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택적 레이저 용융 공정을 이용한 316L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 시 공정 중단 및 재 시작이 미세조직과 국부 물성에 미치는 영향

        주현진,우정민,손용호,이기안 한국분말재료학회 2022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9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rocess stopping and restarting on the microstructure and local nanoindentation properties of 316L stainless steel manufactured via selective laser melting (SLM). We find that stopping the SLM process midway, exposing the substrate to air having an oxygen concentration of 22% or more for 12 h, and subsequently restarting the process, makes little difference to the density of the restarted area (~ 99.8%) as compared to the previously melted area of the substrate below. While the microstructure and pore distribution near the stop/restart area changes, this modified process does not induce the development of unusual features, such as an inhomogeneous microstructure or irregular pore distribution in the substrate. An analysis of the stiffness and hardness values of the nano-indented steel also reveals very little change at the joint of the stop/restart area. Further, we discuss the possible and effective follow-up actions of stopping and subsequently restarting the SLM process.

      • 한국 전통음식 만들기 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경험

        주현진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들이 한국 전통음식에 대해 알아보고, 오감을 이용하여 음식 재료를 탐색해 보고, 한국 전통음식을 직접 만들어 다른 사람과 음식을 나누는 활동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C군 O어린이집 꿈꾸는반 만5세 유아 10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9일부터 2013년 9월 9일까지 8주에 걸쳐 주 2회씩 총 16회 한국 전통음식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녹화자료의 전사와 교사저널, 사진, 유아 기록물 등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연구 초기 한국 전통음식에 대해 생소함을 느꼈지만 점차 한국 전통음식에 관심가지기 시작했다. 둘째, 한국 전통음식 만들기에 참여하면서 다양한 음식재료를 오감을 이용해 탐색하고, 전통 도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만드는 경험을 통해 즐거움을 느꼈다. 셋째, 한국 전통음식에 자부심을 갖게 되고, 유아가 만든 음식을 나누는 과정 속 에서도 유아 혼자에서 유아 주변 사람으로, 더 나아가 많은 사람으로 확대되었고, 나눔의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넷째, 유아들은 한국 전통음식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알게 되고, 조상들의 생활양식에도 관심 갖게 되면서 점차 전통 문양, 전통 의복 등 한국 전통문화로의 관심을 확대해 나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in the course of checking up on Korean traditional food, exploring food materials using their five senses, making traditional food on their own and sharing it with ot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 young children in a class of Western age five in a daycare center located in a rural area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is study was implemented 16 times during an eight-week period of time from July 9(Tues.) to September 9(Fri.), 2013, twice a week. The Korean traditional food mak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four different stages: checking up on Korean traditional food, making Korean traditional food, sharing Korean traditional food, and sharing activity experiences. As for data collection, their teacher's journal, photographs and the young children's records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organized, classified,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onset of the study, they felt strange about traditional food. The young children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food. Second, participation in making the senses with a variety of traditional food and food ingredients navigation, using traditional tools, felt the joy through the experience of making food. Third, While they shared the food that they prepared, they learned to think of not only themselves but others, and they became proud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elt happy about sharing. Fourth, they learned about the wisdom of ancestors through Korean traditional food and got interested in their life styles. Moreover, they showed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traditional patterns or clothes.

