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명응의 선천역학 정립과 시대적 의의

        조희영(Hie Young Cho)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8

        What was Science of Changes(易學) in the Joseon Dynasty and what was Sun-Chen-Yeok-Hak(先天易學), which was the best of Sang-soo-Yeok-Hak(象數易學)? To solve the questions like these, we will try to find out the meaning by investigating Sun-Chen-Yeok-Hak around 『Sun-Chen-Sa-Yeon(先天四演)』 written by Seo-Myeng-Eung (徐命膺) who was Dae-Je-Hak(大提學) in the reign of Young-Jo and Jeong-Jo. The term of Sun-Chun(先天)was first used by Shao-Yong(邵雍) in the hostory of Science of Changes and later Chu-Hsi(朱熹) and Cai Yuan-ding(蔡元定) formulated the system of thought. Sun-Chen-Yeok-Hak in the Song Dynasty(宋代)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one was Hoo-Chun-Yeok(後天易), the existing I-Ching (『周易』), and the other was Sun-Chun-Yeok(先天易), without letters around 「Ha-Do(河圖)」only consisting of images(pictures) and numbers made by Fu His(伏羲). They theorized on Sun-Chun-Yeok around 「Sun-Chun-Sa-Do(先天四圖)」 that was the picture about Sun-Chun, thinking of 「Ha-Do」as the origin of Sun-Chun. This theory succeeding to the Joseon Dynasty had great effects on the learning and thought in the Joseon Dynasty and most of the scholars ceased on the level of imitating Sun-Chun-Yeok-Hak in the Song Dynasty. But Seo, Myeong Eung was different. Myeong Eung acknowledged 「Ha-Do」not only as the origin but he re-interpreted or spread new theories on Confucianism, the Tao Te Ching theory (Thought), astronomy, music, medicine and the Chinese system of musical sounds. Taking 「Ha-Do」as a refer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to Song Dynasty is the shocking statement of 8 notes from the 64. In 「Sun-Chen Sa Do」 he altered the shape of 「Nae-Do(內圖)」 in the 「Bang Won Do(方圓圖)」. This is a statement that no other scholar has made and unique to Chosun`s Sun-Chen theory. Moreover, his Shim Sung theory(心性論) gives importance to the Shim(心) and stresses to keep the Jung(中). This is because he felt that this was the main ideological point inherent in 「Had-Do」Queen. He regarded Jung and Shim as the highest virtues and takes them as reference to stress the awakening towards reason. Approaching objects through reason he says one will open his(her) mind. This is the main point of the theory of Kwan Mul(觀物). The Jung exceeds creating the balance(均衡) between people and objects. The shim connects people thereby making penetration(貫通) possible. If the mind is open, a discerning eye for the diachronic and awareness for the problems among class-wise, region-wise, and country-wise polarization is achieved; making possible as a general survey(通 觀). The modern value of the Jung, the Shim and the Ree(理 -principle) emphasized by Soe, Myeong Eung does not fall behind as compared to the period of the time. penetration and a general survey were not pointed out by him as conditions for the subject of the period communication(疏通); its importance has actually been more imprinted at present times.

