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배 밀식과원의 간벌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주문갑,임지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4

        밀식되어진 배 과원의 간벌 시 수량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간벌방법을 3년차에 걸쳐 감천배를 공시품종으로 한 배 과원에서 실시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체 생장에 있어서 1/2주 간벌구와 1주 간벌구 보다는 2주 간벌구에서 생장량이 많았다. 2. 과실크기는 간벌구가 밀식구 보다는 컸으며 과중도 1주 간벌구와 2주 간벌구가 밀식구 보다는 무거웠다. 3. 과실의 경도 및 당도는 간벌구가 밀식구 보다는 약간 높게 나타났지만 간벌 처리구별 큰 차이는 없었다. 4. 단위 면적당 주당 평균 착과수와 수량(중량)은 1주 간벌구에서 년차별 증가폭이 컸다. 5. 상품성에 있어서 상품과와 중품과가 1주 간벌구에서 많으나 그 비율은 2주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optimum tree thinning method to minimize yield loss of high density pear orchard. Trunk diameter and main-branch diameter of pear tree in dense planting orchard is higher at two plant thinning than half plant thinning and one plant thinning. Length, width and fresh weight of fruit was higher at tree thinning than control. Number of fruit per tree and yield were the highest at one plant thinning. Number of high quality and middle quality fruit were increased at two plant thinning and low quality fruit was increased at one plant thinning.

      • KCI등재

        Winged bean(Psophocarpus tetragonolobus(L .)DC)의 생육에 따른 식물체 , 녹래(綠萊)및 종실(種實)의 성분변화

        주문갑,윤성탁,손석용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6 No.1

        우리나라 氣候條件下에서의 Winged bean의 영양적 가치를 檢討코자 일련의 試驗을 實施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Winged bean 植物體의 蛋白質함량은 定植後 5週 平均 29.32%로 가장 많았으며 品種別로는 TPT-8이 30.44%로 가장 많았다. 脂肪含量은 定植後 3週에 3品種 平均 3.75%로 가장 많았으며 品種別로는 TPT-8이 3時期 平均 3.57%로서 가장 많았다. 2. 緣莢의 蛋白質, 脂肪의 含量 變化는 生長함에 따라 減少되는 傾向을 보였으며 蛋白質含量은 TPT-8이 가장 많았다. 3. 種實의 蛋白質 含量은 Winged bean이 32.33%, 大豆가 40.24%로 大豆가 많았으며 아미노산 組成比率은 大豆와 거의 有意하였으나 염기성 아미노산의 含量은 Winged bean이 높은 편이었다. To evaluate the changes of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ant, green pod and grain of winged bean a series of experiment were conducted under the climate of Korea. The average protein content of 3 varieties was 23.92% at 5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TPT-8 showed the highest content among 3 varieties by 30.44%. The average fat content of 3 varieties was 3.35% at 3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TPT-8 showed the highest fat content among 3 varieties. The content of protein and fat of green pod decreased as ripening advanced and TPT-8 showed the hightest protein of fat content among 3 varieties. In the seed protein content of winged bean and soybean, winged hean seed showed less content of 32.33% than that of soybean of 40.24%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inged bean was similar to those of soybean, but dibasic amino acid was tended to be higher in winged bean.

