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싱가포르․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명암

        주인석 한국통일전략학회 2019 통일전략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right and dark side of Singapore and Hanoi NK-US Summit and tries to reveal fundamental causes why two summit talks might have limits. In addition, it also attempts to suggest realistic alternatives to control North Korea nuclear crisis in the future and to concretely drive denuclearization by taking a lesson from two summits. The Singapore Summit induced positive effects to make efforts for ‘the denucleariz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about 70 years’ severance of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two nations. However, the joint declaration agreed at the Singapore Summit ended up in an imperfect one as it didn’t show a genuine roadmap for denuclearization. After that, Hanoi Summit was held, but broke down revealing absence of minimum working-level agreement, disagreement on how to attain negotiation goals and limits of top-down processes. Henceforth, for the successful denuclearization, such preconditions as overcoming discrepancies between both sides’ ‘denuclearization’ concepts, readjusting negotiation objectives and processes and reestablishing the role of Moon Jae-in Government. So, future discussions on denuclearization need a paradigm shift from complete abandonment of nuclear arsenal to nuclear weapon control(containment of nuclear proliferation and thre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multilateral cooperation system for not onl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ut neighboring Northeastern countries to jointly provide corresponding solutions in accordance to concrete efforts for denuclearization from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본 연구는 싱가포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의 명암을 고찰하고, 양차회담이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양차 회담을 반면교사로 삼아 향후 북핵의 위기를 관리하고, 비핵화를 구체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싱가포르 정상회담은 70여 년간 단절되었던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공동선언은 구체적인 비핵화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한 불완전한 선언에 그치고 말았다. 그 이후 하노이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으나, 실무차원의 최소 합의 부재, 협상 목표 도달 수준에 대한 불일치, ‘탑 다운(Top-down)’ 방식의 한계를 드러내면서 결렬되었다. 향후 성공적인 비핵화를 위해서는 ‘비핵화’ 개념 인식상의 차이 극복, 협상목표와 방식의 재조정, 문재인 정부의 역할 재정립 등 선결조건이 해결되어야 한다. 향후 비핵화 논의는 핵의 완전한 포기에서 핵의 관리(핵의 확산과 위협 관리)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북한의 구체적인 비핵화 노력에 대해 미국뿐만 아니라 동북아 주변 국가들이 공동으로 상응조치를 제공하는 다자협력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제4장 茶山 丁若鏞의 정치사상- 균민(均民)적 개혁정치의 현대적 함의-

        주인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3 민족사상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mporary implication of Dasan’s reform politics for people’s balance. The goal of his reform politics was to improve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life of common people’ under the fetters of a feudalistic system. The theoretical basis of his reform politics was the principal of people’s balance in socially and economically. For realizing this goal, Dasan had insisted that the political power should be concentrated upon the King Chong-Jo. Dasan and King Chong-Jo wanted to reshuffle the subverted political orders by way of the strong king. The strong kingships was not itself a goal, but a instrument for the strong government and improved life of common people. His political thought has also a important implication regarding the public servant ethic. According to Dasns’ view, political leaders and public servants always should serve devotedly for the common people, and must keep ethical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in the political process. In summary, his thought that highest political leaders is obligated to realize people’s equal rights and wealth, seems to be a key message which can be applied to today's political reality. 본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균민(均民)적 정치개혁에 초점을 두고 그의 정치사상이 갖는 현대적 함의를 분석하였다. 다산의 정치사상은 전통적인 동양사상에서 나타나는 애민(愛民)과 위민(爲民)의 정치를 넘어 보다 적극적으로 균민(均民)정치, 즉 ‘백성을 고르게 하는’ 정치를 지향하였다. 다산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자신의 시대를 ‘위기의 시대’로 인식하고, 그 한가운데 신음하는 백성(民)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정치적 개혁을 모색하였다. 신권(神權)이 왕권(王權)을 지배하는 상황 하에서 벌어진 당쟁(黨爭)과 지방관료(탐관오리)들의 부패와 횡포는 고통스러운 백성들의 삶을 더욱 가혹하게 짓누르고 있었다. 다산은 정치개혁의 이론적 토대로 목민(牧民)의 존재이유를 새롭게 해석하고, 균민(均民)을 위한 정치개혁의 수단으로 왕권의 강화를 주장하였다. 다산에게 있어, 왕권강화는 균민정치를 위한 수단이었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었다. 다산에게 있어 목민관(牧, 왕과 수령 등을 포함하는 정치지도자)은 균민(均民)의 원리를 실천할 수 있는 정책들을 시행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인(公人)의 윤리와 정치권력의 공공성(公共性의)이 강조되는 오늘의 시대적 경향을 고려할 때, 다산의 목민(牧民)정신을 실천하는 정치리더십과 균민적 정치원리에 토대를 둔 정치개혁론이 현대 정치에까지 미치는 정치사상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역발전을 위한 남북교류협력의 발전방향 * - 지역중심의 협력 거버넌스 구축 -