      • KCI등재

        조선 도서학(圖書學)의 효시-권근의 『입학도설(入學圖說)』

        조희영 ( Cho Hie 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본 논문은 권근의 『입학도설』과 조선 圖書學·象數學의 관련성을 연구한 글이다. 연구 과정에서 이 책이 지닌 학문적 가치를 발견했다. 첫째, 권근의 책은 宋代 상수학에 의거한 바가 적지 않지만 자신의 고유한 시각으로 논리를 전개했다. 易學과 經學의 중요부분을 그림을 매개로 융합화를 시도하였는데 이는 권근 특유의 도서학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후학들에게 도서로 철학을 논하는 틀을 제공했다. 셋째, 『周易』을 경전의 머리에 두고 경학사상을 전개하여 조선유학에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관점``의 다변화를 통해 학문에 있어서 창의와 변화의 방향을 제시했다. 다섯째, 『역학계몽』과 『선천도』를 소개하여 조선역학의 신지평인도서상수학을 처음 열었다. 이런 의미에서 권근은 의리를 겸비한 조선 상수학의 창시자이고 『입학도설』은 조선 도서학의 효시라 부를 만하다. 그가 도서를 통해 보여준 人文精神과 象數의 度數物理論은 오늘날에도 유효한 간학적인 주제이다. This paper is to explain that the Ip-Hak-Do-Seol(『入學圖說』) is the pioneer of the Joseon Dynasty``s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and the exploitation of the I-ching of Images & Numbers(象數學). In the process, I found some academic value with this book. First, Kwon Geun``s(權近) painting & writing(圖說) is the convergence of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tried to picture the dynamics and threade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經學). Second, it provided the framework for discussing the philosophy books the Junior. Third, He proposed the direction of this study to put I-ching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Fourth, a variety of ``perspective``. View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體用), view of Conversely(反對), view of Horizontal and vertical(縱橫) etc. Fifth, He first opened a new horizon of I-ching in Joseon Dynasty by introducing new books and Shao-Yong(邵康節), Chu Hsi(朱熹)`` painting & writing(圖說). The Astronomical calendar and Yulryeo(律呂) related painting & writing(圖說) awakened the creativity of the junior. Kwon Geun(權近) is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s I-ching of Images & Numbers(象數學) and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 KCI등재

        소강절 역수론(易數論)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조희영(Cho Hie You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소강절은 북송시대 역학(易學)에 그림[易圖]과 수학[理數] 을 접목시켜 선천역학을 개창한 인물이다. 본 글은 그의 역수론의 구성 내용을 살피는 논문이다. 그는 『주역』 의 수는 이 치를 담은 ‘리수(理數)’로 보고, 이를 근간으로 『주역』 을 풀이한다. 그의 역수론은 몇 가지 틀이 있는데 먼저 ‘가일배법’ 이다. 그것은 태극-양의-사상-팔괘가 형성되듯 만물은 1-2-4-8의 2배적 연산법칙으로 생성 변화한다는 것이다. 또 ‘사부법’ 과 ‘체4 용3’이론이다. 그는 『주역』 의 사상론에 착안하여 만물을 4가지 틀로 구분한다. 이때 4에서 실제 사용되는 것은 3이다. 소위 ‘체4 용3’ 이다. 1을 쓰지 않고 남기는 이유는 극성함을 경계하는 마음과 여백을 중시하는 자신의 철학관에 기인하는데 그 근저에는 심법론과 관물사상이 자리한다. 『주역』 은 9와 6을 쓰는데 비해 그는 10과 12를 바탕으로 체용론을 전개한다. 그는 「설괘전」 3장에서 말하는 ‘순수역수’ 를 천도운행과 함께 「선천도」로 새롭게 해석한다. 이런 틀 위에 그의 역수론은 셋으로 전개된다. 하나는 황극경세수이과 둘은 원회운세수이고, 셋은 성음창화수인데 그 양이 방대하면서도 난해하다. 경세수는10과 12를 가지고 체수와 용수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변수와 화수 및 동식수와 변화통수를 산출한다. 원회운세수란 『주역』 의 괘와 그에 깔린 수로 인류의 생멸 주기를 산출한 것이다. 그는 1원=12회=360운=4320세=129,600년을 우주의 순환주기로 삼았다. 소강절은 만물이 지닌 성음(聲音)과 율려(律呂)로 만물의 총수를 산출했다. 그의 역수론을 들여다보면 역학과 수학은 서로 방해하지 않고 조화를 이룸을 알 수 있다. 그는 수를 말하되 리(理)에 근본을 두었기에 술수로 흐르지 않았고 천도에 기반을 둔 인도(人道)에 귀결시켰다. 이는 오늘날에도 유효한 역학 방법론이라고 생각된다. 邵康節 (Shao-Yong) is the person who established 先天易學 (Sun-Cehn-Yeok-Hak) by combining I-Ching with mathematics from Neo-Confucianism’s point of view. There are several basic forms in the theory of the number of I-Ching. The first basic form is 加一倍法 (Gailbaebeob). This theory indicates that all things are created and changed based on the double algorithm as 1-2-4-8. Next basic forms are 四府法 (Sabubeob) and 體(Che) 4 用(Yong) 3 theories. He divides all things into 4 categories based on I-Ching such as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 or the water, the fire, the soil and the rock. However, only 3 are used out of 體 (Che) 4. He claims that we need to focus on 用 (Yong) 3 if we want to identify the change. I-Ching takes 9 and 6 while 經世數(Gyeongsesu) takes 10 and 12. This is because of the fact that 經世數(Gyeongsesu) is 極限數(Geukhansu). He understands the pure number of I-Ching as 天道運行 (Cheondowunhaeng) and 先天圓圖 (Seoncheonwondo). His theory of the number of I-Ching is established in three ways based on this rule. One is 皇極經世數 (Hwanggeukgyeongsesu), the other is 元會運世數 (Wonhoewunsesu) and another is 聲音唱和數(Seongeumchanghwasu). 經世數(Gyeongsesu) draws 體數(Chesu) and 用數(Yongsu) with 極數(Geuksu) 10 and 12 and calculates 變數(Byeonsu), 化數(Hwasu), (動物植物數) Dongmulsikmulsu and (變化通數) Byeonghwatongsu based on this. 원회운수수(Wonhoewunsesu) takes 1, 12, 30, 60 and 360 and generates the cycle of creation and extinction of mankind with 64 hexagrams. He takes 1 circle = 12 times = 360 wun=4320 years=129,600 years ad the cycle of universe. He calculates 總數(Chongsu) of all things with 聲音(Seongum) and 律呂(Yulryeo) that all things have. His theory of the number of I-Ching was developed by consistent rule and harmonized I-Ching and mathematics.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주역』에 내재된 리수(理數)의 함의 -송대 선천역학자의 관점에서-

