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건수면 양상으로 발현된 인슐린종

        조한나,최윤호,조유나,김원주 대한수면연구학회 2010 Journal of sleep medicine Vol.7 No.2

        Parasomnia involve abnormal and unnatural movements, behaviors, emotions, perceptions, and dreams that occur while sleep. Chronic hypoglycemia causes neuroglycopenic symptoms such as mental confusion, abnormal behavior, personality change, diplopia, fatigue and headache without typical autonomic symptoms. We report a 59-year-old woman with hypoglycemia who initially developed parasomnia mimic symptoms in early morning sleep period and the final diagnosis was insulinoma. Abnormal nocturnal behaviors persist long duration in the fasting state or early morning, are considered as hypoglycemic symptoms of insulinoma.

      • KCI등재

        여성노인의 감사성향과 그 기능의 탐색

        조한나,정영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itive effects of grateful disposition on subjective well-being and relationships among grateful disposition, social relation and self-esteem in female elders. Data was collected in Busan from fifty normal female elders and fifty low-income female elders living alone receiving social welfare servi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ow-income female elders living alone reported more gratitude on their nation and volunteers to support them while normal female elders reported more gratitude on their family and themselves. Second, grateful dispos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in both of the two groups, while social relations such as offspring relation and friend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teful disposition only in normal female group. Third, amount of variance in subjective well-being explained by grateful disposition was 19.9%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and 14.0% after controlling both demographic variables and friendship in low-income female elders, while in normal female elders, it was 19.8%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and 8.9% after controlling both demographic variables and offspring relation and friendship. The findings suggest that grateful disposition may have a greater positive impact in low-income female elder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일반 여성노인과 저소득 독거여성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긍정적 자질로서 감사의 기능을 탐색해 보는 것이었다. 부산시 소재 복지관과 주민자치센터의 노인도우미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65세 이상 저소득 독거 여성노인 50명과 일반 여성노인 5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소득 독거 여성노인은 일반 여성노인에 비해 국가와 봉사인력에 더 감사하는 반면 일반 여성노인은 가족과 자신에 대해 더 많이 감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감사대상이 다름을 보여주었다. 저소득 독거 여성노인과 일반 여성노인 모두 공통적으로 감사성향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과 자기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족관계와 친구관계는 일반 여성노인에게서만 감사성향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저소득 독거 여성노인의 감사성향은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을 19.9% 증진시켰으며, 친구관계를 통제한 후에는 14.0%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여성노인의 감사성향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을 19.8% 증진시켰으며, 자녀관계와 친구관계를 통제한 후에는 8.9%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감사성향은 여성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긍정적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방법에 의한 디스트로핀 유전자 돌연변이 분자학적 진단의 유용성

        조한나,홍지만,이경아,최영철 대한신경과학회 2010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8 No.1

