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수자들의 쓰기 평가 경향 및 평가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주민재 ( Min Jae Joo ),김진웅 ( Jin Ung Ki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features of writing assessment in college based on the holistic and analytic assessment of writing in college and the additional interviews with the raters. We provided 8 raters with 4 essays and then asked for evaluating them and answering the questions about the analytic assessment guide. The results showed the chasm between the behaviors and the perception by raters. The raters most frequently corrected and commented students` usage but they contented that usage is the least important factor compared with organization and content in writing assessment. They rated a text more holistically than analytically but believed that an analytic assessment is more objective than a holistic assessment. We tried to understand raters` reasoning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the interviews.

      • KCI등재

        인터넷 쓰기의 스토리텔링 구조 분석과 새로운 독자 개념의 탐색

        주민재 ( Min Jae Joo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본고는 SNS의 대표적인 플랫폼인 블로그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퍼스의 기호학과 스토리텔링 개념을 적용하여 새롭게 해석하고 블로 그 콘텐츠에 의해 달라지는 커뮤니케이션 양상의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블로 그 쓰기를 통해 형성되는 스토리텔링 양상과 인터넷 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독자 개념에 관해 논의하였다. 네이버의 2014년 파워블로그 리스트 중에서 문화·예술영역과 학술·시사·경제·교육영역에 속하는 블로그들을 취급하는 콘텐츠에 따라 정보 콘텐츠 블로그와 이슈 콘텐츠 블로그로 분류하여 댓글 수 및 커뮤니케이션 양상을 분석한 결과 콘텐츠 성격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보콘텐츠 블로그에서는 댓글 커뮤니케이션이 블로거-독자의 비연속적인 형태를 띠면서 정서적 해석체에 대한 새로운 의미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이슈 콘텐츠 블로그에서는 정서적 해석체에 대한 에너지적 해석체가 활발해지고 이를 통해 다시 논리적 해석체가 활성화됨으로써 이야기의 제시·변화·순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현상은 블로그의 콘텐츠에 따라 이야기‘하기’의 활성화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맥락 상호작용적 독자 개념은 이슈 콘텐츠 블로그에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원인 규명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독자 개념은 블 로거와 독자 그리고 독자와 독자 사이에 다루는 이슈나 대상 등 콘텐츠와 관련된 맥락이 형성되고 블로거가 콘텐츠를 둘러싼 독자의 해석 경향에 대해 이해도가 높을수록 독자를 더 정교하게 구성해낼 수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udience notion to applicable for storytelling aspects formed blogging and writing on the internet by new interpret communication ways of blogs applied to Peirce‘s semiotics and storytelling concept and analysis about causes of communication ways according to blog’s contents. It was classified information contents blogs and issue contents blogs depending on dealing with contents of blogs among culture·art and scholarship·currents affairs·economics·education territory of NAVER Power blogs list in 2014, it could find distinct differences on the part of blog contents’ nature. It could find that could not make new signifying of emotional interpretant because communications comment between blogger and audience were discontinuous aspects in the information contents blog, wheres energetic interpretant and logical interpretant were revitalized in the issue contents blog. It could be clear process of story suggestion·story transformation·story circulation. This situation shows it can be change vitalization of storytelling according to blog’s contents. Context interactive audience notion assist find cause vitalizing communication of issue contents blogs. It can be show blogger can organize more elaborately through context relation with contents and understand highly about contents interpretation tendency of audiences.

      • KCI등재

        <펜트하우스>가 쏘아올린 ‘위험한’ 공 -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지상파 방송국 생존 방식이 지닌 의미 -

