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tudy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lithium metal battery by surface coating of conductive material

        조혜린,오정훈,박진규,유명현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최근 전기자동차(EV)와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시장이 성장됨에 따라,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이차전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높은 이론 용량(3860mAh/g)과 낮은 표준 환원전위(-3.045V)를 갖는 리튬금속이 중대형 전지의 핵심 음극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리튬 금속은 충 방전 과정에서 dendrite 성장과 dead Li형성으로 인해 심각한 용량 저하와 전지 안전성 문제에 대한 이슈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연구 동향은 리튬 금속 표면에 유 무기물 복합 층을 코팅함으로써, 직접적인 리튬 금속과 전해액의 접촉을 막아주고 dendrite성장을 억제하여 리튬 금속 전지 성능을 향상 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물질을 리튬 금속 표면에 코팅하여 리튬금속 전극 표면의 저항을 감소시켜주고 dendrite형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 Vapor Grown Carbon Fibers/Super-P 도전재 조성 변화에 따른 Si 음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조혜린,김규만,송다노,이용민,유명현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Silicon은 흑연(372mAh/g) 대비 약 10배의 이론 용량(4200 mAh/g)을 지니고 있어, 리튬이차전지용 차세대 음극 활물질로 적극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충·방전 시 수반되는 300% 이상의 큰 부피변화로 인한 전극 구조 붕괴로 이차전지로서의 충분한 수명 특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고접착 바인더가 새롭게 적용되고 있으나, 전기전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기존 입자 형태의 도전재인 Super-P와 나노 파이버 형태의 도전재인 Vapor Grown Carbon Fibers (VGCF)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도성 확보와 전극 구조의 유지 특성을 동시에 개선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uper-P와 VGCF의 조성 변화에 따른 Silicon 전극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전기화학 특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국립도서관 초대 관장 이재욱에 대한 一考 - 조선총독부도서관 기관지 『문헌보국(文獻報國)』을 중심으로 -

        조혜린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조선총독부도서관 기관지 『문헌보국(文獻報國)』을 중심으로 국립도서관 초대 관장 이재욱(李在郁)의 생애와 업적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이재욱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서 출신 관장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자이자 도서관 최고경영자로서 많은 업적을 남겼음을 확인하였다. 이재욱은 1931년 경성제대 졸업 후 조선총독부도서관 촉탁(囑託)으로 들어와 1939년 사서로 임명되었으며, 『농촌도서관의 경영법』(1935년) 발간을 통해 최초의 도서관학 전문서적을 발간한 사서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또한, 『문헌보국』에 수록된 총 38편의 저술 분석 결과 서지학 분야의 저술이 58%(22편)를 차지하는 등 서지학자로서의 업적과 함께 1945년 10월부터 1950년 7월 납북되기까지 국립도서관 관장으로서 그가 이룩한 업적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 번도 조명되지 못했던 우리나라 최초의 사서 출신 전문가 관장으로서의 이재욱이라는 인물에 대해 처음 연구한 논고로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on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Lee Chai Wuk, the first director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focusing on the Munheon Boguk (文獻報國), Library of Japanese Government Gerneral of Korea’s publi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Lee Chai Wuk is the first library director appointed as a professional librarian in Korea and had many achievements as a scholar of various fields and library director. After graduating Keijō Imperial University in 1931, Lee was hired by the Library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appointed as a librarian in 1939, he is recognized as the librarian who published the first library science book Rural Library Management (published in 1935). According to the analysis for 38 articles included in Munheon Boguk, bibliography fields account for 58% (22 articles) of the material. The research explores his achievements as bibliographer and national library director.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is the first study on Lee Chai Wuk, the Kore’s first professional library director, and I hope this will be used as basic study on related research.

