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을 통한 비영리법인 조세부담 변화의 추정: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조형태,차상권 한국세무학회 2023 세무와 회계저널 Vol.24 No.1

        In this study, we review the hypothetical additional tax burden to be borne by medical institutions when the current medical institution’s essential business reserve setting rate is lowered or the reserve system is abolished. We use data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f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stimated average effective tax rate, when analyzed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 it was found that tertiary hospitals receive more tax benefits from the reserve system than secondary hospitals. The estimated average tax rates were found to increase by 17.02%p (setting rate:100%) and 14.78%p (setting rate:50%) respectively in the absence of the reserve system. In terms of establishment type, in the case of institutions with a 100% setting rate of reserves, medical institutions established by education entities were found to receive higher tax benefits from the reserve system. In the absence of the reserve system, the estimated average effective tax rate was found to increase by 21.58%p. In the case of medical institutions with a 50% setting rate, it was found that medical institutions established by foundations receive higher tax benefits from the reserve system. In the absence of the reserve system, it was found to increase by 17.94%p. Estimated average tax payable per medical institution was also found to be higher in those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Despite the potential tax revenue increased above from a government perspective, the following needs to be considered. First, given the Medical Service Act which disallows for-profit corporations to establish medical institutions, caution needs to be taken for taxation of non-profit medical institutions like for-profit corporations. Second,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dustry, such as the public interest and public welfare provided by he medical industry. If the current reserve setting rate is lowered or eliminated which leads to tax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like for-profit corporations, the medical institution can pass on the increased cost to the medical service consumer, which in turn increases the economic burden on the medical service consumer 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finances. Third, if the current medical institutions’ reserve system is required to be changed, tax benefits for medical institutions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alternative minimum tax system. Unlike the prior studies which focused on medical institutions’ profit reporting behavior through a reserve fund,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analyzes medical institutions’ tax burden change and how their tax burden would increase if the reserve setting rate was gradually lowered.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의료기관 회계정보 공시시스템의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의 의료기관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률을 낮추거나,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를 폐지할 경우 의료기관에서 추가적으로 부담하는 세부담을 검토해 보았다. 추정 평균유효세율 관점에서, 의료기관의 종별로 분석하였을 때,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에 비해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세제 혜택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가 없을 경우 이들의 추정 평균유효세율은 17.02%p(설정률:100%), 14.78%p(설정률:50%)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립 유형별로 보았을 때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률 100%인 기관의 경우 학교법인이 설립한 의료기관이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로 인한 세제 혜택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가 없을 경우 이들의 추정 평균유효세율은 21.58%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률 50%인 기관의 경우 재단법인이 설립한 의료기관이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로 인한 세제 혜택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가 없을 경우 이들의 추정 평균유효세율은 17.94%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의 기관당 추정 평균 부담세액 역시 동일한 종별, 설립 유형별 의료기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에도 불구하고, 다음의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구조상 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설립할 수 없는 우리나라의 의료법 체계를 고려할 때, 영리법인과 같이 비영리법인 의료기관의 수익에 대해 과세하는 것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의료산업에서 요구되는 공익성과 국민의 후생 등 의료산업의 특징을 고려하여 의료기관 세제에 대한 접근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의 의료기관의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률을 낮추거나 영리법인과 동일하게 과세할 경우, 의료기관이 증가되는 비용을 의료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 있고, 이는 다시 의료서비스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의 증가 또는 건강보험 재정의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어 세입 측면만 고려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셋째, 유형별로 다른 의료기관의 세부담을 조정한다는 관점에서 현재의 의료기관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를 변화시킨다면 의료기관에 대한 세제혜택을 최저한세 제도 등을 통해 일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 이전 이익과 이후 이익을 비교함으로써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을 통한 이익 보고 행태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종별, 설립유형별로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제도로 인한 세부담 절감 수준, 그리고 점진적으로 고유목적사업 준비금 설정률을 낮출 경우 이들의 조세부담이 어떻게 올라갈 것인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 KCI등재

        미국 진출 근로소득자 과세에 대한 검토 ―한미 조세조약의 금액 기준을 중심으로―

        조형태,선창희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4 세무와 회계 연구 Vol.13 No.4