        조희영 ( Hie Young Ch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주역『을 구성하는 요소는 상수(象數)와 글[文辭]이다. 역학의 흐름으로 볼 때 중국의 송대 이전에는 ‘수’보다 글이나 괘효상에 관심을 두었다. 또한 동양철학의 주류의 흐름도 수를 철학의 본령으로 보기 보다는 보조 영역으로 보았다. 이는 서양철학과 구분되는 점으로 수를 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또한 수와 역(易)과의 관계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논자는 역수를 리수(理數)로 인식하고 역을 수의 관점에서 탐구한 역학자들을 찾은 바, 그들은 송대 소강절을 위시한 소수의 역학자들이며 주희도 선천역학의 입장에서는 소강절과 그 궤를 같이함을 발견했다. 논자는 『주역『에 존재하는 리수가 역을 지탱하는 구성요소로 작용하는 함의를 소강절과 주희의 이론을 빌려 살폈다. 여기서 리수의 뜻은 64괘역상을 존재하게 하는 리(理)를 담은 수라는 의미이다. 리수에서의 리는 천지만물의 이치, 자연의 객관법칙, 수적 객관법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주역』에 내재하는 리수의 근원은 「하도」의 수, 즉 천지지수 1~10 이다. 이는 자연수로 기우수이자 역을 형성하는 기본수이다. 『주역』을 존립하게 하며 괘가 생성되는 근거를 규정한 것이 「계사전」의 역유태극 장이며 이것의 리수적 표현은 가일배법이다. 가일배법은 선천역과 후천역에 공히 적용되는 것으로 역을 성립되게 하는 기우수의 연산법칙이다. 주역『에 있는 리수의 전형은 설시법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리수가 역을 존립하게 하는 그 내면적 근거는 리수가 지닌 속성 때문이며, 그것은 근원성과 상징성 및 정합성과 무한성이다. 리수론자들은 『주역』 속 리수를 발판삼아 다양한 철학적 내용을 전개한다. 현대 역학에서 리수 연구와 인접 학문과의 연계 강화는 『주역』을 통한 인문학적 가치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 The principal elements of the 『Book of Changes』 is a image(象), a number 數) and article[文]. Most scholar of Book of Changes was not interested in ``number(數)``. This is a point that is clearly visible from Western philosophy, even now also need to view the number as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be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and the Book of Changes(易). By this, the scholar of Book of Changes who recognized the number as philosophy and found that they were few Risu(理數) theorists including Shao Yong(邵康節), Chu Hsi(朱熹) in Song Dynasty. Here, the meaning of Risu is the number containing Ri(理) that enables 64 Trigrams(卦) reverse shape of the Book of Changes(易) to exist. Shortly, Risu means a number containing "Ri", and Ri, here is the integrated concept that reason of heaven, earth, and all things, the objective laws of nature, and numerical objective laws. The source of Risu contained in the 『Book of Changes』 is 「Low」numbers, in other words, 1 to 10 of Heaven and Earth number. This is a natural number, an OddㆍEven Number(奇ㆍ偶數) as well as basic number constructing the Ha-Do「河圖」. Existing the 『Book of Changes』 and the basis of forming a Trigram(卦) is The law of Ga-Il-Bae(加一倍法). This law is applied equally to Sun-Chun-Yeok-Hak(先天易學) and the Book of Changes(通行本). Risu theorists proceeds a variety of philosophical content by using Risu as a steppingstone.

