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金屬活字의 靑土를 이용한 蜜蠟鑄造法 實驗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6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processes and principles of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using celadon clay. (1) Matrix material: Beeswax and injection wax were useful as the material. (2) The mould material and type performance: Celadon clay was useful as the filling material. Activated carbon, paper fiber and graphite were useful as the functional material. Each of the mixture proportion was 10~19% for activated carbon, 1% for paper fiber, and 20% for graphite. In particular, paper fiber played a superior, almost critical role in preventing cracks in the mould. Activated carbon demonstrated high success rate. However, the quality of type was found to be poor for all. 20% for oil carbon was not appropriate. (3) Metal components, pouring quantity, and pouring method: Bronze was more effective than brass as the metal component. A small quantity of approximately 350 grams was poured using conventional method. (4)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fewer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higher the success rate was. (5) Direction of character face and pouring method of metal fluid: The success rate was highest, when the character face was directed downward, and it was slightly higher when metal fluid was poured in a standing mode. (6) The main path caliber for metal fluid: The size of 4.5 × 5.0mm was sufficient. (7) The temperature of mould: The degree of 600℃ was sufficient as the burning temperature for mould. The success rate was not affected by the mould temperature at the time of metal fluid pouring. (8) The casting success and contraction rate: The highest success rate 90.0%, and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15.74%. Contraction rate was 3.66%. (9) The characteristics of type strokes: Al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Jikji were observed here.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wax casting method adopted by this experiment was the replication of the method actually used to cast Jikji type. 금속활자를 주조할 수 있는 청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의 구체적인 과정과 원리를 추적하였다. (1) 어미자의 재료: 밀랍과 함께 왁스가 효과적이었다. (2) 주형의 재료와 활자의 완성도: 충전 재료로 청토는 유용하였다. 기능성 재료로 활성탄⋅종이 섬유⋅흑연 등은 유용하였다. 그 혼합 비율은 각각 10~19%, 1%, 20%였다. 특히 종이 섬유는 주형의 균열을 방지하는 기능이 절대적일만큼 탁월하였고, 활성탄은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활자의 완성도는 모두 저조하였다. 20%의 유성 탄소는 부적합하였다. (3) 금속의 재료 및 주입 양과 방법: 청동이 황동보다 효과적이었다. 주입 양은 350g 정도의 소량을 재래식 방법으로 주입할 수 있었다. (4) 문자 필획의 다과: 필획이 적을수록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5) 문자면의 방향과 금속 용액의 주입 방향: 문자면은 하향이 성공률이 가장 높았고, 금속 용액은 입식으로 주입하는 것이 미세하게 높았다. (6) 주탕도의 굵기: 4.5 × 5.0mm의 주탕도로도 충분하였다. (7) 주형의 온도: 주형의 소성 온도는 600℃로도 충분하였다. 금속 용액 주입 시 주형의 온도는 성공률과 무관하였다. (8) 주조의 성공률과 수축률: 최고의 성공률은 58.0%였고, 전체의 성공률은 16.96%였다. 수축률은 3.66%였다. (9) 활자 자적의 특징: 「직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 모두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밀랍주조법은 직지활자를 주조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방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金屬活字 蜜蠟鑄造法 鑄型材料 : 묵연의 復原 實驗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05 서지학연구 Vol.31 No.-

        This study applied empirical approach in order to restore mould material for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1) Matrix Material: wax, pine resin-added wax and paraffin were used. (2) Mould Material: any sticky clay was acceptable as main material. Graphite was useful as the subsidiary material, and its adding proportion was 20 percent.(3) Component of Alloy, Pouring Quantity and Method: it was possible to make an alloy of copper with 55 through 70 percent. The amount of metal poured was a very small quantity of around 200 grams, and conventional pouring method was also applicable.(4)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density of stroke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success of casting to some degree.(5) Success and Contraction Rate of Casting: the success rate of casting was 1.41%, and its contraction rate was 92.13%. 금속활자 밀랍주조법의 주형재료를 복원하기 위하여 실험실습법으로 추적하였다.(1) 어미자의 재료: 밀랍송지를 첨가한 밀랍파라핀이 유용하였다. (2) 주형의 재료: 주재료는 점성을 가진 흙이면 가능하였다. 보조 재료는 흑연이 유용하였으며, 이의 첨가 비율은 20%였다. (3) 합금 성분 및 주입 양과 방법: 구리 55~70%의 합금이 가능하였다. 금속의 주입 양은 200g 정도의 소량으로, 재래식 방법으로 주입하여도 가능하였다. (4) 문자 필획의 다과: 필획의 밀도가 낮을수록 주조의 성공률이 높아지는 약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5) 주조의 성공률과 수축률: 주조의 성공률은 1.41%였고, 수축률은 92.13%였다.

