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태도 및 기술사용의향 관련 요인

        주수산나 ( Joo¸ Susanna ),최봄이 ( Choi¸ Bomi ),전혜정 ( Jun¸ Heyjung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기술수용에 관한 Almere model에 기반하여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태도 및 기술사용의향에 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인지기능의 문제가 없는 65세 이상 노인 310명이다. 기술수용성은 기술수용태도와 기술사용의향으로 측정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여부, 가구소득이 포함된다. 건강상태에는 노쇠여부, 만성질환보유여부, 신체건강, 정신건강, 활동제한, 규칙적 운동여부가 포함된다.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에 대해 노인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이 전체의 71.9%인 반면, 긍정적인 기술사용의향을 가진 사람은 전체의 53.9%로 나타났다. 또한 일하고 있는 노인이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노인이 이동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기술사용의향과 관련해서는 노쇠한 노인과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더 긍정적으로 웨어러블 로봇 사용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기술수용태도를 가진 노인일수록 긍정적인 기술사용의향을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로봇에 관한 기술수용태도 및 기술사용의향에 관한 기초정보를 제공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levant factors of technology acceptanc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for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d 310 older people who are 65 or older without cognitive impairments. Technology acceptance was measured with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usage intention. Predictors included socioeconom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performed. Result: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71.9% of the participant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echnology, while 53.9% reported an intention to use the technology. Older adults who had a job and chronic diseases, and exercised regularly tended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wearable robots. People with frailty and regular exercise habit we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usage intention. Finally, people with a more favorable technology acceptance attitude reported more positive usage inten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e primary information on older people’s technology acceptance about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 KCI등재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중년기와 노년기 남성과 여성의 악력 차이

        주수산나(Joo Susanna),전혜정(Jun Hey Jung),박하영(Park Hayoung)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라 중년기와 노년기 남성과 여성의 악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독거여부와 거주지역(도시, 비도시)이며, 종속변수는 악력이다. 통제변수로는 연령, 교육수준, 로그변환된 가구소득, 배우자 여부, BMI(Body Max Index), 주관적 건강, 우울감, 인지기능 수준, 흡연여부, 규칙적 운동여부, 친한 친구와 만나는 횟수, 참여하는 사회적 모임의 수가 모형에 포함되었다. 분석은 중년기 남성과 여성, 노년기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되었으며, 분산분석과 카이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가 분석되었다. 회귀분석 이후 유의한 분석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한 집단을 대상으로 분산분석과 카이검증이 추가적으로 실시되었다. 모든 분석에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의 5차년도 횡단 가중치가 적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노년기 여성들의 악력 평균이 악력의 이상치를 판별하는 절단점 점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노년기 여성들이 다른 생애주기나 노년기 남성들과 비교했을 때 악력과 관련하여 임상적 취약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년 남성과 노년기 남성, 노년기 여성에게서는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악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년 여성들에게 있어서는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악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도시 지역에 홀로 거주하는 독거 중년 여성이 다른 중년 여성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가장 낮은 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인 분석에 따르면 비도시 독거 중년 여성은 낮은 학력과 낮은 가구 소득 등 다른 중년 여성들에 비해 건강에 더 취약한 요인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노년기 여성과 비도시에 홀로 거주하는 중년기 독거 여성들에게 악력과 관련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국가 전체를 대표하는 대표성 있는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분석을 통해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중노년기 악력과 관련한 정책적 대상자를 선정하는 것과 관련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Demographic and socio-structural information is useful to identify potential welfare recipients who are in need of disease-prevention and intervention services. Thu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grip strength among middle and old-aged adults by living conditions and by living area. The 5th wave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s utiliz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grip strength,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iving alone (living alone or not) and living area (city or non-city). Covariates were age, education, log-transformed household income, spouse existence, body mass index, self-rated health conditions,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function, smoking, regular exercise, frequency of meeting with friends, and the number of social particip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middle-aged men, middle-aged women, old-aged men, and old-aged women, respectively. ANOVA and Chi-test were additionally used to specifically discuss significant results. Cross-sectional weight was applied to all analyses. According to the results, living alone and living area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grip strength among middle-aged men, old-aged men, and old-aged women. In middle-aged women, however, living alone and living are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ip strength. To be specific, middle-aged women who lived alone in rural areas had the lowest grip strength compared to other middle-aged women. Additional analysis showed that middle-aged women who lived alone in rural areas had risk factors, such as low education level, low income, or high depressive symptoms. It implies that middle-aged women living alone in rural areas may have physical health risks, so they might be in need of disease prev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latent welfare recipients by using representative panel data and applying weight values.