        Background: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 (DMD/BMD), which is the most common X-linked muscular dystrophy,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dystrophin gene. These mutations comprise deletions in approximately 55~65% of patients, duplications in 5~10%, and point mutations or small insertion/deletions in the remainder. Unfortunately, current diagnostic assays for dystrophin do not accurately detect duplication mutations or female carriers. In this study we employed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analysis to detect deletions or duplications of the dystrophin gene in patients with DMD/BMD, and in potential female carriers. Methods: A total of 41 subjects was recruited for this study, comprising 35 male DMD/BMD patients, 1 female patient with Turner syndrome, and 5 females with a family history of DMD/BMD. The MLPA method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copy number of each of the 79 exons of the dystrophin gene in the 41 subjects. Results: MLPA analysis for dystrophin was informative in 71.4% (25/35) of patients with DMD/BMD patients, identifying deletions in 60.0% (21/35) and duplications in 11.4% (4/35). MLPA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a deletion of the DMD gene in one female patient with Turner syndrome. Of the five female pati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DMD/BMD, this assay revealed exon deletion in one and duplications in one. Conclusions: The reported findings reveal that the MLPA method is a powerful tool for detecting duplications and female carriers, as well as DMD gene deletions. MLPA should be considered the method of choice for an initial genetic analysis of DMD/BMD patients. Background: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 (DMD/BMD), which is the most common X-linked muscular dystrophy,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dystrophin gene. These mutations comprise deletions in approximately 55~65% of patients, duplications in 5~10%, and point mutations or small insertion/deletions in the remainder. Unfortunately, current diagnostic assays for dystrophin do not accurately detect duplication mutations or female carriers. In this study we employed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analysis to detect deletions or duplications of the dystrophin gene in patients with DMD/BMD, and in potential female carriers. Methods: A total of 41 subjects was recruited for this study, comprising 35 male DMD/BMD patients, 1 female patient with Turner syndrome, and 5 females with a family history of DMD/BMD. The MLPA method was employed to determine the copy number of each of the 79 exons of the dystrophin gene in the 41 subjects. Results: MLPA analysis for dystrophin was informative in 71.4% (25/35) of patients with DMD/BMD patients, identifying deletions in 60.0% (21/35) and duplications in 11.4% (4/35). MLPA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a deletion of the DMD gene in one female patient with Turner syndrome. Of the five female patients with a family history of DMD/BMD, this assay revealed exon deletion in one and duplications in one. Conclusions: The reported findings reveal that the MLPA method is a powerful tool for detecting duplications and female carriers, as well as DMD gene deletions. MLPA should be considered the method of choice for an initial genetic analysis of DMD/BMD patients.

      • KCI등재
      • 구렁이(Elaphe schrenckii)들의 실내 사육 동안 발병한 질병의 보고

        조한나,이헌주,김자경,구교성,최우진,김대인,박대식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5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7

        국내에 파충류의 질병에 대한 사례보고나 연구의 예는 매우 적은 편으로, 발병하는 질병에 대한 다양한 사례의 축적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015년 구렁이의 실내 사 육 동안 발병한 질병과 질병처치를 위해 시행한 처리 내용을 간략하게 보고하고자 한다. 2014 년의 경우 성체 구렁이에서 설사와 식욕감퇴 그리고 호흡기 질환이 발병하여 이를 항생제와 구충제, 영양제급여 및 훈증 처리를 하였으며, 그 결과 질병에 걸린 모든 개체들은 성공적으로 회복되었다. 항생제와 구충제의 처리 후 묽은 변이 고형의 변으로 전환되었으며, 변에서 발견 되는 선충류 역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년의 경우 구렁이 유체들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심낭수 삼출에 이은 심낭압전이 유발되어 다수의 개체가 사망하였다. 질병이 발생됨에 따라 사육 시설, 기구를 소독하였고, 유체를 개체별로 격리사육을 시행하였다. 또한 먹이로 공 급하던 생쥐를 전부 폐기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였다. 심낭압전은 4월 3일부터 시작하였으 며, 발병기간 동안 항생제와 소염진통제를 처방하였으나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심낭수 제거를 위하여 심낭천자술과 심낭절제술을 시술하였으나, 개체가 생존하지 못하였다. 폐사된 대부분의 개체는 과도한 심낭수의 축적에 의한 심장 압박이 원인이 되 호흡곤란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 정된다. 조직 검사결과 심장주위 출혈과 괴사성의 심근염이 발견되었으나, 개체들의 사망과 직 접적인 원인으로 연결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심낭수를 도말하여 검사를 한 결과 백혈 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질병은 발병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병 약 3주를 기점으로 개체들의 병적 증세가 완화되었으며, 이후 다른 개체들에서 추가적인 증상이 발견 되지는 않았다. 비록 사육중인 구렁이에서 발병한 질병의 원인의 규명과 처치에는 제한적 인 성과만을 얻었지만, 이러한 파충류의 실내 사육 시 발병하는 질병의 사례보고는 이후 추가 발생 시 조기에 효과적인 질병처치를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 구는 원주지방환경청의 지원을 받아서 수행되었다.