        주민재 ( Joo Min-ja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0

        본 논문의 목적은 드라마 < Penthouse >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지상파의 전략을 고찰하는 차원에서 < Penthouse >를 다룬다. 국내 방송 환경의 변화는 지상파와 케이블, 종편과 같은 비지상파 채널이 거의 동등한 위치에 놓일 수 있는 조건을 제공했다. tvN과 같은 케이블 방송사와 종합편성 채널은 예전에는 시청률 경쟁에서 지상파 방송사들과는 상대가 될 수 없었다. 하지만 방송 환경 변화로 인해 케이블, 종합편성 채널은 차별화된 소재와 화제성 그리고 시청률과 팬덤에서 지상파 방송국과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또한 OTT 서비스의 출현은 지상파 방송국만이 아니라 비지상파 방송국까지 이전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환경을 만들었다. OTT의 대표격인 Netflix는 ‘콘텐츠와 테크놀로지의 결합’ 그리고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과감하고도 지속적인 투자와 제작’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했다. 압도적인 자본력을 앞세운 오리지널 콘텐츠의 제작 그리고 인공지능과 Human resorce가 결합된 테크놀로지에 기반을 둔 콘텐츠 관련 데이터의 활용 방식은 넷플릭스의 시장지배력이 앞으로 엄청나게 확대될 것임을 잘 보여준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방송 환경은 지상파 방송사에게는 매우 불리하다. 최근 지상파 방송사에서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펜트하우스>는 막장 드라마의 계보에 있으면서도 ‘이벤트 보기’와 ‘메타 추리’ 방식의 활용은 그들이 변화된 환경에서 살아남는 방식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다. 드라마의 빠른 전개 속도는 시청자가 내러티브의 허술함을 인식하게 못하게 만들면서 다음에는 어떤 사건이 일어날지를 ‘때려맞히는’ 소위 ‘이벤트 보기’에 집중하게 만든다. 빈번한 반전으로 인해 희생된 내러티브의 개연성으로 인해 시청자의 시청 문법은 파괴되고 기괴한 방식의 보기를 권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펜트하우스>를 시청하면서 느끼는 흥미와 즐거움의 본질은 극의 전개에서 다음 이벤트가 무엇인지를 맞히는 쾌감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필연적으로 작가의 아이디어가 무엇인지를 추리하는 일종의 ‘메타 추리’의 성격을 띠게 된다. 변형된 막장 드라마인 <펜트하우스>는 콘텐츠 제작과 소비 패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방송 환경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지상파의 벼랑 끝 전략이 만들어낸 기형적 형태의 산물일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to analyze the text of the drama < Penthouse >, but to deal with < Penthouse > from the perspective of examining the strategy of terrestrial waves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Changes in the domestic broadcasting environment provided conditions for terrestrial, cable, and non-terrestrial channels such as long-distance channels to be placed in an almost equal position. Cable broadcasters such as tvN and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could not compete with terrestrial broadcasters in the audience rating competition in the past. However, due to changes in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cables and comprehensive channels now occupy an equal position with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in differentiated materials, topics, audience ratings, and fandom.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OTT service has created a new environment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before, not only for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but also for non-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Netflix, the representative of OTT, has secured competitiveness through'combination of content and technology' and'drastic and continuous investment and production in original content'. The production of original content with overwhelming capital power and the use of content-related data based on technology that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resource show that Netflix's market power will be enormously expanded in the future. The rapidly changing broadcasting environment is very disadvantageous for terrestrial broadcasters. < Penthouse >, which was recently aired in popularity by terrestrial broadcasters, is in the genealogy of the soap-opera, but the use of 'viewing events' and 'meta reasoning'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ways in which they survive in a changed environment.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rama makes viewers less aware of the laxity of the narrative, while concentrating on the so-called “viewing events” that “guessing” what will happen next. Due to the probability of the narrative sacrificed due to frequent reversals, the viewer's viewing grammar was destroyed, resulting in a result of recommending a bizarre way of viewing. The essence of the interest and pleasure you feel while watching < Penthouse > is the pleasure of guessing what the next event will be in the development of the play. Therefore, this method inevitably takes on the character of a kind of 'meta reasoning' that infers what the artist's idea is. < Penthouse >, which is a transformed soap-opera, may be a product of a deformed form created by a broadcasting environment undergoing rapid changes in cont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a strategy on the edge of a terrestrial wave that must survive these changes.