        In recent years, South Korea’s investments in the U.S. have been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upward trend, and this increase in corporate investments has naturally led to a rise in the relocation of domestic residents to the U.S.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Korea-U.S. Tax Treaty and domestic tax laws reasonably support the entry of South Korean residents into the U.S. from a tax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residents’ entry into the U.S. market, compares tax treaty provision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nducts case studies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proposes issues with the current system along with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The current Korea-U.S. Tax Treaty was signed in 1976, and prior research has pointed out its outdated nature. In the treaty, income from dependent personal services (employment income) is generally recognized as taxable by the country of residence. However, unlike other tax treaties, if the provider of dependent personal services receives a salary equivalent to USD 3,000 during their stay in the source country, the source country retains the taxing rights. Given the current trade trends, this aspect of the treaty is disadvantageous to South Korea. This provision is rarely seen in other tax treaties signed by South Korea or by the U.S. with other countries, and thus requires review. In practical cases, there have been instances where key executives of South Korean companies on business trips to the U.S. were found to be at risk of taxation. Considering the salary levels of executives at publicly traded companies, even short-term business trips could pose significant taxation risks in the U.S. Furthermore, when South Korean residents become subject to taxation in the U.S. under this tax treaty, there is not only the burden of tax filing, but also the possibility that, under current interpretations, the foreign tax credit may not be applicable to income taxes paid in the source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like the model tax treaties, the outdated Korea-U.S. Tax Treaty should be promptly updated by removing the unnecessary income threshold for foreign employment source income, and that tax treatments for overseas workers should be aligned with those in other tax treaties.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foreign tax credit system for employment income should be revised to ensure that it operates smoothly in cases such as business trips abroad, allowing foreign tax credits to be applied when taxes are levied based on monetary thresholds in the U.S. Additionally, the tax exemption rules for foreign employment income, which create confusion around foreign tax credits, should be revised, and there is a need for enhanced education by domestic tax authorities for South Korean companies expanding into the U.S.

      • KCI등재

        북한회계의 비용지출계산에 관한 연구

        조형태,김미옥,정형록,만군 한국정부회계학회 2020 정부회계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북한회계처리 실무 및 방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비용과 관련된 북한회계처 리 실무를 검토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2017년에 발행된 북한 회계학 교재를 검토하여 그들의 비용 관 련 회계처리 방법, 서식 그리고 그 밖의 실무 내용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비용회계 검토를 통해 파악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용계산 절차와 원가계산 절차 가 구분되어 있는데, 비용회계는 미완성품 회계로 분류되고, 원가회계는 완성품 회계로 구분된다는 점 이다. 둘째, 비록 북한에서는 계정과목을 ‘비용’이라고 명명하고 있으나 남한 재무회계의 자산에 더 가 깝고 이 같은 분류 명칭은 북한 사회주의 정치체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남한과 북한에서 인 식하는 제조활동의 범위가 다르고 이에 따라 기간비용으로 처리하는 항목과 자산화한 후 비용화되는 원가 항목이 다른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가격 통제가 상대적으로 높은 북한에서는 도매가격과 합의가 격 차이 비교 및 그에 따른 회계처리가 상시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회계처리의 오류 등으로 수 정이 필요한 경우 반대 계정을 활용하여 반제처리하는 것보다는 당해 계정에 적자 분개를 통해 수정하 는 것이 일상적인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주요 비용 항목이 기관(기업소)의 부문 또는 산업에 의해 구 분되어 발생한다는 점이고, 이는 북한의 중앙집권적인 산업 구조, 통치 체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 곱째, 서식의 높은 의존성이다. 비용의 중앙집권적 통제를 위해 비용의 생성, 집계, 배분에 있어 각 기 업소, 직장 등의 고유성은 없고, 통일된 서식에 따라 이 절차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비용회계에 초점을 두어 해당 회계의 전반적인 회계처리 과정을 살펴보고, 남한 비용회계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North Korea's accounting treatment practices and methods, and specifically reviewed the North Korean accounting treatment practices related to costs. As a research method, we reviewed North Korean accounting textbooks issued in 2017 to examine their cost-related accounting methods, forms, and other practical details. The implications identified through North Korea's cost accounting review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ing process and the costing process are divided. Cost accounting is classified as unfinished product accounting, and cost accounting is classified as finished product accounting. Second, although North Korea names the account subject as “cost,” it is closer to the assets of South Korea's financial accounting, and the classification name seems to be due to the North Korean socialist political system. Third, the range of manufacturing activities recognized by South and North Korea is different, and accordingly, it is understood that the items processed as periodic costs and the cost items costed after assetization are different. Fourth, in North Korea, where price control is relatively high, the difference between wholesale price and agreed price and accounting is consistent. Fifth, if it is necessary to correct due to errors in accounting, etc., it appears that it is common to correct the account through a deficit reversal rather than clearing it using the opposite account. Sixth, the main cost items are classified by the sector or industry of the institution (enterprise), which seems to be due to North Korea's centralized industrial structure and governance system. Seventh is the high dependence of habitat. For centralized control of costs, there is no uniqueness of each company or workplace in generating, counting, and distributing costs, and this procedure is carried out in a uniform forma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s on North Korea's cost accounting and looks at the overall accounting process of the accounting and compares the differences with South Korea's cost accounting.