        주인석 한국통일전략학회 2020 통일전략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발전을 위한 남북교류협력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남북교류협력은 1990년 대 말경 강원도, 제주도의 대북 교류지원사업으로부터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협력의 주체와 분야가 다양하게 확대되어 왔다. 현재 거의 모든 지자체들이 교류협력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기금을 조성함으로써 더욱 확대 발전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은 남북한 지역 간의 접촉 기회 확대, 북한 주민들의 대남 인식 제고,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국내의 공감대 확산,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 역량 축적 등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남북교류협력은 남북한 관계 및 남한의 대북정책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진전과 단절의 부침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문재인 정부에 들어와서 남북정상회담 개최, 북미정상회담 주선 등 긍정적인 상황변화를 기대할 요소가 많았으나, 사실상의 변화나 진전이 없어 남북관계는 다시 경색국면에 접어들었다. 향후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은 가능한 한 중앙정부 차원의 상황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또한 그간의 남북교류협력이 남북한 간의 신뢰구축, 평화분위기 조성이라는 목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지역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구조로는 발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은 지자체들이 그동안 지역발전을 위해 추진해온 발전 비전과 전략의 연장선장에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지자체들은 남북교류협력을 ‘신내생적(neo-endogenous)’ 발전 패러다임의 틀 속으로 편입하여 경제협력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지자체들은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지자체들 간, 지자체와 민간단체 간의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거버넌스를 주도적으로 구축해 나가야 한다. 이를 토대로 가능하다면 지역 차원에서의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전담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directions of South-North Korea exchanges and cooperation for regional developments.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began with aids to North Korea from Gangwon and Jeju Province at the end of 1990s and have been diversely expanded in the agents and fields of cooperation. Nowadays, as almost all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ordinances and founded funds, a basis to further develop is established. Local governments’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policies have obtained good results including expanded contact opportunities between regions in two Koreas, North Koreans’ improved recognition of South Korea, proliferated consensus for South-North Korea exchanges and cooperation, and local governments’ increased capacity to exchange and cooperate with North Korea. South-North Korea exchanges and cooperation tasks have to be affected by inter-Korean relationship and Korean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ies and so have experienced ups and downs of progress and discontinuity.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held Inter-Korean summits and arranged North Korea-US summits for us to expect positive situational changes, but actual changes and progress haven’t been achieved so as to lead inter-Korean relations to a standstill. In the future, local governments’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should develop directions not to be influenc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o drive them in a stable way. As the past South-North Korea exchanges and cooperation tasks have been implemented to establish trust and a peaceful atmosphere between two Koreas, the structure to create profits in the regions has not been developed. Therefore, local governments’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should be promoted on the basis of progress perspectives and strategies local governments have pushed ahead. Local governments need to incorporat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into the ‘neo-endogenous’ development paradigm to expand and develop as an economic cooperation. They should take the lead to construct governance for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hat, it is desirable to found an exclusive organization dealing with South-North Korea exchanges and cooperation on the regional dimension.