      • KCI등재후보

        정교화 이론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 연구

        주민재 ( Min Jae Joo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8

        본고는 Reigeluth의 정교화 이론을 활용하여 국내 대학 글쓰기 교재의 교수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각 교재들의 내용 계열화 정도에 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을 글쓰기 과정과 논문 쓰기로 나누어 설정하고 정교화 이론의 일곱 가지 교수전략을 분석 요소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국내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되는 교재들은 교수전략에 대한 고려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설계되어 글쓰기 교육에서 기대하는 효과를 거두기에는 부족하다. 대학 글쓰기 교재들은 대개 절차적 정교화를 채택하고 있으나 동시에 개념적 정교화도 수용하고 있어 내용의 제시 방식의 일관성이 부족하다. 또한 요약자의 활용이 연습문제로 한정되어 있고 종합자를 거의 활용하지 않아 교재를 통한 교수학습 효과를 높이기 어렵다. 또한 교재가 대학의 학부생, 즉 비교적 수준높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에도 학습자 통제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다는 점도 문제이다. 적절한 형식화를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할 내용을 조직할 수 있는 학습자 통제 전략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논문쓰기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최종 목표의 하나이기에 교재에서 논문 쓰기 부분은 이전까지 교재에서 학습한 내용들을 집적하는 방식으로 설계 되어야 한다. 따라서 논문 쓰기를 포함한 학술적 글쓰기 부분은 교재에서 교과전체 종합자의 역할을 하도록 교재가 설계되어야 한다. 정교화 이론을 통한 글쓰기 교재 분석은 보다 체계적인 분석 도구를 활용할 수 있기에 분석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글쓰기 교재를 평가하는 척도로도 개발·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inquire degree of contents sequence through analysis with elaboration theory of college writing textbooks` teaching strategy in Korea. College writing textbooks in nowadays have not consideration about teaching strategy, it`s difficult that these haven`t effect on education of college writing. Most of college writing textbooks, as a result of analysis, have not coherence, because these taking conceptual elaboration sequence, but procedural elaboration sequence at the same time. Summarizer is only exercises, synthesizer is used hardly,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effect of teaching-learning through writing textbooks. It is difficult for finding consideration of learner control strategy in these textbooks in spite of these textbook have a target to college student, comparatively high-level learner. It is necessary for learner control strategy through proper formating. Writing thesis is the one of final purposes of college writing, this part have to design in due form pile up so far learning contents. Academic writing, including writing thesis, therefore, have to take status of ``within-set synthesizer`` in writing textbook.

      • KCI등재

        `가까운 미래`에 관한 탐구와 사산된 문학적 가능성 -복거일의 『파란 달 아래』를 중심으로-

        주민재 ( Joo Min-jae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6 No.-

        『파란 달 아래』는 `미래의 예언`만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문제를 탐구하는 인문학적 시도와 함께 작가의 과도한 욕망으로 인해 과학소설로서의 문학적 가능성을 사산시켰다는 점에서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텍스트를 관통하고 있는 키워드는 테크놀로지이다. 테크놀로지는 인종 문제나 국가의 경계가 무의미한 낯선 공간들과 테크놀로지적 타자를 탄생시킨다. 『파란 달 아래』의 테크놀로지적 타자는 월인(月人)이 바라보는 지구인이자 휴머노이드이다. 리명순은 인간보다 더 인간답게 보이는 로봇에게 감탄과 두려움이라는 양가적 감정을 느낀다. 이는 감탄에 가려진 언캐니한 것으로 인간이 자기 정체성을 확신할 수 없을 때 느끼는 감정이며 로봇에 의해 인간이 타자화되는 전도된 구도에서 비롯되는 공포의 다른 이름이다. 연방 정부를 수립한 남북한이 각자 건설한 두 개의 월면 기지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통일 후에 벌어질 일들에 대해 일상적 차원에서 접근한다는 점에서 예언적 성격을 갖는 동시에 `지금, 여기`의 현실을 환기시킨다. 하지만 특별한 과학지식이 없는 리명순이 기지가 통합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큰 위기를 독자적으로 해결하는 결말은 작가가 전제한 당위가 지금까지 조성됐던 모든 문학적 가능성을 사산시킨다. 『파란 달 아래』는 과학 소설로서 미래의 예언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의 문제를 성공적으로 다루고 있다. 하지만 『파란 달 아래』는 통일이라는 당위적 명제와 결합된 작가의 욕망을 과도하게 실현하려고 함으로써 문학적 가능성과 한계를 모두 지니고 있는 복합적 텍스트라는 점에서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eneath the blue moon` have two-faced meanings. Firstly, it not only predicts about the future but also investigates `now and here`. Secondly, it makes literary possibility stillborn because of writer`s lavish desire. One of the main key words of this text is technology. Technology creates both technologic others and unfamiliar space where races or boundaries of states become meaningless. Technologic other of `Beneath the blue moon` is an earthian(a person who lives in the earth) as well as humanoid who is contrasted with a moonian(a person who lives in the moon). Myongsoon Lee, heroine, experiences awe and fear about humanoid at the same time because it really looks like a human. Uncanny feeling is covered with awe when human is not sure about identity as human, and it is kind of fear from reversed structure in which human will be others by humanoid. Many problems from south-north Korea`s two stations in the moon provide prophecy of the future and also call attention to reality of `now, here` at the same time in that they correspond with daily life which may happen after unification. But the ending that Myongsoon Lee, with no scientific knowledge, solves autonomously the crisis occurring during unification of two stations gives a stillbirth of literary possibility presupposed by writer`s duty. `Beneath the blue moon` deal with problems of `now, here` out of prediction about the future as science fiction. It is necessary for in-depth research about `Beneath the blue moon`, because it is complex text that has literary possibilities and is limited by writer`s desire that combined with normative value of unification.

