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 미술교육의 가능성 연구

        주리애(Juliet Ju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미술 실기 교육인 드로잉 수업을 사이버 강의를 통해 어느 정도로 구현할 수 있으며 학습자 입장에서 만족과 불만족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드로잉 수업은 드로잉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와 실제 기법을 학습하며 과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 드로잉 과목을 개발한 2014년과 부분 수정을 거친 2016년에 콘텐츠 만족도 평가와 강의 평가를 통해 과목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콘텐츠 만족도와 강의 평가 모두 학교에 개설된 전체 과목들의 평균과 유사한 점수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콘텐츠 만족도에서 강의 내용 구성은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상호작용은 낮은 평가를 받았다. 강의평가의 경우 교수의 열의와 응답 성실성은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강의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낮은 편이었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 평가도 낮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더 많은 실습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더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 교육 환경에서 미술 실기 교과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drawing course in online education and to assess th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students. The drawing class consisted of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drawing, learning actual techniques and performing drawing tasks. This course was rated on the content satisfaction scale and the course evaluation scale when it was developed in 2014 and partially modified in 2016. Both the content satisfaction and lecture evaluation showed similar scores to the average for all subjects in the school. Specifically, "organization of content" received good reviews, while "interaction" received a low rating in the content satisfaction scale. Additionally, "enthusiasm" and "response sincerity of teacher" received high ratings, but "overall satisfaction" was low in the course evaluation scale. Finally, the self-assessment of students was also 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ant more practice and more active interactions.

      • KCI등재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에 나타난 여고생의 비행 및 분노에 관한 연구

        주리애(Jue Juliet),김태은(Kim Tae E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에 나타난 여고생의 비행의 정도와 분노 수준을 평가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여자고등학생 236명이며, 연구도구는 PITR과 비행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TR에서 세 가지 척도는 서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여고생들이 비행 행동을 많이 할수록 PITR의 스트레스 척도값은 높게 나타나고 자원척도값이나 대처능력 척도값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PITR은 특성분노와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으며, 분노의 표현 양식 중 유일하게 분노 표출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물웅덩이를 그린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면 전자의 폭력 비행이 유의미하게 많았고, 우산을 그린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면 후자가 분노 억제의 수준이 더 높았다. 생략 변인만을 사용해서 비행 및 분노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생략된것의 개수가 많을수록 전체 비행, 지위비행, 성비행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비행을 예측하는 PITR 척도는 대처능력 척도가 유의미한 지표임이 나타났고, 분노 표출을 설명하는 변인은 자원 척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PITR이 여고생의 비행 및 분노표현양식을 진단할 수 있는 투사검사로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과의 비교 연구 및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 거주하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진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in the rea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In The Rain(PITR) test to the degree of anger and of juvenile delinquen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236 female highschool students in the capital area, and the research tools are PITR test, Juvenile Delinquency Scale, and STAXI-K.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ree scales of PITR showed high correlations. Secondly, the female highschool students, who often experience delinquency, show high scores in stress scale and low scores both in resource scale and coping ability scale. Thirdly, PITR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rait anger, but it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out. Fourthly, a puddle-drawn group showed higher violence than a no-puddle group. An umbrella-drawn group showed higher Anger-in scores than a no-umbrella group. Analysis of omission factors revealed that the more omissions, the higher degree in total delinquency, status delinquency, and sexual delinquency. Last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ping ability scale in PITR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for delinquency, and the resource scale in PITR for Anger-out. With all these results, PITR can be a projective test to diagnose juvenile delinquency and anger expression style. Future study might expand participants to students in various region as well as to male participants.