      • KCI등재

        금속활자의 옹기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 실험 연구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7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processes and principles of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using pottery clay. (1) Matrix material: Beeswax and injection wax were useful as the material. (2) Mould material and type quality: Pottery clay was useful as the filling material. Activated carbon, oil carbon, graphite, paper fiber and water carbon, among others, were useful as the functional material. The mixture proportion was 50% for activated carbon, 5% for oil carbon and graphite, 1% for paper fiber, and 5~40% for water carbon. The quality of type was highest with 40% of water carbon and lowest with oil carbon. (3) Metal components, pouring quantity, and pouring method: Bronze with 70% copper was effective. A small quantity of about 300 grams was poured using conventional method. (4)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had almost no impact on the success rate of casting. (5) The pouring direction of metal fluid: The pouring direct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rate of casting - putting the character fa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ouring metal fluid in a standing mode. (6) The main path caliber for metal fluid: The size of 4.5×5.0mm was sufficient. (7) The temperature of mould: The degree of 600℃ was sufficient enough as the burning temperature for mould. The success rate was not affected by the mould temperature when pouring metal fluid. (8) The casting success rate and contraction rate: The highest success rate was 92.0%, and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45.14%. The contraction rate was 4.77%. (9) The results under the same condition: There was 6% variance in the result under the same moulding condition. (10) The characteristics of type strokes: Al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Jikji」 were observed here.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ax casting method taken by this experiment is the same method that was actually used for Jikji type. 금속활자를 주조할 수 있는 옹기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의 구체적인 과정과 원리를 추적하였다. (1) 어미자의 재료: 밀랍과 함께 왁스가 효과적이었다. (2) 주형의 재료와 활자의 완성도: 충전 재료로 옹기토는 유용하였다. 기능성 재료로 활성탄․유성 탄소․흑연․종이 섬유․수성 탄소 등은 유용하였다. 그 혼합 비율은 활성탄이 50%, 유성 탄소와 흑연이 5%, 종이 섬유는 1%, 수성 탄소는 5~40%였다. 완성도는 수성 탄소 40%가 가장 높았고, 유성 탄소가 가장 낮았다. (3) 금속의 재료 및 주입 양과 방법: 구리를 70%로 하는 청동은 효과적이었다. 주입 양은 300g 정도의 소량을 재래식 방법으로 주입할 수 있었다. (4) 문자 필획의 다과: 필획의 다과는 주조의 성공률과 거의 무관하였다. (5) 금속 용액의 주입 방향: 문자면을 측향으로 하여 금속 용액을 입식으로 주입하는 것이 성공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6) 주탕도의 굵기: 4.5×5.0mm의 주탕도로도 충분하였다. (7) 주형의 온도: 주형의 소성 온도는 600℃로도 충분하였다. 금속 용액 주입 시 주형의 온도는 성공률과 무관하였다. (8) 주조의 성공률과 수축률: 최고의 성공률은 92.0%였고, 전체의 성공률은 45.14%였다. 수축률은 4.77%였다. (9) 동일 조건에서의 결과: 동일한 조건의 주형에서 나타난 결과는 6%의 차이가 있었다. (10) 활자 자적의 특징: 「직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 모두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밀랍주조법은 직지활자를 주조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방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금속활자의 산청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 실험 연구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5 No.-