      • KCI등재

        ‘한’이라는 기표와 ‘아시아적 욕망’이라는 기의의 공모관계 - <서편제>와 <취화선>에 존재하는 ‘아시아적 욕망’ 분석을 중심으로 -

        주민재 ( Joo Min-ja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본고는 임권택이 <서편제>, <춘향뎐>, <취화선> 등 ‘한국적인 것’을 전면화하는 영화들을 대상으로 민족지(ethnography)를 ‘발견’하고 ‘특정한 의의’를 부여하려는 시도에 깔려있는 그의 욕망과 욕망을 추동하는 근원적인 힘에 대해 분석한다. <서편제>에서 ‘한’의 기표로서 재생되는 판소리와 판소리의 기의가 되는 인물들의 운명은 ‘발견된(invented) 민족성’이라는 민족주의적 맥락 그리고 ‘한국적인 것’의 전면화를 통해 영화 세계 구축을 시도하는 임권택의 전략적 사고와 연결하여 고찰되어야 한다. <서편제>를 통해 구축되는 새로운 질서는 ‘한’이라는 민족 정서의 영속성을 주장하는 동시에 판소리가 그 정서의 정수를 담고 있다는 의식을 강화한다. <서편제>는 이러한 의식을 중요 모티프로 활용함으로써 내러티브의 예외적 상황이 마치 한국인의 일반적 정서인 것처럼 왜곡한다. 변방인 아시아에서 서구로 진입하려는 ‘아시아적 욕망’은 최근 세계화와 연동되어 제기되는 다원주의적 문화론 또는 세계관과 친연성을 가지며 자기 자신을 증폭하고 역오리엔탈리즘을 통해 생명력을 얻는다. 서구의 취향에 가장 근접할 때만이 중심으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가 열린다는 점에서 아시아적 욕망에는 이미 모순과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는 임권택 영화들의 기저에도 아시아적 욕망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적인 것’이라는 키워드가 결국 서구로 진입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아시아적 욕망은 아시아의 정체성 구현이 서구의 제국주의적 그리고 오리엔탈리즘적 시선과의 적극적 공모 관계에 있음을 일깨우는 핵심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시아적 욕망이 탈식민주의 그리고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작동 층위에서 복합적으로 때로는 층위를 가로지르며 결합하고 있는 것에 주목할 때, 아시아적 욕망의 작동원리를 보다 면밀하게 풀어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based on his desire to find 'ethnography' and to give 'specific meaning' to films in which the film is full of 'Korean things' such as < seopyonje >, < chynhangjeon >, < chwihwaseon > And the underlying force that drives desire. The existence of Pansori played as a sign of 'Han' in < seopyonje > and the fate of the pans of the Pansori can be seen in the context of modern nationalism called 'the discovered n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Im Kwon taek. The a special kind of order established through < seopyonje > insists on the permanence of the national sentiment of 'Han', and strengthens the consciousness that Pansori contains the essence of the emotion. < seopyonje > is an important motif leading to the narrative, and by setting it, the exceptional situation is distorted as if it is the general emotion of the Korean. The so-called 'Asian desire' to enter the West from the far-flung Asia has a pluralistic culture or world view that is linked to globalization and amplifies itself and gains vitality through convers-orientalism. Asian desire already has its own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in that it only opens when it is closest to the taste of the West. It can not be denied that there is Asian desire in the base of Im Kwon Taek films represented by < seopyonje >, and the keyword 'Korean thing' is a tool to eventually enter the West. As a result, Asian desire reminds us that the identity of Asia is positively related to Western imperialism and orientalism. Asian desire is not simply a cultural stratum but a complex, layered, realization on the postcolonial layer or the active layer of global capitalism.

