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실 역사수업의 특성 - 뇌 기반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접근 -

        주웅영 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논집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 brain-based history less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room. Under the prerequisite that every learning happens in the brain, Brain-based learning as an innovative teaching method for the 21 century that aims to construct an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 to effectively utilize a learner's brain based on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mental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brain is a new approach for practical purpose. In this approach, learner-centered, knowledge-centered, assessment-centered, and community-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should be built and should work in a integrate way for such elements to be relating and having an influence on each othe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brain-based learning is self-system. Learner's interest and background knowledge are the starting point of learning because his cognitive system works only after his self system is operated through his own metacognition. Next is to learn academical structures of history in which learning subskills in the sub-area of historical thinking is an important task. Finally, adaptive expertise referring to deep understanding and transition that brain-based learning emphasizes can be achieved in the project approach or problem-solving learning approach only. Even though brain-based learning is a good teaching approach, actualizing it into the history classroom totally depends on teacher's expertise. Teachers should know about their learners as well as understand subject contents and academical structures of history. Particularly, this approach can be actualized based on teachers' research method knowledge and deep understanding of historical epistemology. That is the reason why brain-based learning emphasizes teacher's expertise.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의 인식 문제

        주웅영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6 사회과교육 Vol.45 No.4

        On the Recognition of the Elementary History Teaching in Social Studies Joo, Woong Young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currently belongs to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This calls for an examination of history teaching conceived as a part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 The integrativity of the social studies is reasonable in that elementary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reinforced by integrating contents from other fields of study. However, problems often arise from the fact that elementary history teaching is recognized as part of the subject social studies, not as being independent. Therefore, we need to examine how educators recognize elementary history teaching that is a part of soci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the recognition of history teaching within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by examining the principles of content organization for the subject, analyzing problems involved in the choice of contents (e.g. what to choose and what priority to be given to it), and comparing re-organizations of book contents with their relevance to the work in the classroom. This paper, hopefully, will give some suggestions as to how to level up the quality of the classroom studies of history in order for students to elevate their historical thinking power. 초등학교의 역사교육은 사회과에 통합되어 있다. 이는 사회과라는 측면을 고려하면서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인식문제를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을 제고하게 된다. 사회과는 교수내용의 통합이 이루어질 때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역사영역 교수학습이 강력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초등 사회과의 통합은 어린이들의 학습이라는 측면에서는 논리상의 명분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 역사교육이 아니라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이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을 둘러싸고 형성된 인식의 문제를 검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과 교육과정의 규정에서 내용편제의 원리를 추출하여 검토해 보고, 내용선정의 범위와 조직의 계열성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분석해 보며, 교과내용의 재구성과 교실수업의 양상과의 관련성을 비교ㆍ검토해 봄으로써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에 대한 기존의 인식문제를 규명해 보려고 하였다. 결국 이러한 작업은 학생들의 고등사고력 내지 역사적 사고력을 육성하기 위해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역사학습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려는 노력과 시도들에 대해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 4학년「사회」에 실린 어휘의 성격과 교수·학습자료와의 관련성 탐색

        주웅영,정경훈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5 No.1

        초등 사회과 교실수업에서 어휘에 대한 이해는 초등학생들의 기본적인 학습과제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어휘에 대한 이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회」교과서의 내용은 물론이고, 여타 교수·학습자료의 활용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회」교과서에 실려 있는 어휘에 대한 이해는 교실수업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핵심적인 문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어휘들을 교실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해 보는 것은 중요한 교수전략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4학년은 어휘나 학습의 측면에서 중요한 분수령의 하나로 이해되고 있다. 특히 4학년부터 추상적인 어휘들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는 시기라는 점에서 볼 때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3학년 에 서 분과된 초등 사회과는 4학년부터 본격적인 교실수업이 수행되는 시기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4학년 「사회」교과서에서 어휘를 추출해서 분류해 본 결과 이전 학년에 비해 상당히 추상적인 어휘들이 많이 나오기 시작하는 점에서도 그러한 점은 잘 드러난다. 그러므로 이 시기부터 비문자자료에서 점차 문자자료로 이동해야만 할 것이다. 초등 4학년 「사회」교과서에 설린 어휘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우선적인 방법은 다양한 교수전략을 모색해 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들 어휘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있다. 이들 다양한 교수· 학습방법이 교실수업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관련 참고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반드시 강구되어져야만 가능할 것이다. 이들은 교과서가 근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초등학생들의 어휘에 대한 이해를 원활히 안내하고 도와주며 촉진하는 가장 기본적인 교실수업의 토대이자 전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최근 미국 초등 역사교육 연구의 동향