      • KCI등재

        중앙정부의 변화가 지방정부 불용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조형태 한국정부회계학회 2020 정부회계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중앙정부의 변화가 지방정부 예산불용액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및 결산 자료를 수집하여 중앙정부 1년차에 지방 정부 불용액이 늘어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앙정부 집권 1년차 여부에 따른 불용액의 비율의 차이 분석(T-test)과 다요인 회귀 분 석에서 지방정부의 불용액이 중앙정부 1년차에 유의적으로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 향은 불용액 수준이 비경상적으로 높았던 2015년을 제외한 분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광역자치 단체보다는 시, 군, 구와 같은 기초자치단체에서 중앙정부 1년차에 불용액 비율이 높게 발생하는 것으 로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집권 1년차에 들어가는 새로운 중앙정부가 과거 정부에서 편성되었던 예산을 연속 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지방정부 예산집행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시사점 은 지방정부의 예산집행이 중앙정부와 독립되지 못하고, 종속적으로 예산을 집행하는 현실의 단면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불용액의 발생 패턴과 중앙정부와의 변화를 연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change in the central government affect local governments’ unencumbered balance. For the period of 2006 to 2017, the budget and the financial data of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have been collected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 local governments’ unencumbered balances increase in the first year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e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unencumbered balance of the local government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 year of the central government. This tendency is salient when 2015 data which shows an extremely high level of unencumbered balance is excluded from total sample. Also, this tendency is more pronounced in basic local governments than regional govern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ndency of the new central government, entering the first year of power, not to continuously use the budgets prepar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may affect the local government budget execution. These findings show an implication that the local government's budget execution is not independ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but made subordinately.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pattern of unencumbered balanc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changes with the central government.

      • KCI등재

        이산화탄소 기반 플라스틱 열분해 수소 생산 공정: 지속가능한 폐어망 재활용

        조형태,이재원,김유림,이슬기,정성엽 한국화학공학회 202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62 No.1

        Fishing net waste (FNW) constitutes over half of all marine plastic waste and is a major contributor to the degradation of marine ecosystems. While current treatment options for FNW include incineration, landfilling, and mechanical recycling, these methods often result in low-value products and pollutant emissions. Importantly, FNWs, comprised of plastic polymers, can be converted into valuable resources like syngas and pyrolysis oil through pyrolysis. Thus, this study presents a process for generating high-purity hydrogen (H2) by catalytically pyrolyzing FNW in a CO2 environment. The proposed process comprises of three stages: First, the pretreated FNW undergoes Ni/SiO2 catalytic pyrolysis under CO2 conditions to produce syngas and pyrolysis oil. Second, the produced pyrolysis oil is incinerated and repurposed as an energy source for the pyrolysis reaction. Lastly, the syngas is transformed into high-purity H2 via the Water-Gas-Shift (WGS) reaction and Pressure Swing Adsorption (PSA).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the proposed process with those of traditional pyrolysis conducted under N2 condition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yrolyzing 500 kg/h of FNW produced 2.933 kmol/h of high-purity H2 under N2 conditions and 3.605 kmol/h of highpurity H2 under CO2 conditions. Furthermore, pyrolysis under CO2 conditions improved CO production, increasing H2 output. Additionally, the CO2 emissions were reduced by 89.8% compared to N2 conditions due to the capture and utilization of CO2 released during the process. Therefore, the proposed process under CO2 conditions can efficiently recycle FNW and generate eco-friendly hydrogen product. 폐어망은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어망은 소각, 매립, 기계적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으나,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으로 재활용되며, 오염 물질을 배출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플라스틱 고분자로 구성된 폐어망은 열분해 방법을 통해 처리할 경우, 합성가스 및 열분해유와 같은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2 기반에서 폐어망을 촉매 열분해하여 고순도의 H2를 생산하는 공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공정은 다음 3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전처리 된 폐어망을 CO2 기반 하 Ni/SiO2 촉매 열분해 반응을 통해 합성가스 및 열분해유를 생산한다. 둘째, 생성된 열분해유를 연소시켜 열분해 반응의 에너지원으로 재사용한다. 마지막으로, 합성가스를 WGS (Water-Gas-Shift) 및 PSA (Pressure Swing Adsorption)를 통해 고순도의 H2로 전환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공정의 열분해 결과를 일반적인 열분해 조건인 기존 N2 기반 열분해 결과와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폐어망 500 kg/h을 열분해 시 N2 기반에서는 2.933 kmol/h의 고순도 H2를, CO2 기반에서는 3.605 kmol/h 의 고순도 H2를 생산 가능했다. CO2 기반 폐어망 열분해에서 CO 생산이 향상되어 최종적으로 H2 생산량이 증대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폐어망 열분해 시 CO2 기반에서는 공정 운전 과정에서 배출되는 CO2를 포집 후 활용함으로써, N2 기반 열분해에 비해 CO2 배출량을 89.8% 줄일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CO2 기반에서의 제안 공정은 폐어망 재활용과 더불어 친환경적인 수소 연료생산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해외 펀드 손실 상계 일몰이 펀드 투자에 미치는 영향

