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대련시 낙타산(駱駝山) 금원동(金远洞)동굴의 발굴과 유적의 성격

        趙泰燮,趙 博,劉金远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최근 우리나라에서 많은 구석기유적들이 찾아지고 조사되는 것처럼 중국에서도 요즈음 새로운 유적들이 계속해서 찾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하나인 대련(大連)시의 낙타산(駱駝山)에 자리한 금원동(金远洞) 동굴유적에 대해 유적의 조사경위와 발굴 진척 사항, 유적의 성격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요동반도의 남쪽 끝에 자리한 대련은 한반도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곳이며 특히 갱신세시기에는 대륙으로 이어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으로 우리에게도 매우 중요한 비교 연구 대상지역이기도 하다. 이미 요령 성에서는 묘후산(廟後山), 금우산(金牛山) 등을 비롯한 많은 구석기시대의 유적이 알려져 있다. 특히 금원동 동굴은 북경의 주구점(周口店) 유적과 비견되는 유적으로 이 유적의 연구 성과가 밝혀지면 더욱 많은 자료들이 밝혀져 한국과의 비교 연구가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동북아시아에서의 구석기시대의 성격을 밝히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유적의 소개에는 중국 대련시의 대련자연박물관의 조박 관장님, 유금원 연구원님의 많은 도움이 있었으며 특히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여고인류연구소의 김창주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선사시대 소과(Bovidae) 화석에 대한 고찰

        조태섭 한국구석기학회 2009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0

        During the Quaternary, the paleoenvironment of Korean Peninsular has been changed several times. The fauna discovered in the prehistoric sites, especially the Bovidae fossil permit to estimate the climatic conditions of the prehistoric Korea. Four species of Bovidae family have been present and its faunal composition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Quaternary in Korea. Based on the these fossils, we may notice as follows: 1) Bos primigenius had been present whole the Pleistocene and it has been changed to Bos taurus in Holocene. 2) Bison priscus had been dominant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but it had been extinct in Holocene. 3) Bubalus sp. had been widely spread in Korea, especiall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during the middle Pleistocene and it was disappeared then after. But this animal has been reappeared during the early Holocene period. 4) Bos Taurus was the dominant Bovidae species during the Holocene and it would be related with human activities such as domestication and cultivation. From the changes of Bovidae in Korean peninsular, we may interpret that the climatic condition of the middle Pleistocene of our country would be relatively warm and it became colder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And it became warm during the early Holocene and it changed to a temperate climate as today.

      • KCI등재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멧돼지과(Suidae) 화석의 분석 연구