      • KCI등재

        소년원에 수감된 여자 청소년의 이야기 그림검사 반응 특성 연구

        주리애(Juliet Jue),김현진(Hyun jin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원에 수감된 여자 청소년의 심리적 내면에 잠재된 우울을 평가하고 이해하는 도구로서 이야기 그림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소년원에 수감된 여자 청소년 34명과 경기도의 고등학교에 다니면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비슷한 여고생 37명이다. 연구도구는 Beck 우울증 척도와 이야기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원에 수감된 여자 청소년의 우울 상태는 중등도의 우울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 그림검사의 정서내용척도와 자기상척도는 각각 두 집단 간 차이를 변별할 수 있었고, 정서내용척도의 경우 우울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공격적인 자극그림을 선택하는 경우, 그림 내용에서 더 부정적으로 될 가능성이 높고 무기력하거나 부정적인 대상과 동일시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정교육기관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우울을 평가하고자 할 때 그림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Drawa- Story test as an assessment tool for depression of female reformatory school inmates. The subjects included 34 female adolescents in a reformatory school and 37 general high school female students who had similar social economic status to the former. The research tools were the Draw-a-Story test and Beck's Depression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depression of reformatory inmates was intermediate level of depression. Second, the emotional content scale and the self-image scale in the Draw-a-Story test were able to distinguish two groups, and the former scal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depression. Third, when aggressive symbols were chosen, the contents of drawings became more negative and the self image more lethargic, identifying with negative subjects. All these results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he Draw-a-Story as a projective test to evaluate depression of reformatory school inmates.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선호색에 대한 기초 연구: 성별 및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주리애(Juliet Jue),하정희(Jung Hee H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본 연구는 대한민국 성인을 대상으로 색채선호를 조사한 것이다. 색채 선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지므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색채 선호를 확인하는 조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선행 연구들을 통한 색채 선호에 대한 조사는 연구 대상자의 수와 연령대에서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한국 성인들의 색채 선호 특성을 일반화시키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연령대에 국한되지 않는 성인을 대상으로 대규모의 표집을 실시해서 색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세부터 50세까지의 성인 남녀 869명이며, 색 자극으로 총 10개의 유채색과 무채색이 제시되었고 선호 순위를 매기도록 요청했다. 색채 선호는 두 가지 방식으로 분석되었는데 (1) 색깔별로 1순위로 선택한 사람들의 빈도, 그리고 (2) 각 색깔의 선호 순위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1순위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색을 빨강(27.7%)이었지만, 평균 점수에서 순위가 가장 높은 색은 녹색(M=4.26)이었다. 성별에 따른 색채 선호 분석 결과, 남성은 빨강(t =-3.81, p <.001), 검정(t =-3.04, p <.01), 회색(t =-2.89, p <.01)을 더 선호하고 여성은 노랑(t =2.80, p <.01)과 보라(t =4.46, p <.001)를 더 선호했다. 연령에 따른 색 선호 변화도 유의미했는데(X 2=31.58, p <.001), 나이가 들수록 녹색을 선호하고 빨강색과 노랑색을 덜 선호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한국 성인들의 색채 선호를 살펴볼 수 있었고 성별, 연령별 색채 선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color preferences of Korean adults. Color preferences change with time, and there was a need to investigate color preferences after the coronavirus 2019 (COVID-19) pandemic. Earlier studies had limitations in terms of subject numbers and their specific age groups, and therefore we conducted the study on a large sample of adults. The subjects included 869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A total of 10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were presented,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nk their color preferences. These preferences were analyzed in two ways: (1) the frequency of people who chose the color as their first choice, and (2) the mean of the ranking. As p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lor selected by most subjects as their first choice was red, but the color with the highest ranking in the mean score was green. Gender differences showed that men preferred red, black, and gray, while women preferred yellow and purple. In addition, as age increased, the subjects preferred green more and had a lower preference for red and yellow.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examine the color preferences of Korean adults at present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olor preferences by gender and age.

      • KCI등재

        미술치료 대학원생의 미술 작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리애(Juliet Ju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연구는 미술치료 대학원생의 미술 실기작업과 경력몰입, 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미술 작업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미술치료 대학원의 석박사 과정 학생 171명으로 이들은 최소 2학기 이상 등록하였고 1년 이상 임상 실습을 해왔거나 미술치료사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도구는 미술실기, 심리적 소진, 경력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미술치료 대학원생의 미술 실기와 경력몰입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경력몰입과 소진 사이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미술 실기는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미술치료사의 경력몰입은 미술 작업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 대학원생이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미술 실기작업을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practice,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among art therapy graduat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practice and burnou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1 masters and doctoral art therapy graduate students who had enrolled for at least two semesters and had been in clinical practice for more than one year or were working as art therapists. Research tools include the Art Practice Scale,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and the Career Commitment Scale. Data a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rt practice and career commitment among art therapy graduate students, but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burnout. Second, art practice had an effect on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Third, the study confirmed that art therapists career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practice and burnout. These results suggest it is important for art therapy graduate students to engage in art practice to prevent psychological exhaustion.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주리애(Jue, Juliet),하정희(Ha, Jung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우울, 공격성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및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우울의 이중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있는 남녀 중학생 328명에게 부모의 심리적 통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우울, 공격성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중도에 동의의사를 철회한 학생의 설문지를 제외한 31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간의 직접 경로가 유의할 뿐 아니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 및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에 영향 미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라는 환경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한 결과로서 우울 및 공격성과 같은 청소년의 내적 특성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우울의 순차적 과정을 통해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 미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데에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depression, and aggression. Additionally,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mediating role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aggress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depression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on.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survey data of 316 middle school students in capital area were harvested and then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had an impact up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depression. In additi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worked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on. Secon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other words,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had an influence up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mongst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strong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experienced more depression which in turn had an effect on agg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cess of influencing depression and aggression by better understanding key environmental and internal variables was discussed.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 간의 관계: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리애(Jue, Juliet)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6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 마음챙김의 관계를 살펴보고,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 사이의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하는지 검증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85명의 미술치료사들이었고, 이들에게 코로나19 두려움 질문지, Beck 무망감 척도, 마음챙김 주의-자각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마음챙김은 코로나19 두려움 및 무망감에 대해 각각 부적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마음챙김은 코로나19 두려움과 무망감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마음챙김의 효과에 대해서 미술치료와 공유하는 속성으로 탈중심화와 체현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of COVID-19, hopelessness, and mindfulness among art therapis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OVID-19 and hopelessness. A total of 85 art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were the Fear of COVID-19 Scale, the Beck Hopelessness Scale, and th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fear of COVID-19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hopelessness, while mindfulness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fear of COVID-19 and with hopelessnes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mindful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OVID-19 and hopelessness. Regarding the effect of mindfulness, decentering and embodiment were discussed as attributes shared with art therapy.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육군 사병의 빗속의 사람 그림 반응특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및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주리애(Jue Juliet),하정희(Ha Jung-Hee)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가 육군 사병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정신건강 문제를 평가하는 심리평가 도구로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육군 부대 4곳에 근무하는 사병 281명이며, 연구도구는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와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스트레스 반응 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개별항목 중 스트레스 항목에서 비 모양과 비 젖음, 번개 유무가 유의미한 변별력을 보였고, 자원항목에서 보호형태, 우산 유무, 보호물 폭, 보호물 손상여부, 인물 크기, 전신상 표현 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PITR 스트레스 항목보다 자원 항목에서 변별력을 보인 경우가 더 많았다. 둘째, PITR 검사의 대처능력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비교했을 때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가 육군 사병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정신건강 문제를 평가하는 도구로서 유용한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Person-in-the-Rain (PITR) drawing test as a psychological evaluation tool to assess army soldiers’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s, and mental health statu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1 soldiers from four army units, and the research tools included the PITR drawing test, the Perceived Stress Scale, the Stress Response Scale, and the Symptom-Check Lis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of raindrops, the wetness of rain, and the presence of lightning in the stress item among the PITR single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presence of protection, the presence of an umbrella, protection size, integrity of protection, appropriateness of person size, and whole body expression in the resource item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the PITR resource items presented stronger discrimination power than the stress item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ived stress when comparing the upper and lower groups based on the PITR Coping Capacity scor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whether the PITR could be considered a useful tool to evaluate army soldiers’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s, and mental health status.