        조형태,최원석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6 No.1

        2009년 12월 31일에 종료되었던 해외 펀드 비과세 제도는 금융 위기로 위한 환율 상승의 여파로 해외 펀드 투자자의 세부담을 줄이는데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2009년 12월 31일 이후에 일시적인 기간 환차익 등의 과세 대상 이익에 해외 펀드 비과세 기간 중 발생한 해외 상장 주식 매매 손실 및 평가손실(환차손익은 제외)을 상계하는 경과규정을 내놓았고, 그 경과 규정은 2014년에 일몰하게 된다. 선행 연구에서는 펀드 세제의 변화가 펀드 투자자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펀드 현금 흐름의 변화를 측정 모델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에 발표된 해외 펀드 손실 상계 일몰 공포 시점 전후 그리고 실제로 일몰 확정된 시점 전후 기간을 각각 더미 변수화 하여 펀드 현금 흐름에 변화가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우선 2014년 12월 31일에 일몰이 확정된다는 개정 세법 발표 시점(2014년 8월 6일) 이후 4개월동안의 펀드 순현금흐름은 그 이전 4개월기간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외 펀드 손실 상계 기한이 확정되었다는 발표를 접한 펀드 투자자들이 펀드 환매 등을 통해 과거 누적된 손실을 실현시켜 펀드 투자로 인한 세부담을 줄이려는 투자 행태를 보인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실제 일몰이 확정되는 2014년 12월 31일 이후 1개월 동안의 현금흐름은 이전 1개월 현금흐름보다 유의적으로 높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해외 펀드 손실상계 일몰 기한 이후 펀드 투자자 입장에서는 더 이상 펀드를 환매할 유인이 없으나, 일몰 이전에는 환매를 통하여 세부담을 절감하려는 노력을 취했다는 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해외 펀드 손실 상계를 혜택을 온전히 받을 수 있는 2007년 6월 1일 이전 설정펀드만을 표본으로 뽑고, 환차익을 고려한 변수를 더한 추가 분석에서도 그 결과는 동일하게 나왔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 펀드 세제가 펀드 투자자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해외펀드 손실 상계 일몰 제도를 통해서도 확인이 되었다.