      • KCI등재

        소강절(邵康節) 수학(數學)이 15-16세기 조선 음운학(音韻學)에 끼친 영향 -『훈민정음(訓民正音)』과 서경덕(徐敬德)의 『성음해(聲音解)』를 중심으로-

        조희영 ( Cho Hie-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8 No.-

        본 글은 소강절의 상수학 가운데 '수학'이 15-16세기 조선 음운학, 대표적으로 『훈민정음』(이하 '정음'이라 함)과 서경덕의 『성음해』에 끼친 영향을 관찰하는 글이다. 정음이 소강절 역학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서경덕은 조선조 소강절 역학 전문가이자 그의 『聲音解』는 최초의 소강절 성음론의 해설서이다. 소강절 상수학의 한 분야인 성음론은 음운학과 수학으로 구성되었고, 그는 이 둘을 결합하여 중국과 조선의 상수학과 음운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종은 소강절의 성음론을 놓치지 않고 '聲'을 궁리하고 '象'을 입혀 세계적 언어인 정음을 창제했다. 본 연구는 먼저 소강절 수학을 파악하기 위해 3명의 주석가의 주석을 분석한 바, 소강절 수학의 핵심은 가일배법, 四府法, 체4용3론 등임을 알았다. 이 가운데 정음 창제에 영향을 끼친 것은 '가일배법'이다. 가일배법은 '1-2-4-8'처럼 2배씩 불어나는 數則으로 易의 생성 과정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정음의 중성을 보면, '삼재는 만물에 앞서고, 하늘이 또 삼재의 처음이 되는 것은 ㆍ, ㅡ, ㅣ 석 자가 여덟 소리의 머리가 되며, ㆍ가 또 석 자의 머리가 됨과 같다'라 하는데, 이는 기본 3자에서 8자가 나오고, 또 기본 3자를 보면 天[ㆍ] 1자에서 地人[ㅡ, ㅣ] 2자가 나왔다는 의미이다. 연산해보면 '1[天]-2[地人]-4[초출자]-4[재출자]'로 가일배가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서경덕의 『성음해』에 나타난 소강절 수학은 '聲音의 묘처는 數에 있다'는 것과 '7, 9' 및 天地四象이 어울린 '16' 수에 대한 것이다. 서경덕에게서 평가해야할 부분은, 그는 소강절 수학을 체득한 후 소강절이 聲音圖에서 채우지 못한 유성무자[○]에 알맞은 글자를 제시한 점이다. 서경덕의 이런 통찰은 후기 최석정, 신경준, 황윤석 등에 이어져 조선의 상수학적 음운학 발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이처럼 소강절 수학은 조선으로 건너와 정음에는 28자 생성의 수칙으로 작용했고, 서경덕에게는 조선 음운학 발전의 기틀이 되게 하였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haoyong(邵雍)'s mathematics on the Hunminjeongum and Seok Kyung Deok's shengyinjie. It is a well-known fact that Hunminjeongum is influenced by Shaoyong. Seok Kyung-duk is a specialist in Shaoyong(邵雍)'s mathematicsof Joseon Dynasty and his "shengyinjie" is the first commentary of the lecture. Shaoyong(邵雍)'s shengyin was composed of phonology and mathematics, and he combined both of them appropriately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Chinese and Joseon's xiang shu and phonology. At the core of the Shaoyong(邵雍)'s mathematics, I have learned that the four senses theory and the 'gail' method[the doublet method:加一倍法], the three syllables, the poles [10, 12], the body number and the use number. Among these, the mathematical part that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Hunminjeongum is the 'gail' method. It is the process of the generation of the I-ching by the rule of number which blows twice as like '1-2-4-8'. If we calculate the case of 11 the second voices, it can be expressed as '1 [Heaven] -2 [Ground, People] -4 [First letter] -4 [Second letter]'. That is the 'gail' method[the doublet method:加一倍法], as '1-2-4'. Seo Kyung-duk's "shengyinjie" shows that his understanding of the Shaoyong(邵雍)' mathematics i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scholars. Among them, the emphasis is on the number of '16', which is the perfect combination of Heaven's four image and Earth's four image. However, the part to be evaluated by Seok Kyung Deok is that he learned the Shaoyong(邵雍)' mathematics and provided the basis for developing the phonology of Joseon. In other words, it is a word that can not be filled in the Shaoyong's shengyin chang he tu(邵雍의 聲音唱和圖) but it is suitable for '○' which has no letter. Seo Kyung-duk's insights became the fountain of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honology of Joseon in the late period, including Choi, Shin, Hwang, and so on.