      • KCI등재

        브루나이의 벼재배

        주문갑,홍우진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6 No.3

        브루나이는 열대지방인 보르네오섬에 있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풍부한 회교군주국가로서, 국토면적은 5,765 평방킬로미터, 인구는 약 264,000명 (1991년), 1인당 국민총생산은 미화 $17,000가량이다. 석유가 개발되기 시작한후, 농업을 소홀히 하여서, 국민총생산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2%에 지나지 않는다. 1970년대 초에는 4,500톤의 쌀을 생산하여 쌀 자급율이 30%이었다. 그러나 1992년에는 년간 벼 재배면적이 1,067헥타, 벼수량이 1.1톤/헥타, 벼생산량이 1,144, 1인당 쌀소비량은 80킬로그램으로서, 쌀자급율은 3.5%로 떨어져서, 매년 21,000톤의 쌀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브루나이 정부는 2012년까지 쌀자급율을 38%까지 올리기 위하여 벼생산사업에 착수하였다. 1차 사업은 780헥타의 논을 새로 개발하고 760헥타의 논에 관배수시설을 하는 것이다. 2차 사업은 정부직영농장 300 헥타의 관배수시설을 개보수하는 것이다. 3차 사업은 2,300헥타의 수리안전답을 개발하여 기계화 벼생산을 하려는 것으로서, 1985-1987년에 한국의 농어촌진흥공사의 용역단이 타당성조사를 실시한바 있다. 수리안전답에서의 작부체계는 벼 2기작으로서, 예상수량은 1기작에 벼 3.2톤/헥타이다. Brunei has a developing market economy based on the exploitation of petroleum and natural gas reserved. Brunei is an lslamic sultanate, covering an area of 5.765㎢ and 264,000 population in 1991. The gross national product(GNP) per capita was US$17,000 in 1992. The agricultural sector accounts for about 2% of the GNP and employs less than 4% of the work force. The rate of self-sufficiency in rice production obtained about 30% in the early 1970s and then decreased 3.5% in 1995. Therefore, Brunei government should be imported rice grains about 21,000 M/T per year. The rice self-sufficiency rate in Brunei will be increase from 3.5% to 38.0% in 2020 with the Rice production projects(RPP). First step of RPP is to expand the lowland paddy area from 606㏊. to 1386㏊. and to construct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ies for 760㏊. of paddy land. Second step of RPP is to improve the irrigation and drainage facilities for 300㏊. of the Wasan farm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the Imang reservoir. Third step of RPP is to develop 2,300㏊. of rice field with irrigation and mechanization of rice production in order to reduce labor force. For the increasing rice self-sufficiency rite, government will be necessary continued efforts such as improvement of new high yieldingcultivars, development of pest and disease control methods, and development of practical cultivation technique.

      • KCI등재

        저장기간별 배추의 종자활력과 발아 중 가용성 단백질의 함량 및 전기영동 패턴 변화

        주문갑,주용하,윤혜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2 No.3

        배추종자의 자연노화시 종자활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4개월, 3년 및 6년간 보관된 배추품종 '맛나배추(서울종묘)'를 공시하여 저장기간별 발아특성과 발아과정 중에 변화하는 가용성 단백질의 함량 차이 및 전기영동 패턴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장기간이 4개월 및 3년이된 종자의 발아율은 각각 95%와 92%이었으며, 평균발아일수는 각각 1.4일과 2.9일이었고, 6년간 저장된 종자는 발아되지 않았다. 2. TTC 검정 결과에서 발아가능 종자의 비율은 4개월 저장종자가 90%이었으며, 3년 저장 종자는 77%이었고, 6년 저장종자는 전혀 염색되지 않아 종자활력이 없었다. 3. 발아과정 중 배추종자내 가용성 단백질 함량의 변화는 4개월 저장종자의 경우 발아 후 6 시간까지 증가후 급격히 감소하다가 48시간째에 다시 증가하였으며, 3년 저장종자는 발아 후 6시간까지 약간 감소한 후 다시 24시간까지 증가하다가 48시간째에 매우 감소하였고, 6년 저장종자는 발아후 24시간까지 약간씩 감소하다가 48시간째에 조금 증가하였다. 4. 발아과정 중 전기영동 밴드에서 저장 기간이 4개월 및 3년된 종자는 각각 45 KDa와 63 KDa의 분자량을 가진 가용성 단백질이 발견되었으나 6년 저장된 종자에서는 밴드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분자량 45 KDa의 가용성 단백질은 저장기간이 4개월 및 3년된 종자에서 모두 침윤 초기에 존재하다가 각각 6시간 및 12시간 전후에 밴드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분자량 63 KDa의 가용성 단백질은 4개월 저장종자의 경우 침윤후 2시간후에 생성되었다가 6시간 전후에 사라졌고, 3년 저장종자는 침윤 2시간후에 생성되었다가 12시간 전후에 사라졌다. 6. 저장기간이 4개월, 3년 및 6년간된 종자를 침윤후 6시간만에 종피, 자엽 및 배를 분리하여 단백질 존재여부를 조사한 결과 분자량 63 KDa의 가용성 단백질이 4개월 및 3년간 저장된 종자의 자엽에서만 관찰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ed viability, amounts of water-soluble protein(WSP) and eletrophoretic band patterns during germination of Chinese cabbage seeds were stored for 4 months, 3 years, and 6 years in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of seed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were respectively 95% and 92% in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whereas the seeds stored for 6 years did not germinate. The average days to germination was 1.4 days in 4 months storage and 2.9 days in 3 years storage. In the seeds stored for 4 months, the amounts of WSP increased until 6 hours after germination and decreased greatly after 6 hours, and then increased again at 48 hours in high. The seeds stored for 3 years increased until 24 hours and decreased greatly at 48 hours. In case of seeds stored for 6 years, the amounts of WSP decreased gradually until 24 and increased a little at 48 hours. In the change of WSP patterns, the WSP of 45 KDa and 63 KDa appeared in germinating seeds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But the both of WSP did not appeared in 6-year-stored seeds. The WSP of 45 KDa was presented in seeds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at early stage of imbibition and then disappeared at 6 and 12 hours after imbibition. The WSP of 63 KDa in the 4-month-stored seeds was produced from and disappeared at 6 hours imbibition. The WSP of 63 KDa in the 3-year-stored seeds was produced from 2-hour-imbibition and disappeared at 12 hours. The 63 KDa of WSP was found at the cotyledons of seed imbibed for 6 hours in both 4-month and 3-year-stored seeds.