      • KCI등재후보

        문재인 정부 자치분권정책의 성과와 한계: ‘분권’ 영역에 대한 실적을 중심으로

        주인석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1

        This study aims at assessing results and limits of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policy’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with a focus on actual achievement in ‘decentralization’ area. This evaluation of the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policy with a view of attaining ‘federal system level’ decentralization and advancing to a decentralized nation through a constitutional amendment has some academic significance in foreseeing a possibility of transforming into a decentralized nation in the future and seeking for a better policy enforcement direction.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shown some achievement in terms of legal preparation for decentralization including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local government act, the prior consultation system on autonomous decentralization, the enactment of the Omnibus Decentralization Act, the enactmen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Assembly Act. But, considering the concrete outputs in ‘decentralization’ area concerning official task handover and financial decentralization, it is hard to assess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an as an ‘epochal’ progress as it promulgated. In the case of official task transfer, the numbers implemented are fewer than those of former administrations though the importance lies in contents not in tally. For financial decentralization, net revenue for local governments to use has not substantially increased. Financial dependency of local governments on state government still has not been improved. Though the comprehensive policy outcomes will be reassessed in many years to come, the policy direction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thought to be properly set up. Some achievement will be a stepping stone for the next administration to drive their own policies. The next government are recommended to inherit Moon Jae-in Administration’s will and direction, examine critically limits of ‘decentralization’ area and then attain the fruit of transferring tasks, functions and actual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 ‘자치분권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분권’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연방제 수준’의 지방분권과 헌법개정을 통한 지방분권국가로의 이행을 목표로 삼았던 자치분권정책에 대한 평가는 향후 지방분권 국가로의 전환 가능성을 전망하고, 보다 나은 정책추진 방향을 모색해 본다는 점에 학술적 의미가 있다. 문재인 정부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 자치분권 사전협의제, 지방일괄이양법 제정, 중앙지방협력회의법 제정 등 분권을 위한 법제의 정비 측면에서 일정한 성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사무이양과 재정분권을 중심으로 하는 분권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실적을 보면, 대통령 직속 자치분권위원회가 공언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하기는 힘들다. 사무이양의 양적인 건수보다는 그 내용이 중요하지만, 일단 양적인 측면에서 문재인 정부에 들어와서 완료된 사무이양의 건수는 역대 정부와 비교하여 적은 편이다. 재정분권에 있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가용할 수 있는 지방재원의 순확충분이 실질적으로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지방의 중앙에의 재정의존성은 개선되지 못하였다. 다만 전체적인 정책 성과는 상당한 시일이 지난 후에 재평가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선 문재인 정부의 정책방향은 적합하게 설정되었으며 향후의 정책추진을 위한 징검다리를 놓았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차기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방향과 의지를 계승하되 ‘분권’ 영역에서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지방정부로의 사무․기능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권한까지 이양하는 성과를 도출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아태 지역질서의 변화와 중국 및 일본의 신민족주의

        주인석,박병철 한국통일전략학회 2015 통일전략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US-China hegemonic rivalry in the Asia Pacific Region, strategic responses of China and Japan to the changing regional order and the tendency of Neo-nationalism within China and Japan. The US-China hegemonic rivalry reveals China's challenges against America's vested interest on a global level as well as a leadership competition in the Asia Pacific Region. As China pursues a strategy to elevate her international status and national interests by claiming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develops a strategy to check China through "Pivot to Asia" and "rebalancing strategy" policies, so competi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two great powers is inevitable. The US-China hegemonic rivalry gives rise to a change in the Asia-Pacific regional order. Especially, the regional leadership competition and territorial dispute between China and Japan in the Northeast Asia has a characteristic complicated with national interests and national identity combined with the domestic factor of Neo-nationalism as well as a structural element of the US-China hegemonic rivalry. The conflict between China and Japan is rooted in Expansionist Nationalism to secure the territorial sovereignty, and historico-cultural nationalism the two peoples have. Therefore, even if the dispute of oceanic islands were solved, it wouldn't be positive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Asian nations will soon be improved. However, if the China-Japan relation were structurally influenced by the US-China relation, the improvement of US-China relation would make a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China-Japan relationship development.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DPJ) that held power from 2007 to 2012 maintained a friendly tie with China, it is expected that a political power change from Abe government to DPJ will function as a chance to veer the conflict over the territorial dispute between two nations to a settled sit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아태 지역에서의 미중 패권경쟁 및 지역질서의 변화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전략적 대응과 양국 내부의 신민족주의적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미중 간의 패권경쟁은 글로벌 수준에서 미국의 기득권에 대한 중국의 도전과 아태 지역에서의 리더십 경쟁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중국은 ‘신형대국관계론’을 표방하며 대외적 위상과 국가적 이익을 제고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미국은 ‘아시아 중시 정책(pivot to Asia)’과 ‘재균형 전략(relabancing strategy)’을 통해 중국을 견제하는 전략을 추진함으로써 양국 간의 경쟁과 갈등은 불가피하였다. 미중 간의 패권경쟁은 아태 지역질서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중일 간의 지역 리더십경쟁과 영토분쟁은 미중간 패권경쟁이라는 구조적 요인뿐만 아니라, 중일 양국의 ‘국가이익(national interests)’과 ‘국가 정체성(national identity)’이 결합된 신민족주의라는 내부적 요인이 개입된 복합적인 성격을 갖는다. 중일 양국 간의 갈등은 영토 주권의 확보라는 팽창적 민족주의라는 성격뿐만 아니라 양국 내 국가와 국민들 사이에 존재하는 역사적, 문화적 민족주의와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일부 해양도서에서의 분쟁이 해결된다고 양국 간의 관계가 개선될 것으로 예단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중일간의 관계가 구조적으로 미중관계에 영향을 받는다면, 미중관계가 개선되는 것이 중일관계의 진전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 2007-2012년 동안 집권했던 일본 민주당(DPJ)이 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던 점을 감안하면, 아베 정권의 퇴진과 민주당으로의 정권교체는 중일 간의 영토분쟁을 둘러싼 갈등국면을 진정국면으로 전환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 ‘개정 미디어법’의 정치적 함의와 법적 문제점