      • KCI우수등재

        국내 데이터센터 폐열잠재량 산정에 관한 연구

        조혜린,윤린,오세신 대한설비공학회 2022 설비공학 논문집 Vol.34 No.7

        The waste heat potential of data center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heat energy source. In this study, waste heat potentials of domestic data centers were calculated and monthly potentials were predicted. The amount of potential was calculated from annual average total power consumption, PUE values of 10 data centers through surveys, and 66 domestic data center from ITSA (Korea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The waste heat potential was derived by considering the COP of the heat pump, exclud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from the compressor for recovery energy. Based on 10 data centers from surveys, the average potential ranged from 54,414,495 kWh to 65,075,294 kWh with respect to COP of chiller. The highest waste heat potential was 200,463,808 kWh. When the value of waste heat generated was examined by region, Gyeonggi Province had the highest value of 3,161,288,865 kWh among 66 domestic data centers. The waste heat potential from the data center was also predicted using TRNSYS modelling. The prediction error ranged from 9.04 to 32.85% for S data center located in Daejeon. 본 연구에서는 국내 데이터센터 폐열 잠재량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내렸으며 PUE를 통해 데이터센터에서 냉방에너지로 소비되는 전력량을 산출하고 데이터센터 폐열잠재량에 대한 구체적인 값을 제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데이터센터 잠재량은 데이터센터 내 IT서버 룸의 온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투입되는 냉방에너지로 정의하였다. (2) 직접 조사를 통한 국내 데이터센터 10곳의 전력사용량 값과 PUE, 칠러의 냉방효율을 통해 데이터센터 폐열잠재량을 산출했으며 칠러의 효율에 따라 평균 5,414,495 kWh에서 65,075,294 kWh가 산출되었다. 또한 조사를 통해 얻은 국내 데이터센터 중 가장 큰 폐열은 **가산 데이터센터로 약 200,463,808 kWh가 도출되었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로부터 수집한 66개 데이터센터자료를 이용하여 폐열잠재량을 분석한 결과 경기도지역이 3,161,288,865 kWh로 가장 큰 잠재량을 나타냈다. (3) TRNSYS 프로그램을 통해 S 텔레콤 데이터센터 모델링을 진행하여 실측값과 비교하였으며 냉방 COP는 데이터센터 에너지 기준을 장비의 레벨까지 제시하는 미국 켈리포니아에서 제시한 효율기준 표를 따랐다. S 텔레콤 데이터센터의 실측값을 통해 산출한 잠재량과 TRNSYS 결과값의 오차는 예측값 기준 최소 9.04%에서 최대 32.85%로 나타났다. (4) 데이터센터의 측정값에 의존하지 않고 조사를 통한 예측이 아닌 설비 정보와 랙 발열량을 통해 잠재량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의 콥스각도가 족저압 지수에 미지는 영향

        조혜린,김지웅,정한석,박승용 보완대체의학연구소 2014 Research Journal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Vol.- No.5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iopathic scoliosis and plantar pressure index. Ninety~six candidates visited a Hanseo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performed whole spine X-ray to divide into scoliosis or non-scoliosis groups. Scoliosis group was comprised of forty-one members and non-scoliosis group was comprised of fifty-five members. Cobb’s angle was measured by XmaruChiro software and plantar pressure index was obtained by 3D BodyViewTM Imaging System. All the data was compiled and corrected, and then the data was inputted into the IBM SPSS Statistics 19 program for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oliosis and plantar pressure index appeared as a positive value(p < 0.05). Idiopathic scoliosis patients with a spinal curvature of greater than 100 had a lower arch of the foot. In conclusion, plantar pressure index should be useful in diagnosing and efficient treatment plan for scoliosis patients.

      • KCI등재

        역사 지진해일에 대한 한울원자력발전소의 범람에 대한 검토

        조혜린,조용식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3

        Tsunamis mostly triggered by impulsive undersea ground motions are probably one of most devastating coastal hazards. Since tsunamis could travel a long distance, they may attack not only neighboring but also distant countries. Several nuclear power plants are under operation and constructing now along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astern coast of Korea is very vulnerable to unexpected tsunami attacks generated near the western coast of Japan. In this study, the safety analysis has been done at Hanul Nuclear Power Plants against historical tsunamis. The maximum run-up heights are predic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undation, while the minimum run-down heights are also computed to check whether the supply of cooling water is possible. The Hanul site is safe against those historical tsunamis. 주로 해저의 갑작스러운 지반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지진해일은 가장 파과적인 해안재해 중 하나이다. 지진해일은 대양을 가로질러 전파할 수 있으므로 발생장소에 인접한 국가는 물론 멀리 떨어진 국가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동해안에는 여러 기의 원자력 발전소가 가동 중에 있으며, 몇 개의 발전소가 추가로 건설 중에 있다. 동해안은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하는 지진해일에 의한 급습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지진해일에 대하여 한울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검토한다. 발전소의 범람 검토를 위해 최대 처오름 높이를 예측하였으며, 냉각수 공급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최저 처내림높이를 계산하였다. 고려된 역사 지진해일에 대하여 한울원자력발전소는 안전하였다.