      • KCI등재
      • KCI등재

        김석문(金錫文)의 『역학이십사도해(易學二十四圖解)(총해(總解))』 다시 보기 -상수역학(象數易學), 특히 소강절역학의 관점에서-

        조희영 ( Cho Hie-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김석문은 전통 학문의 바탕 위에 서양의 天文學을 수용하여 독자적인 조선의 역학 적 천문서인 『역학이십사도해(총해)』를 지었다. 본 글은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총해)』를 象數學的 관점, 특히 康節易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본 글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강절역으로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총해)』 전체를 살피는 것과 강절역 관점으로 26개 그림 중 易象圖을 관찰하는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필자는 김석 문이 의도한 두 가지 저술 의도-새로운 천문이론과 새로운 易說[二五之說] 제시-와 그의 꿈[목표]이 제대로 이루어졌는가를 점검해 보았다. 김석문의 꿈은 궁극적으로 孔子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단순히 회귀하는 것이 아니라 업그레이드된 新儒學으로 무장하여 공자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 그의 저술 목적인 새로운 천문이론은 조선에서 최초로 地轉說을 주장하고, 9重天과 天文象數 등을 제시한 것으로 증명이 되었다. 새로운 역설은 태극도설의 재해석, 장재 태허론과 기론의 흡수, 강절 수학의 대용량화, 강절 태극으로 ‘天行健’의 창조적 해석, 새로운 시초점 개발, 9수를 통한 洛書의 활용으로 입증되었다. 그의 학문의 귀결처인 공자로 돌아가는 것은 그의 그림이 태극에서 시작하여 道[태극]로 돌아가는 것에 함축적으로 나타나 있다. 그 돌아가는 길에 위 열거한 이론을 일부 발명하기도 하고, 일부 창조적으로 변용하여 한 단계 격상된 조선의 유가철학을 이루었고 평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김석문이 朝鮮易 學과 朝鮮儒學에 天文學과 數學을 포함시켜 그 지평이 더 넓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남은 숙제는 새로운 占法에 관한 심층 분석과 數가 좌선한다는 것 및 낙서와의 상관성 탐구 및 그림에 대한 추가 분석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his book from Xiang shu yi xu (상수학) point of view, especially ShaoYong’I-ching (강절역) point. This article began with two purposes. First, It is to look at the entire book of Kim Seok-mun as ShaoYong’I-ching. Second, observe Changeable image painting (易象圖) out of 26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of ShaoYong’I-ching. I’m checking to see if two of his writing objectives-a new theory of astronomy and new I-ching-have been achieved in the process. Kim Seok-moon’s dream was to ultimately return to Confucius (孔子). But it wasn’t just a return, it was an upgrade and a return to Confuciu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ew theory of astronomy was proved to be the first time in Joseon to assert the theory of geography (the theory of earth rotary; 地轉說). The new theory of I-ching was established. The return to Confucius, the birthplace of his studies, is implicit in his paintings starting from Taegeuk (太極) to the Taegeuk (太極). On the way back, Kim Seok-mun invented some of the theories listed above, and some creatively translated them to achieve and evaluate the advanced philosophy of Joseon. In other words, Kim Seok-mun’s inclusion of astronomy and mathematics in Joseon’s I-ching has made his horizons wider. The remaining homework in this study is an in-depth analysis of the law of appropriation, and further analysis of the number being left and the correlation with Luo-Shu (洛書), nine (9) and the picture.