        주인석,박병철 한국시민윤리학회 2010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3 No.2

        본 논문의 목적은 2009년 7월에 국회를 통과한 미디어법 개정안의 정치적 함의와 법적 문제점을 고찰하고, 개정 미디어법이 향후 정치적?이념적 지형과 공론장(public sphere)에 미칠 영향 전망하는 것이다. 개정 미디어법은 이명박 정부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전략 - 통제와 스핀(spinning) - 과 보수성향의 3대 메이저신문사에 의해 지배되는 언론시장의 이념적 구도 하에서 나온 산물이다. 위기에 놓인 국내 신문산업은 변화하는 미디어시장에 적응하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방송사 겸영 및 지분소유를 통한 방송시장에의 접근을 모색하였고, 이는 정부와 한나라당의 정치?전략적 이익과 부합하는 것이었다. 개정 미디어법의 정치적 성격은 국회 내의 적법한 심의절차를 무시하고, 법적으로 모호한 헌재의 판결을 미디어법 개정안에 대한 유효판결로 밀어붙이는 집권 여당의 행위에서 잘 나타난다. 개정 미디어법은 국내의 정치권력과 언론권력 간의 이념적 성격의 유사성과 정치적 영향력의 지속 및 확대재생산이라는 정치적 목적의 동일성이 중층적으로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개정 미디어법이 보수신문사의 방송겸영 및 지분소유를 허용함으로써 공론장에서의 다양성과 공공성을 해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여론의 독과점을 방지를 위한 정치적 합의와 그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후속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孟子와 茶山 丁若鏞의 정치지도자론 연구

        주인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4 민족사상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tical leaderships in Mencius’s and Dasan Jeone Yak-Yong’s political thoughts and to find out some contemporary implications for Korean political leaders. Even though they lived on th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there are a lot of similarities regarding the legitimacy of political power and the obligation of political leaders. Mencius and Dasan had developed from theories of human nature to the legitimacy of ruling and the origin of political power. According to them, the legitimacy of political power could b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power formation through the approval and support of the common people. And in the process of power exercise, political leaders have the capability to implement actual policies for people’s life. They all shared the needs of the times that people in an exhausted, poor condition had to be relieved not only through political stabilization, but also a series of reforms of social and economical systems. They emphasized especially the political leaders with ethical responsibility and political capabilities, who lead to a ‘righteous government’, or ‘politics by virtue(Mencius) and ‘reform politics for peoples’ balanced life(Dasan)’. Mencius and Dasan could not realize their ideal politics in each political environments, but their political ideals based on political ideology for caring people(Min-bon-joo-ui) and on the political leadership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oday’s political leaders. 본 연구의 목적은 맹자와 다산 정양용의 정치지도자론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맹자와 다산 간의 역사적 배경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정치권력 정당성의 근거와 정치지도자의 정치적 책무에 대한 그들의 주장에는 시대적 거리감을 넘어서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그들은 정치권력의 정당성은 그 형성과정에서 백성들의 뜻과 지지가 있어야 하며, 권력을 행사하는 과정에서는 백성들을 위한 정책을 펼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밝혔다. 정치적 안정과 사회경제적 제도의 개혁을 통해 전쟁이나 정쟁(政爭) 중에 피폐한 삶을 사는 백성들을 구제해야 한다는 점은 두 사상가가 공유하는 시대적 인식이었다. 그들은 ‘백성들로부터,’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위해서는 윤리적 책임감뿐만 아니라 현실 정책을 실현해 낼 수 있는 능력 있는 정치지도자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도덕윤리와 현실 정치능력을 갖춘 정치지도자를 세움으로써 맹자는 왕도정치(王道政治)를, 다산은 균민정치(均民政治)를 이루고자 하였다. 맹자와 다산은 민본주의적인 정치이상을 각각의 현실정치에서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그들이 제시한 민본주의적인 정치의 대의와 정치지도자 상(像)은 오늘날 21세기 현대 정치리더십에도 변함없는 본질적인 내용을 이룬다.