        조태섭 한국구석기학회 2013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7

        In this article, I analyze Suidae fossils, which have been discovered during the Paleolithic in Korea. First of all, I summariz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animal and the general features of its skeleton. Then, I overview briefly its evolution during the Quaternary and I demonstrate the bone structure difference from the domestic species, Sus scrofa domesticus. The Suidae is an herbivore animal but it has a very special dental morphology. Its dentition is bunodont like the omnivore. It may explain its survival through the Quaternary. Furthermore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prehistoric people because prehistoric people succeeded to domesticate the wild boar during the Holocene. More than 20 Paleolithic sites yielded Suidae fossil in Korea. It seems that the evolution of this animal occurred relatively simple: Lydekkeri species(Sus lydekkeri) appeared during the middle Pleistocene but with small quantity. This animal had a rather big size.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Sus species(Sus scrofa) is dominant. It lived almost everywhere in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in the central and northern part. The body size of Sus scrofa was smaller than that of Sus lydekkeri. Most of the fossils are the cranial part, including teeth. The large number of them were broken. Among them, I inventoried the dimension of entire M2 and M3 and entire calcaneum. This data would be utilized as the basic reference for the comparison with measurement of the Neolithic, the Bronze Age and the Iron Age samples. It is certain that the distinction of the wild boar and the domestic pig seems difficult but the comparative researches through periods, from the Paleolithic to the Iron Age,would allow to find their difference. Furthermore, these data would bring light to multiple problems concerning animal domestication in Korea. 이 글은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에 살았던 멧돼지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먼저 멧돼지과(Suidae)의 생태적인 성격 그리고 뼈대구조의 특징 등을 알아보았다. 이어 이 짐승의 제4기동안의 진화과정을 간단히 살펴보았으며 특히 멧돼지와 사람이 사육한 돼지의 차이점을 고찰하여보았다. 초식짐승이면서도 독특한 성격을 지닌 멧돼지는 강한 생활력에 힘입어 구석기시대를 거쳐 현세에도 살았던 짐승이며 사람들이 길들여 사육하였던 집돼지로의 변화를 갖는 짐승이다. 동물의 가축화연구에 돼지가 갖는 중요성이 바로 이 점에 있으며 현재 여러 각도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여 곳의 구석기시대 동굴유적에서 멧돼지 화석이 찾아졌으며 이 짐승의 제4기 갱신세시기에서의 변화는 비교적 간단하게 진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중기 갱신세시기에는 리데커 멧돼지(Sus lydekkeri )가 찾아지는데 유적의 수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 종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매우 컸던 개체로 알려지고 있다. 이후 후기 갱신세에는 대부분의 유적에서 멧돼지(Sus scrofa )가 존재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중부, 북부지방에서 골고루 출토되고 있으며 리데커 멧돼지보다는 적은 크기이다. 한편 출토된 뼈대 부위별로는 대부분이 이빨을 포함한 머리부위의 뼈들로 나타나고 있으며, 많은 경우 깨어진 채 찾아지고 있다. 분석된 유적마다 이빨(특히 둘째 어금니와 셋째 어금니)과 앞축뼈 등온전한 잰값을 가진 자료들을 모아 정리하여 보았다. 이러한 멧돼지 뼈들의 잰값 등은 다른 선사시대의 돼지 뼈와의 비교를 위해 기초자료로 쓰여질 수 있을 것이다. 현세시기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길들여 사육한 돼지(Sus scrofa domesticus )들을 야생의 멧돼지와 비교하고 구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구석기시대를 비롯하여 신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의 유적들에서 빈번히 출토되는 돼지의 뼈를 자세히 비교해보면 차이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동물을 사육하는 가축화에 관계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청주 봉산리 삼국시대 토광묘 출토 꿩뼈의 연구

        조태섭 중부고고학회 2017 고고학 Vol.16 No.2

        The Centr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xcavated Bongsan-ri site in Cheongju and this reveals many various historical remains. Among them, some bird bone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pottery at the pit-tomb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article is focused the analysis of these bird bones. After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bones, the 30 bones of bird were determined (NISP) and at least three individuals were calculated(MNI). We tried to determine the species of these remains : we compared their anatomical features and parts with the domesticated chicken (Gallus domesticus). As a result, the bird bones of Bongsan-ri site were identified as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It seems that the people of Bongsan-ri, who liv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ould utilize the pheasants as the funeral offering and put them in the pottery with the deceased. Moreover, three pheasants would have been cut into small pieces rather than in whole.In other words, the representative bird of that time was not a domesticated chicken, but wild birds such as pheasant. This would be related to the fact that pheasants, in general, considered much more valuable in ancient times than chickens. Samguk Sagi, Samguk Yusa,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often reveal that the pheasant has served as a tribute to the king. Various folk legends show that the pheasant considers as precious birds. According to the birds remains from this site, it can be said that the bird was not buried in its entirety but some body parts such as heads, wings and feet had been removed. It suggests that it is probably possible that the pheasant had been buried after being cooked. This would seem to imply a ritual ceremony. This assumption would be supported if we would have more similar archaeological cases. In addition to thi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written records that would inform the social customs of the time. Among them, we have to find the social meaning of the pheasant in history. In other words, we have to reveal the spiritual interpretation and values of the meaning and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this bird to peopl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이 글은 충북 청주 봉산리 유적의 삼국시대 토광묘에서 나온 새 뼈의 분석연구이다. 토광묘 내부의 원저단경호안에서 일괄로 찾아진 이 뼈들은 부위별 분석과 계측을 통하여 모두 한 가지 날짐승인 꿩의 것으로 감정되었다. 그리고 중복되는 동일한 부위의 것들을 확인한 결과 최소한 3마리가 있었음이 나타난다. 더욱이 화석환경학상의 분석은 이 꿩들을 온전히 넣은 것이 아니라 적어도 머리, 날개, 다리를 제거하고 넣었을 가능성을 알려준다. 이를 위해서는 삶거나 익혀서 의식을 치렀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앞으로 이와 같은 고고학적 사례들이 많이 나오고 당시의 장례 사회 풍습을 알려주는 문헌사료를 검토하면 좀 더 성격이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분석이 이루어질 때 유적에서 출토되는 동물고고학적 자료가 역사적, 사회문화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