        This study attempted to trace the specific processes and principles of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using Sanchung clay. (1) Matrix material: Injection wax was effective as the material. (2) Mould material: Sanchung clay was useful as the filling material. Paper fiber, oil carbon, graphite, and water carbon, among others, were useful as the functional materials. The mixture proportion was 1% for paper fiber, 5% each for oil carbon and graphite, and 5~50% for water carbon. (3) Metal components and the quantity and method of pouring: Bronze with 70% copper was effective. A small quantity of about 350 grams was poured using conventional method. (4)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had almost no impact on the success rate of casting. (5) The pouring direction of metal fluid: The pouring direct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rate of casting ; that is, putting the character fa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ouring metal fluid in a standing mode. (6) The main path caliber for metal fluid: The size of 4.5×5.0mm was sufficient. (7) The temperature of mould: The degree of 600℃ was sufficient enough as the burning temperature for mould. The success rate was not affected by the mould temperature when pouring metal fluid. (8) The casting success rate and contraction rate: The highest success rate was 88.0%, and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53.71%. The contraction rate was 2.45%. (9) The characteristics of type strokes: Al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Jikji」 were observed here.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ax casting method taken by this experiment is the same method actually used for casting Jikji types. 금속활자를 주조할 수 있는 산청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의 구체적인 과정과 원리를 추적하였다. (1) 어미자의 재료: 왁스는 효과적이었다. (2) 주형의 재료: 충전 재료로 산청토는 유용하였다. 기능성 재료로 종이 섬유․유성 탄소․흑연․수성 탄소 등은 유용하였다. 그 혼합 비율은 종이 섬유는 1%, 유성 탄소와 흑연은 5%, 수성 탄소는 5~50%였다. (3) 금속의 재료 및 주입 양과 방법: 구리 70%의 청동은 효과적이었다. 주입 양은 350g 정도의 소량을 재래식 방법으로 주입할 수 있었다. (4) 문자 필획의 다과: 필획의 다과는 주조의 성공률과 거의 무관하였다. (5) 금속 용액의 주입 방향: 문자면을 측향으로 하여 금속 용액을 입식으로 주입하는 것이 성공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6) 주탕도의 굵기: 4.5×5.0mm의 주탕도로도 충분하였다. (7) 주형의 온도: 주형의 소성 온도는 600℃로도 충분하였다. 금속 용액 주입 시 주형의 온도는 성공률과 무관하였다. (8) 주조의 성공률과 수축률: 최고의 성공률은 88.0%였고, 전체의 성공률은 53.71%였다. 수축률은 2.46%였다. (9) 활자 자적의 특징: 「직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 모두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밀랍주조법은 직지활자를 주조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방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直指活字의 鑄造ㆍ組版 方法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연구 Vol.39 No.-

        This study attempted to infer the methods of producing and setting Jikji types and their shapes by analyzing the traces of types in Jikji.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1) Jikji types were metal movable types produced by the wax casting method, with a matrix carved into soft materials such as wax, using manuscripts as the base.2) Jikji type was carved in full shape on the face of characters, and its side was not square, and showed irregular patterns. 3) Jikji type was approximately 5mm high, and set by the method of attaching with printing wax.4) The printing plate had fixed margins and vertical lines, and two metal plates in which a center title, chapters and pages could be assembled, were alternately used for printing.5) Jikji types were first cast for the purpose of printing certain books. However, Jikji was not the first book for which these types were cast and used.6) The techniques of casting, typesetting, and printing with Jikji types were not very efficient. 「直指」의 자적을 분석하여 직지활자의 제작방법ㆍ활자의 형태ㆍ조판방법 등을 추적하였다.1) 직지활자는 저본을 이용하여, 밀랍 등의 연한 재질에 어미자를 조각하여, 밀랍주조법으로 주조한, 금속활자였다.2) 직지활자의 형태는 동체의 문자면에 문자를 가득 차도록 조각하였으며, 측면은 방정하지 않은 불규칙한 형태였다.3) 직지활자는 높이가 5mm 정도로, 인납을 이용한 부착식 방법으로 조판하였다.4) 인판은 광곽계선이 고착되어 있고, 판심제ㆍ권차ㆍ장차를 조립한 두 장의 금속제 인판을 번갈아 사용하였다.5) 직지활자는 최초로 인출하고자 했던 서적에 나타난 문자를 위하여 주조한 목적성 활자였다. 그러나 「직지」가 그 첫 인쇄대상은 아니었다. 6) 직지활자는 주조기술ㆍ조판기술ㆍ인출기술 등의 인쇄기술 수준이 그다지 능률적이지 못하였다.