      • KCI등재

        「訓民正音」 制字解에 함유된 宋代 象數易과 朝鮮易 - 「皇極經世書」, 「太極圖說」, 「易學啓蒙」을 中心으로 -

        조희영(Cho, Hie-Yo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4 No.-

        본 글은 정음 해례편 제자해에 깔린 역학적 배경을 宋代 (圖書)象數易의 입장 - 소강절, 주렴계, 주희의 저서- 에서 관찰한 후 朝鮮易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자해를 관통하는 핵심의 하나는 宋易思想이다. 제자해는 소강절의 황극경세서에 나오는 圖說에 영향을 받았고, 특히 ‘聲[人聲]’으로 정음을 창제한 점이 그러하다. 제자해에 나오는 음양오행론은 주렴계의 태극도설과 주희의 이론에 기반을 둔 것이 많다. 이어 나오는 五聲, 五臟, 五常, 五時 등과 陰陽互根論도 비슷하다. 제자해는 주희의 역학계몽에 나오는 하도와 그에 대한 논설을 인용했고 이를 계사전의 천지지수와 결합하여 역리를 전개했다. 삼재사상으로 중성의 제자논리를 전개한 것과 제자해 뒷부분에 나오는 음양과 동정, 천지와 강유 등을 연결한 것은 송역과 계사전 및 설괘전의 영향이다. ‘성’과 ‘象[발음기관의 상, 천지인의 상]’을 제자의 소재로 택한 것은 ‘상수’로 성음의 이치를 파악하고 문자를 창제하려는 정음 관련자들의 상수학적 시각을 반영한 것이다. 또 하나 제자해를 관통하는 핵심은 ‘사람중심’인 ‘人本主義 思想’이다. ‘사람중심’ 사상은 제자해 도처에서 확인된다. 정음은 ‘사람의 소리’를 기초로 창제되었고, 초성 17자를 ‘사람의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들었으며, 중성은 삼재를 형상했으며, 이를 설명하면서 ‘사람의 중요함’을 강조한 부분 등이 그것이다. 제자해의 역학사상은 강절, 렴계, 주희 등 송역과 불가분의 관계이나 역학적 논리를 적용하는 양상에서 모종의 ‘조선역’을 엿볼 수 있다. 신유학이 채 여물지 않은 선초에 송역의 대표적 논설을 착종하듯 엮어서 창제된 정음과 그 속을 ‘사람중심’으로 채운 제자해에서 開物成務한 ‘조선역’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This article sets out to summarize the epochal background of the Jejahae(制字解), which was rooted in the Song Dynasty s Xiàng shù yì xué and came to integrate the Joseon Dynasty s I-ching. One of the cores of the Jejahae is the Song Dynasty s Xiàng shù yì xué. The Jejahae was influenced by the paintings and theories that appeared in the 『huáng jí jīngshì shū』, particularly in relation to creation by “sound.” Another of the Jejahae’s cores is the “people-centered” idea. The principles of the Jejahae were inseparably related to the Song Dynasty s Xiàng shù yì xué, while the idea to apply the I-ching s logic to reality came from the Joseon Dynasty I-ch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ich was not influenced by Neo-Confucianism, the representative texts of Song were synthesized and 『Hunminjeongeum』 were made by the “sound of the people” and “shape”. The idea of making a letter with “the sound of a person” and “a shape” and filling it with a “people-centered” perspective reflects a Joseon influence on the translation of the Song Dynasty s Xiàng shù yì xué.