      •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한 인권문제 (부제 : 국제사회의 비판과 정부의 대응 )

        주인석 한국통일전략학회 2022 통일전략 Vol.22 No.1

        This study aims at assessing the objectives and outcome of Moon Jae-in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analyzing international criticism over its stance on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proportion of human rights issues to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inquires international criticism against ‘the government’s position on and response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violation’ and the administration’s reaction to it.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have been very limitedly dealt with in its policy from scratch. They neither approached North Korean human rights with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nor used as a pressure strategy. Moon Jae-in government has persisted in ‘coaxing North Korea’ even amid the escalating criticism from UN, the White House and Congress, foreign affairs experts, EU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has turned a deaf ear to the critical voices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by keeping silence or responding lukewarmly to North Korea’s provocations and blames, not participating in the joint proposal to adopt UN Resolution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PRK, passing the bill prohibiting activists from sending leaflets into North Korean territory, and restricting activit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human rights organizations. After all, as it has failed to cooperate with Biden administration on its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with EU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on human rights issues, the government has not carried out any psychological pressure let alone military and security one to drive Kim Jung-un regime to improv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 next government should approach North Korean human rights as universal issues to use them as leverage in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본 연구의 목표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목표와 성과를 평가하고,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한 정부의 입장과 태도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북정책에 있어서 북한의 인권문제가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북한의 인권침해(탄압)에 대한 정부의 입장과 대응’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과 그에 대한 정부의 대응을 고찰하였다. 북한의 인권문제는 애초에 대북정책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으로 다루어졌다. 정부는 북한의 인권문제를 인권의 보편성에서 접근하지도 않았으며, 대북 압박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하지도 않았다. 문재인 정부는 UN, 미국 정부와 의회, 외교관료 및 전문가, EU, 국제인권단체들의 비판이 증가하는 가운데에서도 소위 ’북한 달래기‘를 고집하였다. 정부는 북한의 도발과 비판에 대해 침묵, 혹은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에 불참하였으며, 대북전단금지법을 주도하고, 탈북자 및 인권단체 조직과 활동을 제한하는 등의 행태로 국제사회의 비판 목소리에 귀를 닫았다. 결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뿐만 아니라 EU 및 세계인권단체들의 인권문제에 대한 대응과도 공조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김정은 정권에 대해 군사안보적 압박은 고사하고 인권개선을 추동하는 그 어떤 심리적 압박도 주지 못하였다. 차기 정부는 북한의 인권문제를 세계 보편적 인권문제로 접근하고, 대북정책에 있어 하나의 전략적 지렛대(레버리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도시 공간구조 재편에 따른 사회ㆍ정치균열의 가능성: 부산ㆍ광주의 ‘도시내부 균열’을 중심으로

        주인석 21세기정치학회 201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9 No.4

        This study focuses on sociopolitical consciousness of citizens living in both the new city center and the original city center that show a disproportionate development internally following the urban space configuration reform in Busan and Gwangju that have representative regional cleavages in Korean politics.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intra-city cleavages, this paper examines relative awareness of each city’s residents on comparable regions as well as subjective recognition on imbalanced growth within the city and illuminates a possibility of social and political cleavages. The survey of the residents in each city center reveals their strong realization that in both cities, the new city center has more developed than the old city center. In life satisfaction, the new city center and old city center of Gwangju don’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using, educational environment, medical and health, and cultural conditions. On the contrary, in case of Busan, in every area except for public transportation, the satisfaction degree is much higher in the new city center and in general satisfaction of life, the gap between two city centers are really large. Each city center in both cities, they greatly prefer ‘the local political party that can solve regional issues’ to those parties based on ideologies. The residents also show their tendencies to vote for policy pledges rather than ideological partiality and agree on the vitalization of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In two cities, they are intensively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commitments and show a strong likelihood to vote for the political party that suggests policy pledges to solve regional issues. This possibility appears more intensively in Busan than Gwangju, and within Busan, in the new city center than the old one. A possibility of any unexpected changes beyond the regional cleavages between Yeongnam and Honam is higher in the new city center of Busan. As a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on the disproportionate development between the new and old city center of Busan and Gwangju, can be understood as social cleavages. Whether these social cleavages will turn into microscopic political ones depends on ‘political intervention’ such as election campaigns of political parties and elites.