      • KCI등재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체제 분석

        주민재(Joo, Minjae),연지연(Yeon, Jiyeon),이현주(Lee, Hyunju)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의 현황과 교수자 및 행정 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여,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의사소통 교육 방법과 교수학습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참여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의사소통교육 현황에 대한 기초설문조사와 교수자, 행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 운영 현황 및 담당자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은 대부분 학령기 학습자 대상으로 운영되는 의사소통교육체제를 준용하고 있었다. 일부 대학에서만 의사소통 교과목을 미래융합대학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운용하고 있었다. 각 대학의 의사소통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현재 성인학습자 의사소통교육은 학부 교육과정과의 차별화 미흡과 특성화 부족으로 요약된다.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성인학습자 대상의 별도 지원체계 역시 미흡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학사 운영 등으로 학습자들의 실제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형태로 의사소통교육이 운영되고 있으며 성인학습자 맞춤형 커리큘럼 및 콘텐츠가 시급히 개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성인학습자 요구 맞춤형 운영이 가능한 트랙제 교육과정과 성인학습자의 수준 및 경험을 고려한 교육 내용과 자료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성인학습자의 의사소통교육을 전담하는 전임교원의 확보가 핵심적인 과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each university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to secure data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itable for adult learner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basic survey on the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perated by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 project> in Korea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each univers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person in charg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most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of each university applied the communication education system operated for school-age learners mutatis mutandis. According to an in-depth inter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peration at each university,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was insufficiently differentiated from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nd lacked specialization. In addition, a separate support system for adult learner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y is insufficien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education was being operated in a form that did not meet the actual needs of learners due to academic operation that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nd that curriculum and contents customized for adult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urgentl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in order to substantiat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a track-based curriculum that can be operated tailored to the needs of adult learner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that consider the level and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each university proposes as a core task to secure a full-time faculty in charge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 KCI등재

