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가격 상승기의 부동산 규제정책이 투자심리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주종웅,권영상 한국부동산원 2023 부동산분석 Vol.9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sponse of investor sentiment to shocks in real estate policies results in differences in the stabilization effect on housing prices. For this purpose, the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was established by variables including housing prices, investor sentiment measured by multi-dimensions and real estate policies categorized by types. Thenimpulse response function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real estate policies tend to be announced in response to shift in investor sentiment, rather than being proactively introduced. It was found that investor sentiment notably decreases in response to shock from real estate policies and housing prices tend to decrease substantially in response to shocks from real estate policies when they rise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shock from investor sentiment. This study is distinctive in terms of analysis for housing price stabilization of real estate policies as it categorized real estate policies by types and took into account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investor sentimen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it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l estate policies during periods ofrapid rise in housing prices, investor sentiment and real estate policies. 이 연구의 목적은 부동산정책 충격에 따른 투자심리의 반응에 따라 주택가격 안정화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택가격과 함께 다차원으로 측정된 투자심리와 유형별로 지수화된 부동산정책을 변수로 하는 벡터자기회귀모형을 구축하고, 충격반응함수 분석을 했다. 연구 결과, 부동산정책이 선도적으로 발표되기보다는 투자심리의 변화에 뒤따라 발표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동산정책 충격에 대해 투자심리가 크게 감소하고, 투자심리 충격에 대해 주택가격이 크게 증가하는 경우에 부동산정책 충격에 대한 주택가격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부동산정책의 주택가격 안정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어 부동산 정책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다차원으로 측정된 투자심리를 변수로 고려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주택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는 시기에 시행된 부동산정책과 투자심리, 부동산정책의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참이슬마을공동체는 어떻게 10년 이상 지속할 수 있었는가?: 새로운 참여자와 기존 구성원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김혜빈,주종웅 국토연구원 2020 국토연구 Vol.107 No.-

        Recentl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gathered residents of the community to plan and implement various community-building activities for the village. As part of this project, a number of village communities have been formed nationwide. However, after the project is complete, a number of village communities were unable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Chamisul Apartment Village Community, which was formed on the basis of the village community support project in 2007, has been sustained, this study analyzed the participation structure of village community members and the changes that took place after the forma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 Chamisul Village Community attracted and organized the residents with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In addition, community activities were being carried out through various participation methods so that individual members of the community could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The community could sustain itself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newly organized resident groups and through changes in the roles of existing members. It was possible because the community provided various pathways through which residents could participate. 최근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마을만들기를 장려하기위해 동네에 거주하는 주민이 모여 동네를 위한 여러활동을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행하면서 전국적으로 마을공동체가 형성되고있지만, 사업기간이 종료된 이후에는 마을공동체가활동을 지속하지 못하여 사례가 여럿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2007년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을 계기로 형성되어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는 참이슬마을공동체가 어떻게 지속될 수 있었는지 이해하기 위해마을공동체 형성 이후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참여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이슬마을공동체는 교육 및 양성과정 프로그램 수강생을 조직화하여 마을공동체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유도했다. 그리고 마을공동체 구성원 개개인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참여방식에 의해 마을공동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마을공동체 활동을 할수록 구성원은 피로감을 느끼게 되지만 지속적으로 새로운 주민이 조직화되어 참여하고, 기존 구성원의 역할이 변화하기 때문에 마을공동체가 지속될수 있었고, 이는 다양한 이유를 가진 주민이 참여할수 있는 경로가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 KCI등재

        원격근무의 정의, 현황, 그리고 전망

        김승남,주종웅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정보화정책 Vol.21 No.2

        최근 통행수요 관리 및 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원격근무제의 확산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이에 도시.교통 연구 분야에서도 원격근무의 효용을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실증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책 평가와 학술 연구의 기초가 되는 원격근무의 정의와 현황에 대해서는 충분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원격근무의 사회적 영향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원격근무 관련 개념의 정의를 정립하고, 가용 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 원격근무 유형별 보급률 및 시행수준을 파악하며, 이를 토대로 향후 보급률 수준을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재택근무 보급률과 시행수준은 각각 0.5~1.1%와 0.2~0.5% 내외로, 센터근무 보급률과 시행수준은 각각 0.2%와 0.1% 내외로 나타났다. 또한, 변이-할당 분석을 통해 도출된 2020년 수도권의 재택근무 보급률은 약 1.3% 정도로 현재 수준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현재 원격근무 보급률은 최근 언론을 통해 보도된 수치(10~20%)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며, 향후 전망 또한 정부 목표치(30~45%)에 비해 크게 낮을 것으로 예측되어 적극적인 권장 정책이 개입되지 않은 이상 정부 목표는 달성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As a travel demand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policy, the government actively promotes alternative work arrangements such as telecommuting. Against this backdrop, several empirical studies, which aim to verify the benefits of telecommuting, have been recently conducted. Little consensus, however, exists with respect to the defining, measuring, and forecasting telecommuting, although these are fundamental basis of policy evaluation and academic research. As a fundamental research for analyzing telecommuting impacts, this paper reviews various definitions regarding telecommuting, examines telecommuting penetration and level of telecommuting through review of available survey data in Korea, and forecasts future penetra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current home-based telecommuting penetration and level of telecommuting is approximately 0.5 to 1.1% and 0.2 to 0.5%, respectively, and is approximately 0.2% and 0.1%, respectively, for the center-based telecommuting. In addition,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home-based telecommuting pene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20 will be 1.3%, not much different with the current value. Consequently, current telecommuting penetration is much lower than the value that is fed to us by the media (10~20%), and the future prospect is also much lower than the goal of government (30~45%); thus, we can conclude that government`s goal of telecommuting promotion is difficult to meet if active encouragement policy will not be int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