        주웅영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미국의 초등 역사교육이 획기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지금부터 20여 년 전이다. 종전 미국의 초등 역사교육은 대개 교실수업을 중심으로 교사의 강의와 학생의 암기, 그리고 단원의 마지막에 부과되는 시험으로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상황이 보편적이었다. 이러한 양태의 교실 수업은 역사의 사회과 통합과 지역확대 교육과정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서 교과서의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진도를 나아가는 '개관 강의' 중심의 수업 형태였다. 이 변화는 영국에서 시발되어졌다. 당시 영국에서 나온 새로운 연구성과들은 초등 역사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시각의 전환과 그를 토대로 한 연구동향의 변화를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들 연구들은 그 이전부터 초등 역사교육의 성격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틀을 제공해 오면서 역사교육의 성격 규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소위 'Piaget-Peel-Hallam 모델'이 지닌 한계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결과에 따른 산물이었다. 당시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시각의 수립은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 초등 역사교육의 연구 경향에 영향을 미쳐 미국에서 초등 역사교육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이들 미국의 연구성과들은 Paul Hanna에 의해 이론적 근거가 제공된 '지역확대 교육과정'이 지닌 단점을 극복하고 그 대안적인 접근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결국 이들 연구는 교육과정의 개정을 촉구하는 계기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토대로서 기능할 수 있었다. 원래 교육과정의 개정은 교과에 대한 인식시각을 토대로 개정되면서 교과 내용의 선정·조직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영국에서의 연구성과들은 National Curriculum의 성립, 미국에서의 연구성과들은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의 구안을 촉구하면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결과 역사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에서 점차 중심적인 교과로서의 위상을 회복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었다. American 2000은 그러한 점을 잘 보여주는 상징적인 예들 중의 하나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최근까지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이론연구들이 추천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지지해 줄 만한 증거나 조사연구가 너무나 적다는 사실이 차후 미국 초등 역사교육이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러한 연구들은 현장교육을 토대로 민족지적 방법을 통하여 논증하는 실험연구의 형태로 수행될 경우에만 해명될 성질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미국사 가르치기 프로그램에서 잘 드러나듯이 이들 초등 역사교육의 이론연구들이 현장교육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실험연구와 결합하여 현장교육에 적용될 수 있을 때 초등 역사교육의 이론연구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되어 비로소 초등 역사교육으로서 완결의 의미를 지니면서 초등 역사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과정으로서 초등학교 역사 배우기의 전제

        주웅영 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논집 Vol.80 No.-

        In Korea, 2015, which are highlighted throughout the world through the curriculum revision in ' nurturing core competencies " we are trying to. This is possible only when classroom instruction in school education is shifted from teacher-centered or state-led to student-centered or state-led classroom. In this sense, social constructivism is a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and principle that is noticed, and the school operation system of th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is a symbolic example that best illustrates studen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Studen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requires restructuring of teachers first, so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on the premise of restructuring of teachers.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y can only function on the basis of the school management system, which transforms the principal's hiring method which has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reorganization of school culture and secures the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of the teachers. Therefore, the desig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hange of the method of hiring principals, and the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of teachers a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which is a very important issue for the conversion and implementation of perceptions of each element within a system. They are the foundation on which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can be exercised in the classroom. It has the property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conduct study with teachers' action research or university professors. That is, problems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school operation is carried out from the bottom up based on the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of the teachers.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switch from traditional teacher-centered classroom classes to student-centered classroom classes without restructuring the school management system. In spite of the theoretical studies of many classroom history lessons of elementary school, the classroom class does not change due to the fact that the school management system is not restructur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goals nurturing of historical thinking or in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efforts to foster 21 century core competence is possible only studen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and student-centered classroom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school administration system, th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is reveled symbolically.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역사탐구를 위한 질문 형성 활동의 특성

