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어, 만주어의 의문첨사 비교 -몽어노걸대, 청어노걸대를 중심으로-

        주수현,T.Otgontuul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0 No.-

        In this paper, interrogative sentences were abstracted from the 『蒙語老乞大』 and the『淸語老乞大』to compare questions and interrogative particles in the Mongolian language and the Manchu Language. The questions in the Mongolian language and Manchu language divided into those with and without interrogatives. We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interrogative particles shown in interrogative sentences without interrogatives, because interrogative particles do not appear in sentences in the case of interrogative sentences with interrogativ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 the interrogative sentences without interrogatives were divided into the general interrogative sentences and the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nd the forms that interrogative particles are combined with predicates and substantives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follow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1) In the Mongolian language and the Manchu language, present and past tenses are not distinctively distinguished. The same is applied to the questions and the present and future question form is the same. As it is applied to both general interrogative sentences and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care must be taken of in the interpretation. 2) When asking about a certain event in the past at present, ‘nau/neu’ is used the Mongolian language and ‘mbi+o’ is used in the Manchu language. Those forms are generally used to make a present question and a future question, but the speaker can also use this form when asking the past event at present to make the listener recall the past. 3) ‘buyu(bui+uu)’ in the 28Mongolian language and ‘bio(bi+o)’ in the Manchu language can be used as the meaning of auxiliary verb and substantive verb. They can mean present or future according to the context. 4) When making a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 ‘ugei uu’ in the Mongolian language and ‘akūn’ in the Manchu language are the most common form. They are ① inclusive negatives to negate predicates and substantives ② the vowel deletion by the preceding verb is seen ③ alternative interrogatives are commonly used to make a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 Differences are as follows; it is common to have space between the preceding part of speech and the interrogative particle in the Mongolian language, while in Manchu language there is no space between the interrogative particle and the preceding part of speech. Additionally, the followings were identified; 1) when ‘ni’ combines with the interrogative particle ‘o’ in Manchu language, ‘nio’ is used to make an interrogative sentence or to distinguish meaning, 2) When ‘ra/re/ro’, which are known to future indicative particles, are used in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 they can mean both of present and future. 본고에서는 『蒙語老乞大』와 『淸語老乞大』에서 의문문을 추출하여 몽골어와 만주어의 의문문, 의문첨사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老乞大』는 본래 한어로 쓰였으나 내용과 어학 교재로서의 우수성 덕분에 몽골어와 만주어로도 번역되어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로 널리 쓰였다.(최동권, 2012:5) 이들은 구어체를 문어로 기록한 문헌이기에 당대에 사용되던 어휘나 생활상, 문화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며 국내외에서 18세기 만주어, 몽골어, 한국어의 연구에 활용되어왔다. 노걸대 언해본들은 문헌 특징상 대화체로 된 회화교재이므로 대부분이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서술문과 의문문이 문헌 전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김성란, 2006:19) 의문문의 사용 빈도가 높아 본 연구에 적합하고 『老乞大』라는 교재를 기준으로 몽골어와 만주어로 번역하였기에 기본적인 내용과 형태가 일치하므로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양 언어의 비교연구 자료로서 사용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의문첨사의 형태 분석을 위해 의문사의 유무에 따라 문장을 분류하여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 나타나는 의문첨사 비교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는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의 경우 문장 내 의문첨사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은 크게 일반의문문과 부정의문문으로 구분하여 의문첨사가 용언과 체언에 결합하는 형태를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양 언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용언의 경우 동사의 시제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일반의문문-부정의문문의 순서, 용언-체언의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 KCI등재

        개인여행비용법(Individual Travel Cost Model)에 의한 금정산 방문객의 경제적 가치추정

        주수현,이동철,허윤정 대한경영정보학회 2014 경영과 정보연구 Vol.33 No.2

        부산의 금정산은 도시 숲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시민들의 방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태 계 보전을 위한 비용은 증가하고 있다. 도시 숲에 대한 보전과 이용의 양 측면을 고려하면서 지속가 능한 환경자원으로서 금정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비용편익 관점에서 정책적 판단이 중요해지고 있 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 숲의 편익을 화폐적 가치로 측정하여 환경정책의 경제적 효율성을 확보하자 는 취지에서 금정산의 가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금정산을 당일 방문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 녀를 개인면접의 방식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개인여행비용법(ITCM)으로 가치를 추정하였다. 종속변 수인 여행횟수가 특성상 비음정수이므로 가산자료모형인 포아송 모형, 음이항 모형, 절단된 포아송 모형 및 절단된 음이항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추정된 금정산의 1회 여행에서 얻은 경제적 가치는 60,669원이고, 총경제적 가 치는 252,383원으로 계산되었다. 여행비용(COST)을 적용하였을 때 절단된 음이항 모형으로부터 관 광수요모형을 추정하여 보니 예상했던 바와 같이 여행비용(COST)이 적을수록 여행횟수가 증가하였 고, 연령(AGE), 결혼여부(MAR), 그리고 경관 만족도(SATI)는 방문수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the Kumjung Mountain, using a Individual Travel Cost Model(ITCM). This paper compares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count data models to measure the tourism demands. Interviewers were instructed to interview only individuals. So the sample was taken in 700. A dependent variable that is defined on the non-negative integers and subject to sampling truncation is the result of a truncated count data proc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is improved overdispersion problem and more preferred than the other models in the study. This study emphasizes in particular ‘travel cost’ that is not only monetary cost but also including opportunity cost of ‘travel time’. According to the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estimates the Consumer Surplus(CS) values per trip of about 60,669 Korean won and the total economic value was estimated to be 252,383 Korean won.

