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주봉관,김상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management and teacher’s awareness of after school specialized physical activity in Early childhood institutes in Seoul and Gyeonggi. The study was based upon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nswered by 206 teachers who work for either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23.0 program; and 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institution had specialized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and qualified as a certified instructor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related by an external physical education program by taking advantage of the week showed that 30 minutes. Secondly,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sufficient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education of related skills and talents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characterization activities recognize. The goal of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infant age, lifestyle topics, such as the evaluation of the activity and the lack of awareness and insufficient. Thirdly, cooperation and play center, early childhood curricula and the age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e demand for high-level programs, and infant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o train as a desirable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enabled the character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ㆍ분석하여 바람직한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분석 및 전문가협의를 통해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바람직한 활성화방안에 대한 설문지를 구성하고, 이를 서울ㆍ경기지역 100개 유아교육기관 교사 300명에게 배부, 수집하여 최종 206개 설문지를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PSS for Window 23.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 〮분석하고, 결과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 활성화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모든 기관에서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주로 유아체육관련 자격을 소지한 외부강사에 의해 체육교육업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일연령, 주 1회 30분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충분한 신체활동과 체육관련 특기 및 재능개발을 위해 체육특성화활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연령별 발달고려, 생활주제 연계, 활동의 평가 등을 미흡하거나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과정과의 연계 및 놀이중심, 연령 및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프로그램, 유아체육전문 강사양성 등의 바람직한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요구하였다.

      • KCI등재

        뉴스를 활용한 토의중심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주봉관,신미영,박영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news-based science activities focused on discussion concern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story comprehension.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48 5-year-old children(24 in an experimental group; 24 in a comparison control group) from two classes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and research was conducted across a time-span of 30 days for a total of 12 tim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news-based science activity focused on discussion,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news-based science activity. Scientific attitudes and story comprehension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 test method, utilizing a program for SPSS 22 Window.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ews-based science activities focused on discu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cientific attitude of young children. By sub-area, it had a positive impact on curiosity, willingness and initiative, honesty, objectivity, open mindedness, critical thinking, and suspended judgment.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improvement of cooperation and persistence. Secondly, the news-based science activities focused on discu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ory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By sub-area, it had a positive impact on understanding story structures, and understanding story inferences. In conclusion, it shows that the news-based science activities focused on discussion are effective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story comprehen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를 활용한 토의중심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S유치원 만 5세 유아 48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이다. 뉴스를 활용한 토의중심 과학활동은 6개의 뉴스기사를토대로 토의와 과학활동을 각 1회씩 진행하여 총 12회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은 뉴스기사를살펴보고 이와 연계되는 토의중심 과학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뉴스기사를 살펴보고토의 없이 과학활동만 실시하였다. 이경민(2000)의 과학적 태도 검사도구와 Rand(1991)의 이야기 이해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뉴스를 활용한 토의중심 과학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솔직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유보’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협동성’과 ‘끈기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뉴스를 활용한 토의중심 과학활동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의 하위요인 중‘이야기 구조이해’와 ‘이야기 추론이해’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주봉관,박은선,방효국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for young children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This study was applied to 48 children (24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t S kindergarten in Gyeonggi-do.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erformed for 12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orytelling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were applied. In the comparison group,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Feldman's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he pre-test for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was evaluated before applying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showed meaningful changes in their total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S유치원 만 4세 유아 48명(비교·실험집단 24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12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감상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Feldman의 감상단계에 기초한 미술감상활동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 전과 후에 정서지능, 그리기표상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 자료는 SPSS 23 Window용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정서지능과 그리기표상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명화감상을 활용한 방과후 체육 특성화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주봉관,방효국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명화 감상을 활용한 방과후 체육 특성화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S시에 위치한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을 대상으로 12주에 걸쳐 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정서지능, 기본운동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 Window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t-test)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명화감상을 활용한 방과 후 체육 특성화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기본운동능력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after-school specialized physical educ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fundamental movement abilities of young children by utilizing famous painting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with 50 five-year-old children (25 experiment group, 25 comparison group) from a preschool in S city in Gyeonggi-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fundamental movement abilitie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 (T-test), utilizing a program for SPSS23 Window. Research shows that post-school physical education characterization activities utilizing the famous paintings have improve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fundamental movement abilities.