      • KCI등재

        파프아뉴기니아의 농업입지환경과 작물재배

        주문갑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89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 No.2

        Coastal region of Papua New Guinea is mostly covered by Evergreen Rain Forest to form tropical vegetation. This area is classified as Tropical Rain Climates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of 27℃ and the annual rainfall of 2,000-4,000㎜. Average height of highlands, where 1/3 of the population live, is 1,500㎜ above sea level. This highlands are seems to have adequate weather environment (average temperature of 18-20℃) for cultivation of temperature crops. l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otential areas for arable crops, tree crops, pastures and flooded rice respectively are 44,220km², 55,950km², 34,000 km² and 61,310km² out of total Papua New Guinea area of 463,598km². Generally, root and tuber crops such as cassava, taro, sweet potato, banana are mainly cultivated for main food crops. Coffee, cocoa, coconut, oilpalm and rubber are major cash crops. And mango, avocado, cashew, citrus, papaya, nuts are also cultivated as fruit crops.

      • KCI등재

        수평 꼬리 날개의 제어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수중 글라이더의 깊이 제어

        주문갑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9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4 No.1

        An underwater glider is a type of autonomous unmanned vehicle and it advances using a vertical zig-zag glide. For this purpose, the position of an internal battery is regulated to control its attitude, and the amount of water in a buoyancy bag is regulated to control the depth. Underwater glider is suitable for a long-distance mission for a long time, because the required energy is much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autonomous unmanned vehicle using propeller propulsion system. In this paper, control of horizontal tail wing is newly added to the conventional battery position and buoyancy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shown through Matlab simulation.

