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체는 어떻게 소통되는가? : 니클라스 루만의 ‘공생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주요섭(Ju Yoseop)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3

        소통은 왜 괴로울까? 더 많은 소통에 대한 욕구와 그에 비례하여 더욱 커지는 소통의 어려움은 사람들을 ‘몸의 사회학’ 혹은 ‘정동적 소통’으로 이끌고 있다. 그리고 ‘소통하는 신체’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생산하고 있다. 그런데 체계이론가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은 조금 다른 각도에서 신체와 소통을 이론화하고 있다. ‘상징적으로 일반화된 소통매체(generalized symbolic media of communication)’와 ‘공생 메커니즘(symbiosis mechanism)’ 등이 그 이론적 도구들이다. 루만에 따르면, 소통은 너무도 당연하게 신체를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 신체는 ‘소통하는 신체(a communicating body)’가 아니다. 신체와 소통은 공생적이지만, 신체는 사회적 상징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화폐라는 소통매체에서 ‘필요’는 공생적 상징이다. 그것은 ‘자연적 사실’이 아니라 사회적 지시체다. 신체는 사회적 소통매체를 통해서만 소통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신체는 교란과 자극을 통해 소통을 일으킬 수는 있으나 직접 소통할 수는 없다. 루만에게 ‘소통하는 신체’란 없다. ‘교란-자극하는 신체(a irritating body)’만 있을 뿐이다. 이 점에서 니클라스 루만의 ‘공생 메커니즘’은 ‘정동적 소통’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물론 신체는 교란과 자극의 원천이기 되기는 하다. 그러나 교란이 곧 소통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체계이론의 맥락에서 괴로움의 원인은 소통이 몸과 연결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소통이 몸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착각 때문인 것이다. 결국 소통은 신체를 전제로 하지만, 신체를 떠나야 소통할 수 있다. 그리고 비신체성을 통해 소통의 신체성을 보장한다. ‘소통의 신체성과 비신체성의 역설’이다. 오늘날 사회는 공생적 상징이 인플레이션 되면서, 다시 말해 소통의 탈-신체화가 가속되면서 공생 메커니즘이 무너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통의 신체성과 비-신체성의 역설에 주목하면서, 신체와 소통의 재-공생화, 나아가 또 다른 공생 메커니즘의 발명을 도모해야 할 때이다. Why is communication so distressed? The desire for more communication and the growing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re leading people to ‘sociology of the body’ or ‘affectiv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is producing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communicating body’. However, systems theorist Niklas Luhmann theorizes body and communication from a slightly different angle. ‘Generalized symbolic media of communication’ and ‘Symbiotic mechanism’ are the theoretical tools. According to Luman, communication takes the body for granted. However, in this case, the body is not a ‘communicating body’. Communication with the body is symbiotic, but the body is used only as a social symbol. For example, in the communication medium of money, ‘need’ is a symbol of symbiosis. It is not a ‘natural fact’ but a social reference. The body can only be communicated through social media. In other words, the body can initiate communication through disturbances and stimuli, but not directly. For Luman, there is no ‘communicating body’. There is only ‘disturbing-stimulating body’. In this respect, Niklas Luhmann’s ‘symbiotic mechanism’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affective communication’. The body is, of course, a source of disturbance and stimulation. However, disturbance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communication. Therefore, in the context of systems theory, the cause of suffering is not because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body, but because of the illusion that communic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dy. In the end, communication presupposes the body, but communication is possible only after leaving the body. And the physicality of communication is ensured through immateriality. It is the ‘paradox of physicality and immateriality of communication’. In today’s society, it seems that the symbiotic mechanism is collapsing as the symbiotic symbol is inflated, that is, the de-embodiedization of communication is accelerating. It is time to pursue the re-symbiosis of the body and communication, and furthermore, the invention of another symbiotic mechanism, paying attention to the paradox of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of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