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제국군과 육군무관학교의 민족군사(民族軍史)적 의의

        조필군 ( Cho Pilgun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대한제국은 당시 해양세력인 일본의 침략을 거부하고 동시에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종주국으로 여겨왔던 중국으로부터의 자주독립을 병행하면서 대륙세력인 러시아를 선택했던 것이 결국 국권의 상실로 이어졌다. 하지만 대한제국 시기에 고종황제가 ‘러시아를 선택하여 대한제국이 실패했다’는 역사적 평가는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대한제국의 성격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대한제국군과 육군무관학교의 민족군사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군사력 증강을 위한 대한제국의 군사예산의 규모, 군사기구의 개편과 군사력 강화는 부국강병을 위한 핵심정책 사안이었다는 점에서 광무개혁의 산물이었다. 둘째, 항일독립운동사와 민족군사의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국군은 대한제국군에서 의병으로, 의병에서 독립군 및 광복군으로 계승되어 오늘의 국군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국군의 뿌리는 대한제국군까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대한제국군의 군제개혁은 근대적 군사체제를 확립하고자 자주적 입장에서 실행하였다는 점이다. 고종 시대의 재조명과 대한제국의 평가는 현재까지도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으로 양립한 상태에서 긍정적인 견해와 부정적인 견해가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라는 점에서 고종시대와 대한제국의 평가는 이와 같은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민족군사적 관점에서의 재조명이 필요하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도 한민족의 역사는 끊이지 않았으므로 민족군사적 관점에서 대한민국국군의 뿌리를 대한제국군까지로 확장함으로써 민족군의 정통성을 계승한 군대임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Korean Empire refused the invasion of Japan, the maritime power of that time, and attempted its independence from China that had been regarded as the suzerain state for long historically at the same time to go for Russia, the continental power, which led to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after all. However, the historical evaluation that emperor Gojong caused ‘the failure of Korean Empire by going for Russia’ in the era of Korean Empire needs to be reexamined. Paying attention to it, this author has drawn the ethnic arm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rmy of Korean Empire and the Korean Empire military academy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mpire. It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scale of military budget in Korean Empire to strengthen its military power, rearrangement of military organizations, and the enhancement of military power were the products of Gwangmu Reform as those were the issues of core policies for the sake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Secon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anti-Japanese independent movement and military history of ethnic army, today’s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has originated from the army of Korean Empire, loyal army,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Korean liberation army ; therefore, to discuss the root of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we have to go down to the army of Korean Empire. Third, the reformation of the military system in the army of Korean Empire was done in the autonomous standpoint in order to establish a modern military system. Regarding the reexamination of emperor Gojong’s reign and evaluation of Korean Empi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have kept arising up until now while the theory of internal development and that of colonial modernization coexisted. In the viewpoint of ‘ All history is the present history’, evaluation on the era of emperor Gojong’s reign and Korean Empire should be re-spotlighted from the perspective of ethnic army history, not remaining in that dichotomous thinking. Also, because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did last ev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needs to be reestablished that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is the army transmitting the legitimacy of ethnic armed forces by extending it up to the army of Korean Emp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