      • KCI등재

        세수추계를 위한 국세통계 기초자료 유용성의 검토: 양도소득세를 중심으로

        조형태,김완용,유현수 한국세무학회 2024 세무학 연구 Vol.41 No.3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세수추계 오차의 문제, 즉 국세수입 예측력 하락은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우려하고 있는 문제이다. 현행 세수추계는 대체적으로 거시자료에 기반한 세수예측이어서 GDP 등 거시변수에 토대를 둔 모형이 활용되고 있는데, 납세자 수준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세제 변화(e.g. 공제 한도, 세율 변경 등)를 반영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미시자료에 의거한 세수추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왔고, 해외에서도 미시변수를 반영한 세수추계 모형을 구축하고 있으며 미시데이터의 공개도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 국세청(국세통계센터)에서도 2018년부터 납세자 수준의 미시자료 형태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는바, 본 연구는 국세통계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양도소득세의 추정을 시도하였고, 세수추계 목적으로 해당 자료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양도소득세는 법인세와 더불어 세수오차율이 높고, 변동성이 높은 세목으로 적정한 추계의 필요성이 갈수록 높아지는 세목이다. 국세통계 기초자료 상의 양도소득세 데이터 구조에 대한 검토 및 해외 사례와의 비교, 해당 자료를 실제 활용하여 양도소득세 세수 추계를 시도한 결과, 현재의 국세통계 기초자료 상태에서는 자료 제약 등의 문제로 양도소득세 추계의 유용성은 낮은 것으로 보이며, 실제 세수 차이에 대한 보정을 위해 높은 가중치를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국세통계 기초자료가 거시변수를 활용한 세수추계의 보완 목적으로 활용되기에 부족한 면은 분명 존재하며, 특히 국세통계센터 기초자료 공개 기준의 불분명성, 표본 추출 방법의 유용성 문제, 국세데이터 간의 연계성, 기초자료 제공범위 문제 등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재의 거시자료로 수행되는 세수추계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국세통계센터가 제공하는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오차율이 크다고 평가되는 양도소득세의 추정을 시도하였고, 그 과정에서 세수추계 목적상 국세통계센터 기초자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recent issues with tax revenue estimation errors, in particular the declining predictive power of national tax revenue forecasts, give rise to various concerns for stakeholders. Currently, tax revenue estimates are predominantly based on macroeconomic data, implying that the models are grounded in macro variables like GDP. This approach often fails to account for tax policy changes at the taxpayer level (e.g., changes in deductions, tax rates) that can directly impact revenue figures. The necessity for tax revenue estimates based on microdata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nd models incorporating micro variables are being developed with the publication of microdata in the developed countries. In South Korea, the National Tax Service (NTS Datalab) has been providing taxpayer-level microdata since 2018. This study utilizes these micro data to estimate capital gains tax, which has one of the highest rates of revenue estimation errors and volatility along with corporate tax, underscoring the need for precise estimates. However, the utility of current micro data for estimating capital gains tax appears is limited due to data constraints which results in the requirement of application of high weights for accurate revenue adjustment. The current state of micro data from the NTS Datalab clearly lacks the depth required to supplement macro-variable-based revenue estimates. Issues such as unclear public standard for provision of micro data, the effectiveness of sampling method, linkage between tax types, scope of data provided, accessibility to the NTS Datalab, and legal challenges in accessing to micro data are required to be addressed.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macro-data-based revenue estimation methods by utilizing micro data provided by the NTS Datalab, particularly aiming to refine the estimates of capital gains tax, known for its significant error rate. The research highlights the problems and suggests improvements for the micro data to be provided by the NTS Datalab for tax revenue forecast.