      • KCI등재

        국내 석탄재 재활용 확대 방안 연구

        조한나,맹준호,김은영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6

        Coal ash is generated from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every year. The remaining quantity of coal ash ends up in the landfills except for the recycled portion, and the existing ash pond capacity is limited almost. Currently, the difficulties are faced in building a new ash treatment plant because of the concerns about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landfills at individual plant facilities. In terms of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 the recycling and effective uses of coal ash are recognized as urgent issues to be challeng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obstacles in expanding the recycling of the coal ash in South Korea and proposes solutions based on the casestudy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specific recycling guidelines and standards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medium (soil, ground water, surface water and sea water) and the chemical. 2) by providing the recognition environmentally safe in recycling the coal ash, transparency in establishing the planning stages and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through promotion and research are essentially needed. 3) practical support system is required to encourage the power plant companies to use the coal ash as beneficial use.study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specific recycling guidelines and standards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medium (soil, ground water, surface water and sea water) and the chemical. 2) by providing the recognition environmentally safe in recycling the coal ash, transparency in establishing the planning stages and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through promotion and research are essentially needed. 3) practical support system is required to encourage the power plant companies to use the coal ash as beneficial use. 매년 화력발전소에서 약 800톤이상 되는 석탄재가 발생되고 있다. 발생되는 석탄재 중 재활용되고 남은 석탄재는 회처리장에 매립되고 있다. 현재 회처리장 용량에는 한계가 있고, 석탄재 매립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우려로 회처리장 신규 확보도 어려운 상황이다. 환경영향 최소화라는 측면에서 석탄재 재활용 및 유효이용이 향후 장기적·국가적으로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석탄재 재활용 확대를 가로막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친환경적 국토관리와 자원순환사회를 위한 석탄재 재활용 확대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국내 석탄재 재활용 확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석탄재를 재활용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성 예측ㆍ평가에 대한 기법과 기준 및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다. 석탄재의 환경 안전성에 대한 연구 및 홍보가 필요하며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및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석탄재 재활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정책방안으로는 석탄재 처리비 지원, 석탄재 공급센터 설치 등이 있다.

      • KCI등재

        부산광역시 사회조사 표본설계 개선에 관한 연구

        조한나,김수경,김규곤,노맹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new sampling design for 2012 “Busan Social Survey” based on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To do so, we analysed the 2009 “Busan Social Survey” which uses enumeration districts based on 200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s the sampling fraction. In the 2009 “Busan Social Survey”, 1,068 houses were equally allocated for 16 Guguns which are administrative regions of Busan metropolitan and the sampling method was used as stratified two-stage clustering sampling method where enumeration district and house are the primary and second sampling units, respectively. From the analysis of 2009 “Busan Social Survey”, we explored the necessity of preliminary sampling enumeration districts, the method of estimating total house numbers, and the validity of stratified indices. In estimating the house’s monthly income, the simple sample mean gives the different estimates and efficiencies for those by the method of using sampling design wei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estimates using the design weight produced in the sampling design. 본 연구는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조사구를 표본추출틀로 사용하여 추출된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된 2009년 “부산의 사회조사”의 결과 분석을 통해,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조사구를 표본추출틀로 하는 2012년 “부산의 사회조사” 표본설계에 대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9년 “부산의 사회조사”에서는 구·군별로 동일하게 1,068가구를 조사대상 가구로 하였으며, 통계청 방식을 준수하여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조사구를 표본추출틀로 하여 구·군내 조사구를 층화코드에 따라 분류하고, 조사구를 일차집락단위, 가구를 이차집락단위로 둔 층화 2단 집락추출법을 표본추출방법으로 사용하였다. 2009년 “부산의 사회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예비표본조사구 도입의 필요성, 가구 수 추정 방법, 층화지표 도입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가구의 월평균 소득 한 문항을 예시로 단순히 표본평균을 한 통계치와 표본설계의 가중치를 반영한 통계치를 비교한 결과, 일부 범주의 추정치와 효율에서 차이가 나타나 표본설계에서 반영된 가중치를 고려해서 통계치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