      • KCI등재

        부모기 전이 부부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주수산나(Joo, Susanna),전혜정(Jun, Hey Jung)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3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산을 통해 부모기 전이를 경험한 부부인 남편과 아내 각각의 부부갈등이 부모기 전이 1년 동안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08년-2009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08년에 첫 자녀 출산을 통해 부모기 전이를 경험한 602쌍의 부부(남편 602명, 아내 602명)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종속변수는 2차년도의 결혼만족도이며, 독립변수는 1차년도에 조사된 부부갈등이다. 또한 부모기 전이 1년 동안 발생한 결혼만족도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시차내생변수로서 1차년도에 측정된 결혼만족도를 모형에 투입하여 통제하였다. 부부인 남편과 아내 각각의 종속변수인 결혼만족도에 대한 오차항의 상호상관을 고려하기 위해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내가 보고한 부부갈등과 남편이 보고한 부부갈등은 아내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내가 보고한 부부갈등과 남편이 보고한 부부갈등은 남편의 결혼만족도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부갈등을 다루는 부부의 상호작용방식에 대한 개입을 통해 부모기 전이기에 아내와 남편의 결혼만족도 하락을 직간접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first (in 2008) and the second(in 2009)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data were used. Sample was 602 married couples who delivered the first child in 2008. Dependent variable was marital satisfaction in 2009. Independent variable was marital conflict in 2008.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in 2008 was included in the model as a lagged variable.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was analyzed for considering interdependency between husbands and wives within couples. Results showed that marital conflict reported by wives and husbands had effects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wives. However, those did not have effects on the change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husbands. It implies that intervention programs about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may directly/indirectly help married couples in transition to parenthood to enhance their marital quality.

      • KCI등재

        자기분화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부관계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주수산나 ( Susanna Joo ),전혜정 ( Hey Jung Jun ),왕순경 ( Soon Kyung Wa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5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0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differentiation of self affects the levels of happiness via the degree of marital relationship among middle-aged marital couples.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as a dyad unit consisting of 349 married couples (N=698 individuals). The mean age of husbands and wives was 54.63 (SD=6.91) and 52.08 (SD=6.61),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Gyeonggi-do who visited there in order to participate in couple intervention programs, and the survey was completed before the programs started. The mediation analysis was based on path analysis followed by bootstrapping with the use of Mplus 7.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or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same way between husbands and wives, yet the partner effects were different by gender. Several indirect paths betwee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happiness via marital relationship were found, in particular. That is, perceived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n indirect actor effect on happiness via marital relationship for both husbands and wive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wives`` differentiation of self had two indirect partner effects on their husbands happiness via marital relationship among wives and among husband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both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intimacy or marital commun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s of happiness i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방식과 정신건강의 관련성

        김민선(Kim, Min Sun),주수산나(Joo, Susanna)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3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정신건강 증진과 스트레스 회복을 위하여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방식과 그들의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평가(위기, 도전, 위협) 및 대처방식(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 역기능적 대처)과 우울감, 삶 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29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했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 수준, 가정의 월평균 소득, 주당 근로시간(36시간 이상, 36시간 미만), 미취학 자녀 유무)과 부모의 결혼 만족도를 통제변수로 포함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방식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우울감과 삶 만족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을 위기로 평가하거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로 역기능적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우울감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반면 이를 도전으로 평가하거나 문제중심적으로 대처할수록 우울감이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을 도전으로 평가할수록 삶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위협으로 평가할수록 삶 만족도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VID-19 상황을 위기보다는 하나의 도전으로 평가하도록 돕고, 다양한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방법이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정신건강을 증진 시키는데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s of stress appraisal and coping of dual-income parents with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their mental health for the promotion of their mental health and recovery from stres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data on 299 person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cluding their socio-demographic factors (sex, age, education level,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weekly working hours (More than 36 hours and less than 36 hours), and whether they have preschool children or not) and marital satisfaction scale as control variables to check the correlations of stress appraisal (crisis, challenge, and threat) and coping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dysfunctional coping) wi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social distancing situation due to COVID-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ress appraisal and coping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dual-income parents with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articular, those who appraised the social distancing situation due to COVID-19 as a crisis or used dysfunctional coping for coping with stress tended to have higher depression. Meanwhile, it turned out that those who appraised that as a challenge or used problem-focused coping for that tended to have lower depression. In addition, those who appraised the social distancing situation due to COVID-19 as a challenge had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ile those who appraised that as a threat had a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tervention method that helps evaluate the COVID-19 situation as a challenge rather than a crisis and helps apply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of the various coping methods can be a useful help for promoting the mental health of dual-income parents with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게임 및 소셜 미디어 중독의 관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성희(Seonghee Kim),주수산나(Susanna Joo),신혜림(Hyelim S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2