      • KCI등재

        부산지역 경기종합지수 개발과 경기변동 분석

        주수현,유영명,이동철 한국자료분석학회 200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gional Business Cycle in Busan Metropolitan Area, especially reviewing its Coincident Composite Index. As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as the follows.First, basic statistical data should be accurately examined to raise the usefulness of regional composite. For Busan, it would be desirable to utilize coincident composite index and indices focusing on the state of employed persons by industry non-farm households, Industrial ProductionㆍShipment, Electric power consumption, trade, Export, Bills clear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e leading composite index as well as coincident composite index reflecting regional economy. Third, a variety of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to analyze many different indices such as diffusion index, econo-metric model, business survey and consumer sentiment indices. 부산지역의 동행종합지수를 작성하기 위해서 11개의 후보지표를 이용하여 시산 작업을 시행한 결과 비농가 취업자수, 산업생산지수, 생산자 출하지수, 전력판매량, 소비재 출하지수, 대형소매점불변판매지수, 실질수출액, 실질어음교환액 등 8개 지표를 선정하는 것이 부산지역의 경기동향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지역 경기동행종합지수와 통계청에서 발표한 전국지수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전국의 경우 1980년대 하반기 이후 지속적인 성장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나 부산지역의 경우 1980년대 말 이후 뚜렷한 정체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전국과 부산 모두 경기순환기간이 90년대 후반기 이후로 상당히 짧아지는 현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부산지역의 경기저점과 정점은 전국과 거의 유사하지만 경기국면에 있어서 확장기간은 전국에 비해 짧은 반면 수축기간은 훨씬 긴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경제는 전국과 달리 외부적 충격에 대해서는 훨씬 빨리 반응하는 반면 경기회복기에는 서서히 반응하는 경기비대칭성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가스요금의 상승에 따른 지역물가 파급효과 분석

        주수현,이동철 한국자료분석학회 200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7 No.1

        There is secured the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by price adjuster function of demand and supply under the free market economy, but the government directly regulated price adjuster function when it occurred not guarantee price itself formation due to economy of large scale and thus economic efficiency of resources allocation or social values. Even there are regulations on regional charges for public utilities, there were much difficulties in deciding the level of charges for them due to big gaps of recognition differences between the supplier and the consumer on the spreading effects of raise of charges for public utilities to regional prices. This research is designed for analyzing spreading effects on regional, industrial prices and CPI & WPI which caused by raise of gas charges by using Regional Industry Correlation Table(ICT). 자유시장경제하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가격 조절기능에 의해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확보되고 있으나 규모의 경제 등으로 시장의 자율기능에 의한 가격형성과 그에 따른 자원배분이 경제적 효율성이나 사회적 가치를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정부가 직접 가격을 규제하기도 한다. 지방공공요금도 이런 차원에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공요금 상승에 따른 지역물가에 대한 파급효과에 대해 공급자와 수요자의 현격한 인식차이가 있어 공공요금의 수준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대표적 공공요금인 가스요금 상승에 따른 지역물가 파급효과를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업별 및 지역별로 분석하고, 가스변동요금에 따른 생산자·소비자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지역차원에서 공공요금의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으로 향후 버스요금, 지하철요금 등에 의한 지역물가 파급효과 분석 자료를 근거로 하여 지방자치단체가 통제 불가능한 외부충격으로서 유가인상, 노조파업 등에 따른 외부충격의 업종별 물가파급효과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물가파급분석을 위한 모형을 활용함으로서 각종 충격에 대한 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가능하므로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큰 의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서울시 특별구역의 시기별 개발특성분석을 통한 제도개선방향 연구

        주수현,김도년,임희지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5

        Special District is an urban design policy for controling important sites in Urban Design Districts for future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40 Special Districts Development cases and guidelines through Time Series Study. According to the survey of Special District developments, which have developed since 2000, 70 percents of buildings are being planned(some cases is already under construction) or built as a Super-tall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 However, these super-tall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in Special Districts are planned without a consideration of an urban situation and local condition. Furthermore, in many cases Special District development got a lot of incentive in compensation for the public spaces provided but most cases, the public spaces are provided at an unsuitable place. In order to induce development that fits the local conditions and proposes operating plans these improvements are necessary. First, the standards of controling the use and height are needed at the city level. second, variety incentive items should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