      • KCI등재후보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의 사회개혁사상에 관한 연구

        주인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7 민족사상 Vol.1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Damheon(湛軒) Hong Dae-yong(洪大容, 1731-1783) as not only a Silhak scholar, man of letters and modern natural scientist but an intellectual and social thinker who tried to reform his contemporary society. Hong Dae-yong is usually considered a Silhak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Northern School of thought, so few have studied him as a thinker to reform the situations of his time. It is not easy to raise an objection to the fact that Hong Dae-yong is a scholar with a high standard of expertise in diverse fields including Neo-Confucianism, astronomy, mathematics, music, politics and economics. Besides, it is also true that he exerted influence on the Northern School of thought such as Park Ji-won, Pak Je-ga, and Yi Deok-mu. In Hong Dae-yong’s philosophy and view of the world, his deep concerns over corrupted and incompetent politicians of the time, socioeconomic situations pushing the people into fetters of life are deeply rooted. His academic tendency, philosophy and thought showed a sudden change after his visit to Yanjing(now Beijing), China. The result of the journey led him to another path different from that of then Silhak scholars and Northern School thinkers. The essentials of it include changed Sinocentrism and reforms in such sectors as caste system,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Academically, Hong Dae-yong’s stance reveals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that of Northern School thinkers as he dreamed of reforming the national dimension into an egalitarian society and establishing an equal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which was then in a ruling status. In this respect, an approach based on social ideas is needed to Hong Dae-yong’s Catechism of Eusan mountain and Imhagyeongryun. In case of limiting Hong Dae-yong’s thought as a Silhak scholar, Northern School thinker, man of letters, and natural scientist, we may commit an error of disregarding his concerns and dreams of social reforms as an intellectual and thinker. To wholly restore his ideas penetrating a period in the late Joseon Kingdom will be a significant work to ruminate on Hong Dae-yong's academic and practical messages to us who fac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hese days. 본 논문은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을 실학자나 문인, 근대 자연과학자로서만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를 개혁하고자 했던 지식인 및 사회사상가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흔히 홍대용을 18세기 조선 후기의 실학자나 북학사상을 근간을 이룬 인물로 보지만, 당대의 시대적 상황을 개혁하고자 하였던 사상가로 다룬 연구는 흔하지 않다. 홍대용은 성리학, 천문학, 수학, 음악,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가진 학자라는 점에는 이의를 제기하기 힘들다. 또한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 등과 같은 북학파에 영향을 미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홍대용의 철학과 세계관 속에는 당대의 부패하고 무능한 정치권, 백성들의 삶을 질곡으로 밀어 넣은 사회경제적 상황에 대한 고민이 깊게 담겨져 있다. 그의 학문적 경향이나 철학 및 사상은 중국의 연경을 다녀 온 이후로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담헌은 철학이나 사상은 당대의 실학자나 북학사상가들과 공유하는 점이 많으나, 독특한 측면도 적지 않다. 그의 사상의 핵심은 바로 화이관의 변화, 신분제나 행정, 교육 등 분야별 개혁이 포함된다. 담헌은 일국적 차원에서 평등한 사회로의 개혁을 꿈꾸어 왔으며, 대외적인 관계에서도 당시 지배적인 위치에 있었던 중국과 평등한 관계를 꿈꾸어 왔다. 이러한 점에서 홍대용의 [의산문답]이나 [임하경륜]에 대한 사회사상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담헌 홍대용의 사상을 실학자, 북학사상가, 문학자, 자연과학자로 규정해 버리게 될 경우, 그의 사상이 담고 있는 지식인, 사상가로서의 고민과 사회개혁에의 꿈을 사장해 버리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조선 후기의 한 시대를 관통한 그의 사유를 온전하게 복원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담헌의 사상이 오늘날 정치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목도하고 있는 우리들에게 주는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찾아보는 학술적 노력이 계속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