      • KCI등재

        금융투자소득 도입에 따른 펀드투자소득세 변동 분석:기준가와 과세표준기준가 차이를 중심으로

        조형태 한국세무학회 2022 세무학 연구 Vol.39 No.3

        This study reviews the amendment to tax rule for investment income from funds that can be affected by the financial investment income tax system, and estimates change in tax for the past 11 years test period if the system applied during the period. Also,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factors to influence the change in tax amount. The test sample is NAV under FISCMA and Tax NAV under Individual Income Tax Act for equity type funds existing throughout the period(2010-2020).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rate of change in NAV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e of change in tax NAV under the assumptions including holding period for investment in fund.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capital gain on Korean domestic listed shares is reflected in NAV, not tax NAV. In terms of tax amount, withholding tax on dividend from the equity type fund was estimated to be around KRW 1 per unit on average for the period whereas withholding tax on financial investment income be around KRW 22 per unit on average. As averaged financial investment income showed negative sign for half of the tested period, it is likely that loss set-off across financial instruments or tax loss carry forward deduction would be often utilized by individual income taxpayers when financial investment income is implemented. Based on the analyses on factors affecting dividend tax, financial income tax and additional tax, it is expected that fund contribution, big asset manager(dummy), active fund(dummy) and rate of return are likely to be factors to affect those taxes. First, where financial investment income system is implemented, more financial investment income tax would be expected to be assessed on funds managed by large scale funds. Second, more financial income tax is expected to be incurred on index fund tracking benchmark index.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stimation power between models using individual fund returns and Kospi returns. Fourth, in the case of a fund with a high capital contribution, index funds are likely to pay more taxes under the financial investment tax system than active funds.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by analyzing the extent to which the introduction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come tax system affects tax on investment in fund by using NAV and tax NAV.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come tax system to be implemented in 2023,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predicting how much changes in taxable income and tax amount are made.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study in that strict assumptions were made when calculating fund investment income, and changes in income and tax amount were analyzed at the fund level, not at the taxpayer level. 본 연구는 금융투자소득세제의 영향을 받게 되는 펀드의 투자소득에 대한 세제 변화를 검토하고, 과거기간에 금융투자소득세제를 적용할 경우 펀드투자소득과 세액은 어느 정도 변화하며, 세액 변화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료로 과거 11년(2010년~2020년) 동안 계속 존재하였던 국내주식형 펀드의 개별 수준의 소득세법상 과표기준가와 자본시장법상의 일 반기준가를 활용하였다. 과거분석대상기간에 펀드투자시점 및 보유기간 등의 일정한 가정을 두고 과표기준가 증감율(배당 소득추정치/과표기준가)과 일반기준가 증감율(금융투자소득 추정치/일반기준가)을 비교한 결과, 예측 한대로 국내주식형 펀드의 일반기준가 증감율이 과표기준가 증감율 보다 현격히 높게 나타났다. 이 는 국내상장주식의 자본이득의 증가분이 일반기준가에는 반영이 되나, 과표기준가에는 반영이 되지 않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세액의 경우 금융투자소득세제 적용 전의 집합투자기구 투자로 인 한 좌당 배당소득세(원천세 기준)는 좌당 평균 1원 내외의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금융투자소득세제 적용 후의 좌당 금융투자소득세(원천세 기준)는 평균 22원 정도 나타날 것으로 나타났는데, 분석대상 기간의 절반 정도의 기간이 평균 기준으로 음(-)의 금융투자소득을 보여 금융투자소득세제가 시행 이 되면 납세자의 금융투자소득 손실 통산 및 이월공제 적용이 잦을 것으로 보인다. 배당소득세, 금투소득세 그리고 금융투자소득세제 도입으로 인한 추가부담세액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설정액, 대형자산운용사 여부, 액티브 펀드인지의 여부, 펀드 수익률이 영향 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우선, 현행 배당소득세제에서 금융투자소득세제로 변경할 경우 대형운용사 가 운용하는 펀드의 추가부담세액이 상승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지수추종하는 인덱스펀드보다 는 펀드매니저의 재량이 개입되는 액티브펀드에서 금융투자소득세가 오히려 낮을 것으로 추정되었 다. 셋째, 금투소득세의 경우 펀드수익률에 높은 영향을 받겠으나, 펀드 개별 수익률과 Kospi 수익률 간의 추정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넷째, 설정액이 높은 펀드일 경우 인덱스 펀드 에서 추가적인 세금을 낼 여지가 높으나, 액티브 펀드에서는 좌당 소득세가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개별 공모펀드 수준(Fund level)의 자본시장법상 일반기준가와 소득세법상 과표기준가를 활용하여 금융투자소득세제의 도입이 펀드투자 소득세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2023년 시행될 금융투자소득세제의 적용을 앞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펀드투자소득 의 세무상 처리의 변화가 과세소득 및 세액에 어느정도 영향을 줄 것인지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으로 금융투자소득세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그러나, 펀드투자소득 계산시 엄격한 가정을 두었고, 납세자별 수준이 아닌 펀드 수준의 소득 과 세액 변화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존재한다.

      • KCI등재

        ESG가 기업가치평가 오류에 미치는 영향

        조형태,차상권,황선필 한국기업경영학회 2023 기업경영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ESG 등급이 가치평가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ESG 등급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나회계정보의 품질에 초점이 맞춘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ESG 등급이 가치평가오류 즉, 시장가치와 회계정보에 기반한 내재가치의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ESG기준원에서 제공하는 ESG 등급과 Rhodes-Kropf et al.(2005)의 방식으로 추정한 개별기업의 특성에 기인한가치평가오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된 분석 결과, ESG 통합등급과 ESG 세부 등급 중 사회등급, 기업지배구조 등급이 높을수록 가치평가오류는 커진다는 실증적 결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ESG가 회계정보에 미치는영향에 벗어나 시장가치와 회계정보에 근거한 내재가치의 차이 즉 가치평가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ESG 경영활동이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통제하여 결과적으로 가치평가오류를 낮추는 것에는 제한적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ESG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 증가, ESG로 인한 현저성 현상 또는 주가 과잉 반응이 가치평가오류를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잠재적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