      • KCI등재

        서명응(徐命膺)의『복희(伏羲)64괘방원도(方圓圖)』개작(改作)에 대한 검토(檢討)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와 『선천사연(先天四演)』을 중심으로-

        조희영 ( Hie Young Cho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서명응은『하도(河圖)』와 소자(邵子)의 『황극경세서』를 기초로 그의 선천사상을 나타낸 책이『선천사연』이다. 그는 논리전개의 틀로써『하도』를 이용했고, 또『하도』로 다양한 이론을 나타냈다. 그 중에서 독특한 것이 소자의 ‘복희64괘방원도’에서 내도(內圖)인 방도(方圖)가 정사각형(□)인데 그는 마름모 모양(◇)으로 바꾸고, 이것이 소자의 뜻이라고 주장을 한다. 개작하는 원인은 소자가 말한 ‘리(離)와 감(坎)은 陰陽의 限界이다. 그러므로 리는 인방(寅方)에, 감은 신방(申方)에 해당하는데 數가 항상 그것을 넘는 것은 음양의 넘침(溢)이다. 용수(用數)는 인(寅)에 불과하고 교수(交數)는 신(申)에 불과하다’ 와 주자(朱子)가 말한 ‘이는 마땅히 리는 묘(卯)에, 감은 유(酉)에 해당한다는 說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갱의사-更宜思)에 있다고 했다. 즉 서명응은 주자가 속으로 ‘소자의 말대로 되면 원도와 방도의 위치가 어긋난다’라고 생각한다고 여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소자의 주장은 ‘리의 陽氣는 인에서 나오고 묘에서 다하며’ 이때(묘)를 수가 넘치고(數定) 음양이 넘치는 지점(氣盈)으로 본 것이다. 감의 陰氣와 申, 酉의 관계도 같다. 여기서 ‘다한다, 넘친다’는 의미는 ‘꽉 찬다, 가득하다’라는 뜻이다. 소자는 氣가 무성하면 기우는 것을 염려하여 氣가 가득 찬 시점을 數가 넘친다, 음양이 넘친다고 한 것이지 이 때문에 방도를 개작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호방평의 주장으로 정확한 지적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소자의 주장이나 주자의 ‘갱의사(更宜思)’가 방도개작의 이유가 될 수 없다. 다만 서명응이 주장하는 ‘하도중궁론(河圖中宮論)’에 기인하여 방도를 마름모꼴로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은 그만의 ‘하도론’으로 이유가 있는 주장이다. 이것은 소자의 선천사상을 서명응식으로 변용한 것으로 한 걸음 전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Seo myeng-eung(서명응) had writed a Seonchensayeon(先天四演), it`s infleunced by Soja(邵子) Seo myeng-eung(서명응) is arrange his Seonchenyeokhak(先天易學) through the Hado(河圖) and Hyangkeukgyengseseo(皇極經世書) Especially he used Hado(하도), for the tool of election of the his principle, and added Soja(소자)`s Seonchenhak(선천학) But he insist uniquely that The Bokhee64gyebangwondo(복희64괘방원도)`s inner side(內圖-方圖) must be change from a regular square(정사면체) to diamonded-shaped(마름모꼴). He insist, the change of inner side(내도-방도) shape is Soja(소자)`s original idea. But anyone say it not yet. He told, the reason why is that Soja(소자) said GamRee(坎離) is limit of Eumyang(陰陽), In(寅) is start point of Ree(리)` Yangi(陽氣), Sin(申) is start point of Gam(감)`Eumgi(음기), if over a number it`s overflow Eumyang(음양) At this time Juja(朱子) said that I reconsider Ree(리) deserve Myo(卯) and Gam(감) deserve Yu(酉). Seo myeng-eung(서명응) said, Soja(소자) and "Juja(朱子) said I reconsider" is the source of changing The Bokhee64gwaebangwondo(복희64괘방원도)`s inner side(내도-방도) But after review we had a result that Soja(소자) insist Ree(리)` Yangi(陽氣) from In(인) to Myo(묘), Myo(묘) is point of upside of number and Gi(기) and so called `Overflow` but not really overflowed only `full of Gi(기)`. Between Eumgi(음기) and Gam(감), Sin(申) and Yu(酉) are same condition. On this view point we had settled a problem of "Juja(주자) said I reconsider" We have discovered that his principle come from Hadojungung(河圖中宮). His principle-"The Bokhee64gyebangwondo(복희64괘방원도)`s inner side must be change from a regular square(정사면체) to diamonded-shaped(마름모꼴)" is creative one. And he had succeed the Soja(소자)`s Seonchenhak(선천학), but take step forward.