      • KCI등재

        에밀 졸라의 Le Ventre de Paris 에 나타난 ‘살’과 ‘뼈’ 상(像)들 간의 충돌

        주현진 한국프랑스학회 2022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8 No.-

        Cet article consiste à interpréter le discours sociologique de l’auteur exprimé dans Le ventre de Paris, le troisième ouvrage des Rougon- Macquart : Histoire naturelle et sociale d’une famille sous le Second Empire. Le XIXe siècle est une époque où la créativité moderne est expérimentée et mise en oeuvre dans la littérature et l’art occidentaux, y compris la littérature française. En particulier, la seconde moitié du XIXe siècle est une époque où, comme en art, divers écrivains littéraires qui ouvrent la fenêtre de l’ère moderne apparaissent et soulèvent des sujets littéraires correspondant au nouveau milieu social. En d’autres termes, on peut dire que c’est l’époque où la littérature a commencé à adopter la méthodologie des sciences humaines et sociales. Alors que la littérature occidentale des temps passés se penchait sur l’espace dans lequel étaient agrandis sans fin les rêves et les idéaux, celle de la seconde moitié du XIXe siècle commencèrent à étudier la vraie vie de l’individu et en témoigner, avec le changement de la topographie sociale sous l’influenc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et la Seconde Révolution industrielle. Cet aspect résulte de l’atmophère social où le scientisme et le positivisme avaient des répercussions sur l’ensemble de tous les mouvements sociaux ainsi que culturels. Entre autres, influencées par la théorie de l’évolution de Charles Darwin et l ’Introduction à la médecine expérimentale de Claude Bernard, le fondateur de la médecine expérimentale moderne, les littératures réaliste et naturaliste soulignaient alors l’importance du « regard observateur » dans la création. En particulier, Emile Zola est enclin à la médecine expérimentale de Bernard et propose une nouvelle tentative littéraire appelée « le roman expérimental ». Les romans expérimentaux de Zola font de la littérature un espace pour y introduire un discours social, s’appuyant sur la documentation des données de base recherchées et leur enregistrement, tout comme la méthodologie physiologique. Nous essayons donc de retracer l’aspect de l’expérimentation littéraire dans Le Ventre de Paris, celle que Zola dessinait comme un monde miniaturisé de l’époque, à travers tous les aspects qui se produisaient dans et autour des Halles centrales, venant de renaître en tant que construction moderne ; celleslà sont une sorte d’outil expérimental pour l'image sociale de l’époque. En d’autres termes, Emile Zola cherchait à dépeindre les Halles centrales en tant qu’un monde où coexistent divers aspects de la dualité, comme la tradition et la modernité, l’ancien et le nouveau, l’abondance et le manque. 본고는 에밀 졸라Émile Zola의Les Rougon-Macquart : Histoire naturelle et sociale d’une famille sous le Second Empire(루공 마카르 총서)의세 번째 작품 Le Ventre de Paris 에 표출된 저자의 사회학적인 담론을해석하는 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19세기는 프랑스 문학을 비롯한 서양 문학과 예술에서 현대적인 창의성이 실험되고 구현되는 시대이다. 특히, 19 세기 후반기는 예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문학에서 현대를 개시하는 여러 문학가들이 출현하여 새로운 사회 환경에 상응하는 문학적 화두를 던지는시기이다 달리 표현하자면 . , 문학이 인문사회과학적 방법론을 채택하기 시작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지난 시간의 서양문학이 몽상과 이상의 공간을향해 나아갔다면, 대혁명과 제2차 산업혁명을 겪으며 사회적 지형이 달라진 19세기 후반기의 서양문학은 현실세계에서 꿈틀대는 생활의 단면을 증언하고 검토하는 성향을 보인다. 이는 과학을 신봉하던 시대 분위기와 과학적 방법에 기댄 실증주의라는 사상적 경향이 문학에 영향을 미친 결과이기도 하다.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의 진화론과 현대 실험의학을 창시한 클로드 베르나르Claude Bernard의 실험의학서설 (1865)에 영향을 받은 문학가들이 창작에 있어서도 ‘관찰하는 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실주의문학과 자연주의문학을 태동시킨다. 특히, 에밀 졸라는 베르나르의실험의학에 경도되어 ‘실험소설’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시도를 제안한다. 졸라의 실험소설은 문헌자료수집과 기록을 근간으로 하는 창작을 통해 문학을 사회적 담론이 논의되는 장(場)으로 만든다. 본고는 Le Ventre de Paris 작품에서 졸라의 이와 같은 문학적 실험이 구현된 양상을 추적하는데에 의의를 둔다. 현대 산업화가 진행되는 동안 현대적 건물로 재탄생한파리의 중앙시장Les Halles centrales을 당대 사회상을 표상하는 실험도구로 삼아 세밀화를 그려나가는 졸라의 문학적 시도를 추적한다. 다시 말해서, 파리 시민들의 생명력을 지탱시켜주는 중앙시장을 통해 전통과 현대, 낡은 것과 새것, 풍요와 결핍 등 여러 양상의 이원성이 공존하는 세계를 세밀화로 그려내는 졸라의 문학실험을 검토한다. 낡은 시대와 결핍의부류에 속하는 주인공 플로랑Florent이 상징하는 “마른 사람들les Maigres” 과 그에 대조되는 인물들 리자Lisa와 크뉘Quenu가 상징하는 “기름진 사람들les Gras” 간의 충돌적 양상을 해석함으로써 졸라의 시대가 잉태한사회적 담론 ‘반-순응주의’와 ‘순응주의’의 대립을 이해한다.