      • KCI등재

        쌍별귀뚜라미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조혜린,이유정,홍지은,이승욱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5

        Gryllus bimaculatus (GB) has recently been registered as a food variety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prepared protein hydrolysates from GB and evaluated their antioxidant capacity. Protein hydrolysates were prepared from dried GB using enzymatic hydrolysis using five different proteases, and protein hydrolysates showing high hydrolysis value (alcalase, flavourzyme, and neutrase) were separated further into fractions ≤3 kDa and then lyophilized. Based on RC50 values of hydrolysates (≤3 kDa) obtained from four different antioxidant analyses, the flavourzyme hydrolysate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antioxidant capacity among the three hydrolysates, and in particular, it showed considerably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s. The flavourzyme hydrolysat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tein hydrolysates from GB represent potential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Our current studies are focused on identification of active peptides from the flavourzyme hydrolysate.

      • KCI등재

        상세화 기법을 통한 한반도 공간 강우장 분석

        조혜린,황석환,조용식,최민하 한국수자원학회 201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11

        강우는수문순환에서중요한요소중에하나로시·공간적변동성이크므로정확한공간강우장의파악이요구된다. 열대강우 관측 위성(Tropical Rainfall Monitoring Mission, TRMM)에서 제공하는 3B43 월 누적 강우량 자료는 25 km의 공간해상도를 갖고 있어 공간 강우장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상세화 기법을 적용하여 1km의 공간 해상도로 생성하였다.Terra 위성에 탑재된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s) 센서가 제공하는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공간해상도1km)와강우자료의관계성을회귀식으로나타냈고상세화기법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지점과 위성 강우 자료와의 차이를 통해 보정하는 방법인 GDA (Geographical Difference Analysis)와 지점과 위성 강우 자료와의 비율로 편차를 보정하는 GRA (Geographical Ratio Analysis) 상세화기법을사용하여공간강우장을나타내었다. 우리나라의공간강우장결과를지점자료를기준으로비교검증을실시하였다.그결과GDA 상세화기법의경우가2009년(Bias=4.26mm, RMSE=172.16 mm, MAE=141.95 mm, IOA=0.64), 2011년(Bias=17.21 mm, RMSE=253.43 mm, MAE=310.56 mm, IOA=0.62)으로가장잘맞는것으로나타났다. 이를바탕으로우리나라의공간 강우장을 1 km의 공간 해상도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지점의 수를 늘려 보정을 정밀하게 하거나, 강우레이더 자료를 가지고 상세화 기법을 적용한다면 더욱 정확한 공간 강우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Precipit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hydrological cycle. It needs to understand accurate of spatial precipitation field because it has large spatio-temporal variability. Precipitation data obtained through the Tropical Rainfall Monitoring Mission (TRMM) 3B43 product is inaccurate because it has 25 km space scale. Downscaling of TRMM 3B43 product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spatial precipitation field from 25 km to 1km scal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1 km space scale) which is obtained from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 meters (MODIS) sensor loaded in Terra satellite is variable at different scales. Therefore regression equations were established and these equations apply to downscaling. Two renormalization strategies, Geographical Difference Analysis (GDA) and Geographical Ratio Analysis (GRA) are implemented for correcting the dif- ferences between remote sensing-derived and rain gauge data. As for considering the GDA method results, biases, the root mean-squared error (RMSE), MAE and Index of agreement (IOA) is equal to 4.26 mm, 172.16 mm, 141.95 mm, 0.64 in 2009 and 17.21 mm, 253.43 mm, 310.56 mm, 0.62 in 2011. In this study, we can see the 1km spatial precipitation field map over Korea. It will be possible to get more accurate spatial analysis of the precipitation field through using the additional rain gauges or radar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