      • KCI등재

        팬데믹[코로나19]에 대처하는 『주역(周易)』의 방도 ―의리적 인문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조희영 ( Cho Hie-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주역』은 우환의식에서 비롯된 책이다. 따라서 지금 인류가 겪는 우환[팬데믹: pandemic]의 극복 방도를 『주역』에서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본 글은 그 방도가 무엇인지를 의리적 인문학적인 관점과 함께 공동체에 제시되는 범용성도 감안하여 작성되었다. 먼저 우환과 우환의식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는 우환을 합리적 두려움이나 도덕이 행해지지 않는 근심으로 보았고, 우환의식은 이를 극복하려는 자발적 주체적 책임의식이라 했다. 그러나 이런 기준은 너무 이상적이고, 현실적인 ‘중간 우환’과 ‘중간 우환의식’을 무시한 것이라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필자는 기존 연구에서 행한 우환 대처법인 ‘삼진구덕괘’의 분석 등을 통한 방도를 택하지 않고, 『주역』 가운데 8개의 난괘와 호괘, 반대괘 등의 괘체[卦象], 괘사, 단전, 대상전을 통해 의리적 관점의 우환 대처법을 파악했다. 그 결과 3가지를 추출했다. 첫째 덕, 둘째 자존감, 셋째 배려심이 그것이다. 덕에는 미래변화 대처력이 포함되고, 자존감은 겸손에서 나오며, 배려심에는 자연에 대한 배려와 비대면 사회에 대한 배려와 자기 배려가 포함된다. 이는 재난에 대처하는 1차 대응요법은 아니지만 사람의 언행과 사상 및 사회공동체에 영향을 주는 2차 해법인 인문학적인 방도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수적인 방법인 시초점이 재난 대처법으로 유효한지를 따져보았다. 개인이 재난에 대처하는 방법을 문점(問占)하여 나온 결과를 자신의 행동에 참고는 할 수 있으나, 어느 특정인의 점의 결과를 재난의 방도로 통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봤다. I-ching (周易) is a book that comes from a human being’s anxiety (憂患). Therefore, it is natural to find a way to overcome humanity’s anxiety (憂患)[pandemic] in I-ching (周易). This article is written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lity presented to the community from a humanities point of view of what the method is. A prior study viewed anxiety as a concern where rational fear or morality is not performed, and called it a voluntary sense of self-responsibility to overcome it. However, he said that such standards were too idealistic and realistic to ignore ‘middle anxiety (中間 憂患)’ that needed to be adjusted. Existing studies have shown ‘philosophical treatment (哲學治療)’ methods, drawing attention. I did not choose to use the analysis of the ‘Samjin Gudeokgwae (三陳九德卦)’ method, which was conducted in the previous study, but sought ways to cope with disasters through eight difficult, favorable and opposite trigrams. As it is now a major disaster targeting humanity, I thought that it would be better to analyze the trigrams rather than the change of hyo (爻), so through gwaemyeong (卦名), gwaesa (卦辭), we grasped the way of dealing with the evils and the logic of disaster response. As a result, three were extracted. First virtue (德), second self-esteem (自尊感), and third consideration (配慮心). Virtue includes coping with future changes, self-esteem comes from humility (謙遜), and consideration includes consideration for nature and consideration for the non-face-to-face society (비대면 사회) and Self consideration (자기 배려). This is not the primary response to disasters, but it was seen as a secondary solution that affected people’s words and actions and thoughts. I examined whether predicting the future (divination: 占) is effective as a disaster response method. Although individuals can refer to their actions as a result of predicting how to cope with a disaster, there is a problem in applying the results of a certain person’s divination as a method of this dis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