin Chu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1 No.3

        공과대학사회의 소수자인 여성의 사회심리학적 경험과 특성을 미국 사례를 통하여 탐구하고 있는 이 연구는, 여성이 공학과 공학자 정체성을 구술로 정의하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소수자인 그들이 자신에 대한 외부의 의견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은 학문에 대한 이분법을 가지고 공대사회 속 스스로를 소수자, 혹은 주변인으로 범주화하고 있다. 둘째, 여성들의 사회심리학적 반응 감정적 어긋남 (Deflection)은 그녀들의 소수자적 특성과 공대사회의 권력관계를 반영하고 있다. 셋째, 여성들의 감정적 어긋남은 그들에게 공과대학사회에서 새로운 여성성을 탐색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social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 dealing with several women`s cases of an engineering school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omen`s social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 specific cultural context of engineering school demonstrate how they are actively engaged in considering engineer identity. By dividing knowledge system into two arenas-engineering vs. nonengineering and by perceiving gender content messages from others, women categorize themselves as person who studies wrong subjects in the wrong arena. This social psychological experience is called "Deflection," an outcome of women`s identity recognition process. Deflection explicates engineering women`s social status in engineering school and it also indicates the conflict between femininity and engineering within women. In terms of this, deflection feeling also suggests women to investigate gender identity. Engineering women are struggling to construct their own femininity as engineer in behaviors, attitudes, clothing, dating, and language.

      • KCI등재

        여성친화도시 조성 시민참여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와 입장

        주혜진(Chu, Hyejin)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2

        2009년 익산시를 시작으로 확산 추진된 ‘여성친화도시’는 대표적인 정부주도형 ‘성평등 가치 확산 도시 모델’이다. ‘시민(여성)의 능동적 참여에 근거한 정치적 세력화(empowerment)’는 여성친화도시 조성의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친화도시 조성의 핵심전략으로서 시민참여의 특성과 의미, 그리고 이에 대한 이해와 참여자 간 입장 차이를 대전시 동구 사례를 중심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참여하는 시민들이 다양하지 못하고 5, 60대 여성들이 중심을 이루는 점은 여성친화도시 조성의 가치 실현을 함께하는 데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동구에서 오래 거주해 주거 안전성이 확보된 5, 60대 여성들은 시민참여를 ‘도움을 도움으로 갚는 품앗이’로, 즉 지원을 받고 동원을 제공하는 협조체계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성친화도시 조성 과정에의 시민참여는 이들에게 있어 정치적 형평성 확보 방안이라기보다는 주거지 개선을 위한 협력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모성 발현의 연장선상에서 시민사회활동을 해왔던 이들에게는 여성친화도시 사업도 기존의 성역할 정체성을 강화하는 사업으로 해석되고 있었다. 매력을 잃은 낙후된 대전시 동구, 인구가 줄고 있고 경제적으로 열악한 이 지역의 5, 60대 여성들에게 여성친화도시는 일종의 ‘매력적인 도시 재정비 전략’이었고, 떠난 젊은 인구를 되돌아오게 하는 또 다른 도시 마케팅 브랜드로 기대되고 있었다.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지닌 시민들이 참여단을 구성하지 않는 한, 배타적 위계질서에 익숙한 이들과 다양성과 형평한 참여에 근거한 여성친화도시가 모순적으로, 충돌 없이 만나는 지점은 여기 있을 수밖에 없다. As a representative city model of gender equality spearheaded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omen Friendly City’ started with appointing Ik-san as the first women friendly city in 2009. To build up women friendly city, gender experts have put emphasis on ‘political empowerment’ based on equal participation of women. However, in local level, women friendly city projects have mainly focused on the issues of urban public facilities and the external safety facilities seeking a plan for improving user satisfaction with it. Meanwhile, women’s participation became a ‘tool’ of gender mainstreaming and gender governance. The ‘women friendly city supporters’ are usually comprised of women in their fifties or sixties who have lots of experiences in volunteer activities at local level. This group is used to work in cooperative partnership with local governments and women members recognize ‘women friendly city’ as a new plan for urban regeneration. In spite of conservative perspectives on gender equality and tolerance, participants of the ‘women friendly city supports’ anticipate an attractive new town conducing to population growth through building up ‘women friendly city’ pla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