        플랫폼은 인지자본주의를 어떻게 강화하는가

        주민재(Minjae Joo) 한국리터러시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3

        『인공지능시대 인간의 조건』은 인공지능을 사이버네틱스와 인지자본주의의 연관성 측면에서 디지털 플랫폼을 데이터와 인공지능의 결합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개체화와 분할체화의 순환적 인과관계의 측면 그리고 기계적 예속과 사회적 복종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인지자본주의에 대해 논의를 전개한다. 인지자본주의와 그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기반으로 전개하는 방식은 인공지능이 인간 존재와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인공지능시대 인간의 조건』을 인지자본주의, 플랫폼, 분할된 개체라는 세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본질과 인공지능의 메커니즘을 인식하는 방식과 그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대응 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자동화와 피드백을 통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독립적인 자동화기계의 기초를 제시한 사이버네틱스는 인공지능의 형태로 진화하여 인간과 기계 사이의 통제 주도권을 기존의 인간에서 기계로 이동시켰고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일상적 활용과 인공지능의 발달은 필연적으로 데이터, 정보, 지식 사이의 상호전환의 속도를 높이면서 전환의 자동화를 촉진한다. 플랫폼은 정보와 지식이 새로운 부를 창출하는 근원으로 보는 인지자본주의의 근간이 되었다. 인지자본주의에서는 플랫폼이 산업자본주의의 공장을 대신함으로써 노동자의 노동 역시 대부분 플랫폼을 통해 수행되는 체제를 구축한다. 인지자본주의의 기반은 플랫폼과 플랫폼을 통해 생성된 빅데이터 그리고 빅데이터를 의미있는 정보로 조합하여 구체적인 이윤으로 탈바꿈하도록 유도하는 알고리즘이 구축한 메커니즘이다. 플랫폼은 특정한 목적에 따라 국가장치가 접속하는 것을 수용함으로써 국가권력과의 공존을 모색한다. 기계적 예속과 사회적 복종의 혼합태를 기반으로 구축된 지배체제는 사람들의 계급의식이나 비판적 사회의식이 다른 형태로 변화하도록 만든다. 이전처럼 자본과 노동의 대립이나 모순이 아니라 생활세계에서 형성되는 소비자 의식과 결합된 주체성의 형태로 띠게 된다. 플랫폼은 개인의 행위를 수치로 환원하는 분할체화와 분할체화된 수치들의 데이터세트를 다시 개인에게 되돌리는 조각주체화를 반복하면서 개인의 사고와 행위를 자동화한다. 플랫폼 기업들이 높은 수익을 거두면서 성장할 수 있는 원인은 개인들의 자발적 참여와 상호작용을 통해 생산되고 공유되는 다양한 콘텐츠와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축적에 있지만 플랫폼 기업은 이를 최대한 은폐한다. 플랫폼이 노동자에 대한 책임을 최소화하여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면서도 이용자의 활동결과물에 대한 데이터는 무제한으로 수취하는 이중적 축적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은 ‘플랫폼 지대’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플랫폼 기업은 토지자본을 통한 지대와 산업자본을 이용한 이윤을 모두 축적하는 이중적 축적체제를 실제화한 디지털 지주이다. 결국 인지자본주의는 플랫폼 자본주의로서 플랫폼 지대라는 이중적 축적체제를 통해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들이 플랫폼 밖으로 탈주를 감행하고 분할체에서 실체적인 몸으로의 회복을 시도할 의지를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지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자본과 노동의 재배치와 축적의 일반적 조건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밀하면서도 비판적인 논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기가 도래했다는 인식의 확대가 시급하다. “The human condi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zes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bination of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erms of the connection between cybernetics and cognitive capitalism. The human condi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iscusses cognitive capitalism, focusing on the keywords of mechanical subjugation and social subordination and the cycl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tion and disintegration occurr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Cognitive capitalism and the way it develops based on its critical perspective helps to form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human existence and life. In this paper, “The human condi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centered on the three keywords of cognitive capitalism, platform, and divided entity, and the way to recognize the essence of the AI era and the mechanism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well as the human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it. Discuss how to respond. Cybernetics, which presented the basis for independent automated machines that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automation and feedback, evolved in the form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hifted control initiative between humans and machines from humans to machines. The daily use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evitably speed up the inter-transformation between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promote automation of the transition. Platforms have become the backbone of cognitive capitalism, which sees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a source of new wealth. In industrial capitalism, if factories that produce products were the main foundation of the economy, in cognitive capitalism, platforms take their place, establishing a system in which most of the labor of workers is also performed through platforms. The foundation of cognitive capitalism is a mechanism built by platforms, big data generated through platforms, and algorithms that combine big data into meaningful information to transform it into concrete profits. The platform seeks coexistence with state power by accommodating access by state devices for specific purposes. The ruling system built on the basis of a mixture of mechanical subjugation and social submission causes people's class consciousness or critical social consciousness to change into other forms. It is not the confrontation or contradiction between capital and labor as before, but takes the form of subjectivity combined with consumer consciousness formed in the life world. The platform automates individual thoughts and actions while repeating divisionalization, which reduces individual actions to numerical values, and fragmentation, which returns the data set of divided figures back to the individual. The reason why platform companies can grow with high profits lies in the accumulation of various contents produced and share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individuals and the data generated in this process, but platform companies conceal this as much as possible. It is because the platform plays the role of ‘platform rent price’ that it can build a dual accumulation system that receives unlimited data on the results of users’ activities while maximizing their own profits by minimizing responsibility for workers. A platform company is a digital landlord that realizes a dual accumulation system that accumulates both rent profits through land capital and profits using industrial capital. In the end, cognitive capitalism as platform capitalism is maintained through the dual accumulation system of platform rent price. Therefore, a more specific discussion is needed on how to activate the will of individuals to escape from the platform and attempt to recover from a divided body to a substantial body.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문식 환경의 쓰기 양상 변화 요인 고찰

        주민재 ( Joo Minjae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5 No.-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d digital writing environmen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latform ’s behavioral inducement and the recognition of the platform user who eliminated the interactivity in the digital literary environment. This paper discusses the writing method related to writing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and text production, the platform ’s behavioral inducement, and the platform users’ awareness and writing style in terms of interactivity. Certain writing methods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most fundamental areas that make writing possible, such as technical and material attributes, and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spects, which are formed by mutual influence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digital writing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have a certain influence on the writing method.. In digital writing, technology that has limited influence in traditional writing is the biggest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nature of text, my composition of text and media usage.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use a specific platform depending on how the platform understands and recogn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and the digital writing method and the utilization method can be changed. Interactivity is a key characteristic in digital writing, bu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confirmed that not all of us want to interact, and some perceive it a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writing.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digital writing is not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or networking based on this suggests that a more complex approach to interactivity is needed and related research should be done urg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