      • KCI등재

        19세기의 우울과 환각 : 보들레르 환각체험 작품을 중심으로

        주현진 한국프랑스학회 202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1 No.-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literary works of Baudelaire, a pioneer of modern poetry in the West, dealing with his hallucinatory experiences. We will seek to analyze the route followed by Baudelaire during his journeys leading to artificial Heavens thanks to drunkenness and hallucinatory substances such as opium and hashish. Thu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Baudelaire's hallucinatory experience was linked to his feeling of spleen, and that the source of his spleen came from the new aspect of Paris that had become metropolitan, black, gloomy and noisy due to modern industrialization. In other words, the reason behind Baudelaire's hallucinatory experiences lay in his discomfort and the suffering he felt in the midst of the modern city where the crowd appeared overwhelming towards the poet himself. As a result, he sought to explore the artificial Heavens to escape the real world, which only brought him boredom, depression, suffering, in short, spleen. 본고는 전통양식에 반하는 문학을 추구한 보들레르의 모호한 감정인 우울을 규명하고 그 감정에서 솟아나는 일종의 반작용으로서의 환각을 분석하는 것에 지향점을 둔다. 따라서 본고는 19세기 현대성이란 새로운 시대적 색채를 읽어낸 보들레르의 마약에 대한 열광이 현대사회에 대응한 그의 감수성에서 발현하였음을, 또한 현실로부터의 도피를 딛고 피어난 창의성의 동력으로 작용하였음을 밝히는 연구이다.

      • KCI등재

        전단철근이 배치되지 않은 프리스트레스트된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평가

        주현진,이득행,이창준,이준철,김강수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6 No.2

        The dual potential capacity model (DPCM) was extended to be suitable for evaluation of the shear strength of prestressed concrete (PSC) members in the previous study. This paper aims to simplify the DPCM for its better application in practice. To this end, a total of 172 shear test results of PSC member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were collected from existing studies. The collected shear test results include PSC members with various section types and prestressing methods. It appeared that the simplified model could provide a good level of estimation accuracy of shear strength of PSC members, and it was comparable with that provided from the original DPCM. 이전 연구에서는 전단철근이 배치되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restressed Concrete, PSC) 부재의 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중잠재강도모델 (Dual potential capacity model, DPCM)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DPCM은 PSC 부재의 전단강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복잡한 반복계산이 요구되며, 이 같은 이유로 DPCM의 실무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기존의 DPCM을 현행 건축구조설계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로 부터 총 172개의 PSC 부재의 전단실험 결과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전단실험 결과들은 다양한 단면형태와 프레스트레싱 특성을 갖는 PSC 부재들을 포함한다. 이 연구를 제시하는 단순화된 DPCM은 상당한 정확도로 PSC 부재들의 전단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현대시 여명기의 기후적 감정

        주현진 한국프랑스학회 202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3 No.-

        Cet article a pour but d’étudier des aspects de la poésie française du XIXème siècle, mais aussi ‘le sentiment atmosphérique’ marquant chez Baudelaire ainsi que chez Verlaine. Pour cela, nous cherchons d’abord à comprendre divers aspects sentimentaux dans la poésie romantique tels que solitude, chagrin et mélancolie. Ceux-ci sont définis ici comme ‘le sentiment communicatif’. Nous envisageons de le comparer au sentiment atmosphérique et non-communicatif chez Baudelaire. Nous interprétons aussi le contexte social qui fait surgir ce sentiment atmosphérique. Il nous est donc nécessaire d’expliquer la cause du Spleen, sentiment caractéristique de la poésie baudelairienne. 본고는 19세기 후반기 프랑스 현대시가 구축되던 무렵의 시인들인 보들레르와 베를렌의 시학에 외연적으로 나타난 기후적 감정에 대한 연구이다. 고독, 비애, 애수의 일관된 서정성을 추구하던 낭만주의 시문학이 독자와 공유해온 ‘소통적인 감정le sentiment communicatif’을 제시한 것과는 달리 이 현대적인 시인들은 독자와 공유하지 않는 ‘비-소통적인 감정le sentiment non-communicatif’을 제시하였음을 증명하고 그 배경을 설명하는 논문이다. 특히 보들레르가 ‘우울’이라는 상징어로 제시하는 현대적인 감정이 기후적 은유를 활용하는 기후적 감정임을 밝히는 데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이다. 또한 보들레르의 기후적 감정과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베를렌과 말라르메의 새로운 감수성을 해설하고, 이는 당대 사회가 양산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출현한 것임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다시 말해서 현대시 여명기에 출현한 기후적 감정은 현대적인 변혁과 산업혁명을 겪고 있던 대도시 파리라는 특정한 공간성에서 등장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 KCI등재