      • KCI등재

        색채가 표현 지각에 미치는 영향

        주리애(Jue, Juliet)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그림에 나타난 정서를 판단할 때에 형태 정보와 색채 정보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연구 에서 흑백 그림자극의 정서적 반응을 평가하였고, 본 실험에서 색채가 첨가된 그림의 정서적 반응을 평가했다. 두 개의 실험 에 각기 다른 50명, 56명의 피험자들이 참여하였고, 평가-능력-활동성 차원에서 구분이 되는 평정 단어로 기쁨, 우울, 분노 반응을 선택하도록 했다. 그 결과, 흑백 그림에서 형태의 표면과 리듬에 따라 특정 정서를 높은 비율로 경험했다. 그리고 형태가 제시하는 정서반응과 다른 정서반응을 일으키는 색채가 가미되었을 때 특정 정서의 반응 비율이 현저하게 낮아지거 나 혹은 색채 정보에 따른 정서를 경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색채와 형태를 결합하여 두 요소를 경합시키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는 점과 자극의 제시와 반응의 처리에 있어서 보다 더 통제된 조건 하에서 실험했다 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figure and color informations on assessing expressed emotions in drawing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emotional responses to achromatic drawing stimuli. The main experiment explored emotional responses to chromatic drawing stimuli. Each experiment has a number of 50, 56 participants separately, and responses included joy, depression, and anger according to appraisal-potency-activity dimensions. As results, achromatic drawing stimuli with their texture and rhythm produced specific emotions in high rates. Moreover, response rates of specific emotions were lower when colors added, or emotional responses were changed with col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dealt with colors combined with shape, unlike the previous studies, and that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more controlled conditions in terms of stimulus presentation and response management.

      • KCI등재

        한국성인의 선호색이 스트레스 반응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하정희(Jung-Hee Ha),주리애(Juliet Jue),김석준(Seokjun Kim),조인경(Inkyong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7

        본 연구는 개인이 선호하는 색채가 심리적 특성인 스트레스 반응과 충동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갤럭시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20세 이상 대한민국 성인 남녀 60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고, SPSS 24.0을 통해 회귀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빨강을 선호할수록 스트레스 반응이 커지며 초록을 선호할수록 스트레스 반응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빨강, 주황, 노랑을 선호할수록 충동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흰색, 회색, 검정을 선호할수록 충동성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색채 선호 순위에 따라 세 군집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난색 선호 집단, 한색 선호 집단, 무채색 선호 집단이다. 셋째, 군집별로 스트레스 반응과 충동성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즉, 난색 선호집단이 공격성과 신체화 스트레스 반응을 더 크게 나타내었고, 무채색 선호집단이 한색선호집단보다 우울 스트레스 반응을 더 크게 나타내었다. 또한, 난색 선호집단이 무채색 선호집단보다 충동성 하위변인 대부분에서 더 높은 충동성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preference, stress response, and impulsivity. In this study, we enrolled 605 adults aged 20 to 60 years who were users of the Galaxy brand smartphon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d cluster analyses with the SPSS 24.0 software.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ose who preferred the color red showed a higher stress response compared to those who preferred green. Also, those who preferred red, orange, or yellow colors showed higher impulsivity compared to those who preferred white, gray, or black. Second, we discovered three clusters of color preference, namely, the warm color preference group, the cool color preference group, and the achromatic color preference group. Third, each cluster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response and impuls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