      • KCI등재

        뉴스 리터러시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주봉관,김상겸,박영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news literac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48 5-year-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e to two times a week for seven weeks for a total of 16 tim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news literacy activities composed of 16 activities from 'news literacy education: learn from healthy and correct news' develop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in 2015. The comparison group on the other hand was given a brief introduction of current news such as 'the news over the weeke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as tested via PBSYC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 test metho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ews literacy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is suggests that news literacy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Second, news literacy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leadership', 'helping', 'communication', 'initiative consideration', 'approaching', 'sharing', and 'empathy and self-control'. These findings may serve as a foundation material for building news literacy activities and their supportive mechanisms to effectively apply these activities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본 연구는 뉴스 리터러시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하여, 경기도 소재 S유치원 만 5세반 두 학 유아 48명을 연구상으로, 주 1-2회씩 14주에 걸쳐 총 16회 활동을 진행하다. 실험집단의 활동은 2015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교재로 개발한 ‘유아를 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건강하고 바른 세상 뉴스로 배워요!’의 활동내용 더불어 사는 사회에 필요한 타인에 한 이해, 배려, 력 등을 유아들이 경험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재구성하여 생활주제에 맞게 뉴스 리터러시 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라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뉴스를 간단히 소개하고 게임, 음악, 동화, 이야기 나기, 신체 등의 활동을 실시하다. 김옥(2003)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 행동 평가 검사도구(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t검증을 통해 분석하 다. 연구결과 첫째, 뉴스 리터러시 활동은 유아의 친사회 행동에 통계으로 유의미한 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스 리터러시 활동은 유아의 친사회 행동의 하요인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 배려, 근시도하기, 나기, 감정이입하기 조에 통 계으로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수용ㆍ표현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주봉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news literacy program on young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50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Research was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a week for seven weeks for a total of 16 time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news literacy program composed of 16 activities from ‘news literacy education: learn from healthy and correct news’ develop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in 2015. The comparison group on the other hand was given a brief introduction of current news such as ‘the news over the weekend’.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was tested via REV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pectively,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 test metho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ews literacy program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Second, news literacy program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These findings may serve as foundation material for building news literacy programs and their supportive mechanisms to effectively apply these programs in the fiel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수용ㆍ표현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소재 S유치원의 만 5세반 두 학급 유아 50명을 연구대상으로, 주 2-3회씩 7주에 걸쳐 총 16회 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언론진흥재단에서 2015년 교재로 개발한 ‘유아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건강하고 바른 세상 뉴스로 배워요!’에서 추출한 16개의 활동으로 구성된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주말 지낸 이야기’와 함께,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뉴스를 간단히 소개하는 내용으로 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도구(REVT)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수용 어휘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표현 어휘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및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남자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어려움과 교사양성기관의 지원방안 탐색

        주봉관,김낙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l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effective ways to support for male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conduct this qualitative research, 6 male preservice teachers in 3-year and 4-year teacher education programs participated in doing group interviews and writing case journals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their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male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adjusting themselve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orking on the required assignments, and deciding on their caree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male preservice teachers suggested the effective ways in which teacher education programs could help male preservice teachers solve the problems in terms of their adjustment,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남자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유아교사양성기관의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유아교육과 남학생 3명, 3년제 유아교육과 남학생 3명, 총 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심층적인 집단면담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각의 학생들에게 자유기고형식으로 저널을 받아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예비유아교사들은 학과적응, 학업, 진로에 따른 어려움과 고민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을 돕기 위해 학과적응을 위해서는 형평성 있는 대우와 멘토링, 학업을 위해서는 조 구성 방식의 개선 및 과제에 대한 구체적 지도, 진로를 위해서는 진로상담 및 지속적인 남학생 모임구성 등을 교사양성기관차원에서의 지원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감상능력, 미술표현능력 및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주봉관,정현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학논집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media on you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art expression, and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 five-year-old children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Gyeonggi-do (2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18 sessions of early childhoo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media were organized and applie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introducing and appreciating artwork using various media content and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activities introducing and appreciating artwork through photos and screen-printed data. Preand post-tests were conducted using Jang Soon-mi’s (2008) art appreciation ability scale, Lee Mi-hye’s (2009) art ability evaluation scale, and Rand’s (1991) story comprehension test t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childhoo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media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you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ability, art expression ability, and story comprehension ability as well as their sub-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arly childhood art activity programs using media by presenting the value of media in effectiv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 KCI등재

        뉴스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와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주봉관,신미영,정현선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ews on infants'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s and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 4 year old infants (1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mparative group) in S kindergarten in Gyeonggi-do. A total of 14 activities organized using environmental news were conducted and applied in second session. The experimental group encountered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the news and conducted related activities, and the comparative group encountered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photo data and conducted related activities. Pre- and post-inspection was conducted using Hong Ji-myeong's (2006)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 test tool and Rand (1991)'s story comprehension test too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ew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 of infants and all sub-factors such as saving, recycl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new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such as overall story comprehension, story structure comprehension, and story inference comprehensi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media use for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본 연구는 뉴스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와 이야기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S유치원 만 4세 유아 32명(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이며, 환경 관련 뉴스를 활용하여 구성한 14개의 활동 내용을 각각 2차시로 진행하여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은 뉴스를 통해 환경문제를 접한 후 이와 연계된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사진 자료를 통해 환경문제를 접한 후 연계활동을 실시하였다. 홍지명(2006)의 환경보전태도 검사도구와 Rand(1991)의 이야기이해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뉴스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활동은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전체와 절약, 재활용, 환경오염방지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스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활동은 유아의 이야기이해력 전체와 이야기구조이해, 이야기추론이해 등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유아환경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과 매체 활용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치원과 초등학교 도덕교육의 연계교육 모색을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분석

        주봉관,이옥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make an educational continuity of moral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by analyzing the two national curricula.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national curricula, teaching guidelines, and related studie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ere reviewed comparatively analyzed in terms of their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and evaluation systems. The results of the use present tense to report finding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educational continuities in terms of emphasis, characteristics, goals and evaluation systems in the revised curricula. However,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regarding terms and system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is not a strong continuity regarding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ill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to think about how to better make educational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a.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도덕교육에 대한 연계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도덕교육의 연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두 교육기관의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해설서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구성체계인 성격, 목표, 내용, 평가의 측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에 따라 두 교육기관 도덕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성격, 목표, 평가가 대체적으로 연계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두 교육기관의 도덕교육과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체계가 상이하고, 교육내용에 대한 연계가 미흡하여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교육과정의 도덕교육 연계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