        변화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관 여가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연구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주현진,문정민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Senior citizens` new life style has appeared according to the massive retirement of the baby boom generation since 2010. Consequently, Senior Welfare Centers ,the provider of elderly leisure programs, has been asked for the programs and spaces which are able to meet the changing life style of the elde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survey for current status of leisure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life style and on the investigation for sensible usage of space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shows the portion of the programs which every center provides is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fe style. The program types for challenge and utility are provided 192 times a week and the program types for health and sociality 133 times a week. Both types shows high frequency of supply and use of the program especially 85 times of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64 times of musical instruments, and 42 times of foreign language are supplied vividly. On the contrary, the program types for fashion and self-management and the program types for volunteer work and achievement are insufficient, so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establish the programs and to supply the space for the program from now on. The current status for spatial usage shows that most of the centers share a space for several programs. It means that the space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is limited and various programs should be run in the narrow space. High frequency programs like the program types for challenge and utility secure sufficient spaces not to miscarry the use for the programs. The center of case B has well equipped and large space and provides proper space for each programs to meet the demand of the senior citizens. Like these, Senior Welfar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have supported Senior citizens` Life Style by supplying various leisure programs to meet the demand for it.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programs about the spatial utilization in accordance with various future life style of Senior citizens`.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한 노인세대가 등장했다. 따라서 노인 여가프로그램을 제공하던 노인복지회관은 변화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공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가프로그램을 광주광역시의 노인복지회관이 반영하고 있는지 현황 파악과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기능과 목적에 맞는 공간을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라이프스타일별 노인복지회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비중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도전·실리추구형은 주 192회, 건강·사회교류추구형은 주 133회로 제공 빈도수가 높고 실제로 프로그램 이용률이 높았다. 특히 도전을 추구하는 노인을 위한 정보화 교육 주 85회, 악기 연주 주 64회, 외국어 강의 주 42회로 여러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그에 반면 유행추구·자기관리형과 봉사활동성취지향형을 위한 프로그램 개설 수는 미비했으며, 봉사활동성취지향형을 위한 프로그램 개설과 공간 제공을 고려해야 하며, 향후 다양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다음, 프로그램 공간 사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다수의 시설에서 하나의 공간을 다목적인 기능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이는 노인복지회관 공간의 규모 자체가 협소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또, 도전·실리추구형과 같은 제공의 빈도가 높은 프로그램의 경우 공간의 개수를 확보해 많은 인원의 노인들이 이용에 차질이 없도록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사례 B의 시설은 공간의 규모가 크고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그램 성격에 맞는 공간을 가장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었다. 이처럼 광주광역시의 노인복지회관은 변화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하기 위해 여가프로그램 제공으로 노인의 여생을 지원하고 있었고, 본 연구는 향후 미래의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의 다양성을 고려한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공간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19세기 소설 『미래의 이브』 속 과학성과 낭만성의 상충지대 몸

        주현진 한국프랑스학회 2018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03 No.-

        Cette étude consiste à discuter sur ce que relève le corps même dans L’Ève future. Mais aussi nous enquêtons sur le jalon, très scientifique, qui fait naître le roman science-fiction dans le 19èmesiècle et sur l’essence de la science servie dans ce roman. Par cette enquête, nous pouvons arriver à comprendre la reception du corps «moderne» dans la société européenne et notamment française dans la dernière moitié du siècle. Dans ce roman, le personnage central Edison, électricien, représente le portrait des scientifiques de l’époque. Car pendant cette période, c’est l’électricité qui est la science en vogue. Il met une sorte de foi à la science, à l’électricité, et par quoi il se détermine à créer une adréide Hadaly qui a un corps parfait tout comme Venus. Celle-là se sert à établir la notion de la science puissante et possible pour toute chose, qui sans doute pourrait faire changer de monde. Là naît une nouvelle idée sur le corps humain. Celui-ci a l’air d’aller vers le futur, mais ce futur ne serait pas dans le temps qui arrivera. Car ce futur «utopique» paraît chercher son appui dans le passé, dans la pensée nostalgique. Dans ce cas, le corps humain représenté devient une zone où la sciencité et la romancité se heurte l’une contre l’autre. C’est ainsi que notre étude essayons d’observer le processus du passage de différentes idées sur le corps hu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