        주웅영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a question formation activity for historical inquir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In a historical inquiry process, students should take a problem recognition activity. In this stage or in this activity, historical inquiry may not happen if they do not ask questions of a learning topic or problem with doubt. Thus the importance of asking a question of a learning topic by the students themselves can not be stressed too much for historical inquir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This questioning is an intellectual skill for social studies. If this skill is mastered other skills may be well learned. So it is the activity to premise transfer of learning. But it is not learned by one practice. It is a learning goal to attain by long term practice and feedback. Therefore for students to master the skill to ask an essential question, teachers should help them participate in the class, which is a disciplinary inquiry community. In the past teacher-generated questions were emphasized. Recently learning a question formulation technique is emphasized as student-generated questions are important. This technique is the product of an effort to transfer teacher-generated questions to student-generated questions. When students master this technique by performance exercise in historical classes, therefore, students as learners can come to raise essential questions for historical inquiry. 이 논문은 초등 사회과 역사탐구를 위한 질문 형성 활동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분석해 보려는 연구이다. 역사탐구의 과정에서 학생들이 수행해야 할 문제인식의 단계와 절차라는 활동이 있는데, 이 활동에서 학생들은 학습해야 할 주제나 문제에 대해 당혹감이나 의문을 가지고 질문을 제기해야만 적어도 역사탐구를 수행하는 학습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교실 역사탐구에서 학습자로서 학습해야 할 주제나 문제에 대해 학생이 스스로 제기하는 본질적 질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되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이 질문하기는 사회과 학습을 위한 지적 기능의 하나이다. 이들 기능에 숙달되면 다른 영역의 학습도 잘 할 수 있으므로 학습의 전이를 전제로 하는 활동이다. 하지만 이 기능은 한 번의 연습이나 수행으로 숙달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고, 연습과 피드백이라는 과정을 통해서만 성취될 수 있는 학습 목표인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가 학문적 탐구 공동체로 설정한 교실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탐구학습에 참여하도록 할 때 본질적 질문을 제기할 수 있는 지적 기능에 학생들은 숙달 될 수 있다. 종래에는 교사 주도의 질문이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근래 학생이 주도하는 질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질문 형성 기법(Question Formulation Technique)을 적용하는 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이 기법은 교사 주도의 질문하기에서 학생 주도의 질문하기로 전환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교실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이 탐구과정을 수행하면서 이 기법을 연습하여 숙달될 때 비로소 학생들은 학습자로서 역사탐구를 위해 본질적 질문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역사학습을 위한 내용선정과 조직에 관한 새로운 이해

        주웅영 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논집 Vol.49 No.-

        Guidelines for the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for history instruction in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 be see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extbooks, and their teachers' guides. These guidelines, however, do not seem to be reliable for development of children's historical thinking as a goal of history education. They need to make it clear whether they are actually guidelines teachers get aid or law teachers have to obey. If not, it will be hard to practise various good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in the classroom.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demands to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s based on the principle of "environment expending" This principle has been claimed not to be appropriate for historical education as it appears in the debates in USA over the issue of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in primary social studies. For example, one of the best way for students to learn key notions and generalization in the history course is try to organize their own family histor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nvironment expending, however, this is not possible to apply to 3th and 4th year history classes. Aa an alternative, I suggest that the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for history instruction in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should be based on students' interest. Since reconstitution of textbook contents is a basic part of the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it applies to history classe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 by teachers. Before this, it is crucial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at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their teachers' guide should be taken just as a good reference, not as law.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의 목적과 교실 역사수업의 실제

        주웅영 역사교육학회 2010 역사교육논집 Vol.45 No.-

        Histor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elps children prepare themselves for the future society. Then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fostering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A democratic citizen know how to make a reasonable decision, and a reasonable decision is possible only when one has skills to draw and organize scientific knowledge. This implies much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 goal of teaching histor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stering historical thinking, accords well with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Historical thinking is ability for children, when they face a historical problem or issue, to collect relevant materials and draw a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 making this point clear help us understand historical thinking. If the goal of teaching histor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fostering historical thinking, history classe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approach history using the exploration and project method. If not,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not be accomplished, the goal of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cannot be achieved, and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will be degraded to a subject of memorization. Finally, it is very important that teachers should know how to reorganize the textbook contents and seriously consider collection of rich materials before clas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