        헬리콥터 부모역할은 자녀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성인 자녀에 대해 이루어지는 부모의 과도한 개입 및 통제를 의미한다. 성인이행기 대학생에게 헬리콥터 부모역할은 한 개인으로서의 독립성 발달과 자아존중감 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에 관한 통제력 부족 및 중독 현상과 연결되어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대학생의 게임 및 소셜 미디어 중독과의 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441명의 대학생(만 18-25세)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Mplus 프로그램의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그들의 부모가 헬리콥터 부모역할을 수행한다고 인식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게임 및 소셜 미디어 중독 성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이행기 대학생의 게임 및 소셜 미디어 중독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적절한 부모역할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대학생들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효능감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Helicopter parenting refers to over-involved and over-controlled parental behaviors to their adult children based on their affection for their children. Helicopter parenting in emerging adulthood has a possibility to hinder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ce as an individual and the formation of self-esteem, and this could lead emerging adults to lack a sense of control and have a negative consequence on addictive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college students’ game and social media addictions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sample was 441 college students (ages 18-25) collected from several regional universities in Seoul. In addition, the mediating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of the Mplus program.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Name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levels of helicopter parenting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r levels of self-efficacy and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gaming and social media addictive tend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ducate the parents on the proper parenting role, but also to acquire the beliefs about their own behavior.

      • KCI등재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이예슬(Yeseul Lee),주수산나(Susanna Joo),김현경(Hyoun Kyoung Kim)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미디어패널 11차년도 조사(2020년)에 참여하였으며 스마트기기를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2,121명(남성 노인 1,012명, 여성 노인 1,109명)이다. 종속변수는 스마트기기 활용능력, 독립변수는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 조절변수는성별이며 통제변수로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직업유무, 스마트기기 보유 대수가 포함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의 PROCESS를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성별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대신 남녀 모두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스마트기기 활용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욕구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성별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욕구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의 긍정적 관계는 여성 노인보다 남성 노인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오늘날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노인들에게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와 같은 개인의 심리동기적 특성이 스마트기기 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인지욕구와 스마트기기 활용능력 간 관련성이 성별에 따라 달라짐을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sire for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use smart devices among older adults. The present sample included 2,121 individuals (1,012 males and 1,109 females) aged 60 or older who owned smart devices, and participated in the eleventh wave of the Korean Media Panel Data in 2020.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f-esteem and desire for knowledg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ability to use smart devices. Gender was included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job status, and the number of smart devices owned were controlled for.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using PROCESS in IBM SPSS Statistics 25.0. Finding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sire for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use smart devices was significant.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s of desire for knowledge on the ability to use smart devices were stronger in elderly men than in elderly women. The results highlight that personal psychological and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and desire for knowledge can affect the ability to use smart devices in later digital lif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하지 착용형 로봇에 관한 기술사용불안이 기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령친화환경의 완충효과

        윤도경(Yoon, Do Kyung),주수산나(Joo, Susanna) 한국노인복지학회 2021 노인복지연구 Vol.76 No.3

        최근 노인의 근감소증을 예방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단순히 거동을 보조하는 것뿐만 아니라 운동을 비롯한 헬스케어를 돕는 하지 착용형 로봇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노인들의 하지 착용형 로봇 수용을 도모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술사용불안이 기술수용태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고령친화환경이 완충할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하여 노인 3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령친화환경의 세 가지 구성요인(물리적 환경, 사회문화 환경, 서비스 환경) 중 서비스 환경만이 유의미한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simple slope analysis를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 서비스 환경 수준이 낮은 경우 기술사용불안이 기술수용태도를 덜 수용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비스 환경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기술사용불안이 기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기술사용불안이 기술수용태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uffering effect of an age-friendly environment (physical, social, service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xiety and attitude towards technology among Korean older adults. We collected data by online surveys, and the sample was 310 Korean older adults aged 65 or above without dementia. Also, we measured the variables in relation to wearable robots which provide support while walking and improve efficiency while exercising. The results from the regression analyses using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showed that the buffering effect of service environment was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age, gender, education, household incom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IADL, depressive symptoms, frailty status, the number of activity limited days, the number of healthy days, and trust concerning technology. Concretely, in the case of living in a less age-friendly service environment, older adults with a higher level of technology anxiety were more likely to report a less positive attitude towards technology. However, the effect of technology anxiety on attitude towards technology was not significant among older adults living in a more age-friendly service environment. It suggested that a practical intervention to reduce the level of technology anxiety is in need in order to promot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echnology, especially for older adults living in a less age-friendly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