      • KCI등재

        커피나무의 관상식물화를 위한 수형 형성에 관한 연구

        주문갑,이애경,서정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0 No.2

        본 실험은 coffee나무의 정지·전정에 의한 수형조절법을 개발하며, 생장조절제(Growth retardants)를 이용한 왜성화와 물리적인 shaking stress에 의한 생육 억제에 대한 연구로서 커피나무의 분화에 적합한 수형개발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심에 의한 촛대형 수형조절에서 적심회수가 많아질수록 자연형에 비하여 신초발생이 많아졌으며 신초장이 짧아지고 잎의 크기도 작아졌다. 2. 우산형 수형조절이 자연형에 비하여 신초발생수는 적었지만 측지길이가 길어졌고 신초두께 역시 두터웠다. 3. 주당 착과수는 적심에 의한 우산형이 자연형보다는 신초발생수에 비례하여 적었음을 볼 수 있었다. 4. 생장조절제 PP333의 왜성화는 자연형에 있어서 5.00 ㎎ a.i/pot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초장, 신초, 신초장 및 엽의 생장이 다소 억제되었으며, 촛대형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5. Uniconazole의 효과는 자연형에서 1.25 ㎎ a.i/pot 처리가 왜성화 경향이였고 촛대형에서는 1.25 ㎎ a.i/pot 처리가 효과적으로 신장이 억제되었다. 6. Uniconazole 2∼5 ㎎ a.i/pot는 어린묘(1년생)의 경우 고농도의 해를 받아 극도의 왜성화로 고사되었다. 7. 물리적인 shaking stress에 의한 왜성화는 200rpm처리구에서 초장이 19.1㎝로 대조구인 22.5㎝에 비해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development of beautiful canopy of coffee as a new indoor ornamental pot plant. The methods of plant form controlling by training, pruning, plant growth retardant and shaking stress were investigated. New shoots of the candelabra form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natural form when the number of pinching time was increased, and leaf size was smaller than natural form. New shoot number of the parasol form was decreased than that of natural form. Lateral branch length was longer and new shoot thickness was thicker than natural form. Fruiting number per plant of the parasol form was decreased than natural form. Plant height, new shoot, shoot length and leaf growth were somewhat retarded by PP333 soil drench with 5.00 ㎎ a.i/pot in natural and candelabra form. Dwarfing effect was slightly showed by uniconazole treatment at 1.25 ㎎ a.i/pot in natural form. Dwarfing was more effective by 1.25 ㎎ a.i/pot soil drench of uniconazole. It was shown that one year old coffee tree was withered up by dwarfing at 2∼5 ㎎ a.i/pot of uniconazole soil drench treatment. Plant height(19.1 ㎝) was retarded by shaking stress(200 rpm/2times/day) as compared with control(22.5 ㎝).

      • KCI등재

        화란산 절화백합의 수확시기 , 전 후처리 , 및 저온저장이 수명에 미치는 영향

        주문갑,서정근,이애경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7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9 No.3

        Lilium Mid-Century hybrid 'Enchantment'의 경우 개화 4일전의 수확시기, STS(4mM)의 수확후 전처리, 0.2mM AgNO₃+3% sucrose의 보존용액 처리, 그리고 24시간 저장시 1, 2번화의 수명이 증가하였다. 무처리와 5일간의 장기 저장시는 꽃잎이 완전히 열개되지 않거나 꽃잎이 말리는 등의 비정상적인 현상이 많이 나타났다. Lilium oriental hybrid 'Stargazer'의 경우 절화수명에 있어 STS의 전처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TS 전처리와 0.2mM AgNO₃+3% sucrose의 보존용액 처리를 하였을 때 전처리에 비해 어느 정도 꽃잎의 화색이 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0.2mM AgNO₃+3%, sucrose의 절화 보존용액 처리후 화경조직내 박테리아수는 무처리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러므로 수확후 백합의 품질향상과 수명연장을 위해서는 종류별로 적정단계의 수확을 하여 전처리 유무를 결정하고 저장이나 수송시는 가능한 저온(3℃)상태로 유지하는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관리가 중요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For Lilium Mid-Century hybrid 'Enchantment', the longevity of 1st and 2nd flower were increased when stems were harvested 4 days before anthers were pretreated with STS and holding solution (0.2mM AgNO₃+3% sucrose) treatment and storage for 24 hours. Flowers that failed to open or rolling in an edge of petals and sepals were observed in control and stored for 5 days. For Lilium oriental hybrid 'Stargazer', STS pretreatment was not effective on the longevity of cut flower, but flower color became deep-red by STS pretreatment and holding solution treatment. Number of bacteria in stem tissue after holding solution treatment were markedly reduced than that of control. Therefore, systematic and general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harvest stage, pretreatment, holding solution and storage conditions in Lilium species to extend vase life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t fl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