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주지향,정구철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male college students who returned to college after military duty and the average age was 25(SD=1.7).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een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grit,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military lif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grit,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gr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Fourth,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showed that military life adaptation improved the grit and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this personal grow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fter returning from military du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nd college life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 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와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군 제대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 23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5세(SD=1.7)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영생활적응과 투지, 셀프리더십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병영생활적응은 투지와 셀프리더십 및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병영생활적응이 대학생들의 투지와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개인의 성장이 복학 후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영생활과 대학생활에 대한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정구철,주지향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282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ha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Third, the variables of depression, psychopathic deviate, paranoia, psychasthenia, schizophrenia were significant mediating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mental health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83명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생활양식은 정신건강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우울증, 반사회성, 편집증, 강박증, 정신분열증의 변수들이 유의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행복 증진과 정신건강을 위한 건강증진행위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