      • KCI등재

        금속활자의 백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 실험 연구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연구 Vol.44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processes and principles of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using white clay. (1) Matrix material: Beeswax and injection wax were useful as the material. (2) The mould material and type performance: White clay was useful as the filling material. Activated carbon, paper fiber and graphite were useful as the functional material. Each of the mixture proportion was 10~19% for activated carbon, 1% for paper fiber, and 20% for graphite. In particular, paper fiber played a superior, almost critical role in preventing cracks in the mould. Graphite demonstrated high success rate. However, the quality of type was found to be poor for all. Oil carbon was not an appropriate material. (3) Metal components, pouring quantity, and pouring method: Bronze was more effective than brass as the metal component. A small quantity of approximately 350 grams was poured using conventional method. (4)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fewer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higher the success rate was. (5) Direction of character face and pouring method of metal fluid: The success rate was highest when the character face was directed downward, and it was slightly higher when metal fluid was poured in a lying mode. (6) The main path caliber for metal fluid: The size of 4.5 × 5.0mm was sufficient. (7) The temperature of mould: The degree of 600℃ was sufficient as the burning temperature for mould. The success rate was not affected by the mould temperature at the time of metal fluid pouring. (8) The casting success and contraction rate: The highest success rate was 90.0%, and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15.74%. Contraction rate was 5.83%. (9) The characteristics of type strokes: Al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Jikji」 were observed here.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wax casting method adopted by this experiment was the replication of the method actually used to cast Jikji type. 금속활자를 주조할 수 있는 백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의 구체적인 과정과 원리를 추적하였다. (1)어미자의 재료: 밀랍과 함께 왁스가 효과적이었다. (2)주형의 재료와 활자의 완성도: 충전 재료로 백토는 유용하였다. 기능성 재료로 활성탄․종이 섬유․흑연 등은 유용하였다. 그 혼합 비율은 활성탄이 10~19%, 종이 섬유는 1%, 흑연은 20%였다. 특히 종이 섬유는 주형의 균열을 방지하는 기능이 절대적일만큼 탁월하였고, 흑연은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활자의 완성도는 모두 저조하였다. 유성 탄소는 부적합하였다. (3)금속의 재료 및 주입 양과 방법: 청동이 황동보다 효과적이었다. 주입 양은 350g 정도의 소량을 재래식 방법으로 주입할 수 있었다. (4)문자 필획의 다과: 필획이 적을수록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5)문자면의 방향과 금속 용액의 주입 방향: 문자면은 하향이 성공률이 가장 높았고, 금속 용액은 평식으로 주입하는 것이 미세하게 높았다. (6)주탕도의 굵기: 4.5 × 5.0mm의 주탕도로도 충분하였다. (7)주형의 온도: 주형의 소성 온도는 600℃로도 충분하였다. 금속 용액 주입 시 주형의 온도는 성공률과 무관하였다. (8)주조의 성공률과 수축률: 최고의 성공률은 90.0%였고, 전체의 성공률은 15.74%였다. 수축률은 5.83%였다. (9)활자 자적의 특징: 「직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 모두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밀랍주조법은 직지활자를 주조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방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金屬活字의 黃土를 이용한 蜜蠟鑄造法 實驗 硏究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연구 Vol.43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processes and principles of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using yellow soil. (1) Matrix material: Beeswax and injection wax were useful. (2) Mould material: Yellow soil was useful as the filling material. Activated carbon, paper fiber and graphite, among others, were useful as the functional material. The mixture proportion was 10~18% for activated carbon, 2% for paper fiber, and 20% for graphite. In particular, paper fiber played a critical role in preventing cracks in the mould,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casting, and maintaining the type quality. (3) Metal components, pouring quantity, and pouring method: Bronze was more effective than brass as the metal component. A small quantity of approximately 350 grams was poured using conventional method. (4)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fewer the number of character strokes, the higher the success rate was. (5) The pouring direction of metal fluid: The biggest factor for the success rate was the pouring method; that is, putting the character fac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ouring metal fluid in a standing mode. (6) The main path caliber for metal fluid: The size of 4.5×5.0mm was sufficient. (7) The temperature of mould: The degree of 600℃ was sufficient as the burning temperature for mould. The success rate was not affected by the mould temperature at the time of metal fluid pouring. (8) The casting success and contraction rate: The highest success rate was 80.0%, and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16.94%. (9) The characteristics of type strokes: Al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Jikji were observed here.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wax casting method adopted by this experiment was the replication of the method actually used to cast Jikji type. 금속활자를 주조할 수 있는 황토를 이용한 밀랍주조법의 구체적인 과정과 원리를 추적하였다. (1) 어미자의 재료: 밀랍과 함께 왁스가 효과적이었다. (2) 주형의 재료: 충전 재료로 황토는 유용하였다. 기능성 재료로 활성탄⋅종이 섬유⋅흑연 등은 유용하였다. 그 혼합 비율은 활성탄이 10~18%, 종이 섬유는 2%, 흑연은 20%였다. 특히 종이 섬유는 주형의 균열 방지와 주조의 성공률 및 활자의 완성도에까지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3) 금속의 재료 및 주입 양과 방법: 청동이 황동보다 효과적이었다. 주입 양은 350g 정도의 소량을 재래식 방법으로 주입할 수 있었다. (4) 문자 필획의 다과: 필획이 적을수록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5) 금속 용액의 주입 방향: 문자면을 측향으로 하여 금속 용액을 입식으로 주입하는 것이 성공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6) 주탕도의 굵기: 4.5×5.0mm의 주탕도로도 충분하였다. (7) 주형의 온도: 주형의 소성 온도는 600℃로도 충분하였다. 금속 용액 주입 시 주형의 온도는 성공률과 무관하였다. (8) 주조의 성공률과 수축률: 최고의 성공률은 80.0%였고, 전체의 성공률은 16.94%였다. 수축률은 2.53%였다. (9) 활자 자적의 특징: 「직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 모두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밀랍주조법은 직지활자를 주조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방법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