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겔의 근대비극 개념

        조창오 ( Chang Oh Cho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6

        Nach einer Interpretation der Vergangenheitsthese der Kunst ist die moderne Kunst nicht mehr die hochste Form des Geistes: der Inhalt der Kunst sei der sich als unendlich wissende Geist, aber ihre Form sei sinnlich, die dem Inhalt nicht entspreche. Die moderne Tragodie sei ein Beispiel der ungelungensten Kunst, da der entgottere Charakter in ihr nicht in der Lage sei, die Versohnung-mit-sich zu veranschaulichen, und untergehe. Diese Studie versucht, diese Interpretation umzukehren. Die moderne Tragodie ist eine Form der modernen Kunst, die durch die dialektische Philosophie von Hegel nicht zu begreifen ist. Da die moderne Tragodie durch die Philosophie nicht begriffen werden kann, bleibt die moderne Tragodie frei von dieser und transzendiert sogar diese selbst.

      • KCI등재
      • KCI등재

        2부 일반 논문 : 셸링의 "비극적인 것"의 철학

        조창오 ( Chang Oh Cho ) 한국헤겔학회 2015 헤겔연구 Vol.0 No.37

        이 논문은 셸링의 ``비극적인 것``의 철학의 현재성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 서는 ``근대``와 ``비극적인 것``에 대한 현대적 담론, 특히 슈미트의 근대 속의 가치복수성의 사실과 ``비극적인 것``의 통약불가능성 명제와 슈타이너의 ``계몽``과 ``비극적인 것``의 배제적 관계에 대한 명제에 대해 토의한다. 두 이론가가 근대와 ``비극적인 것``을 상호 배제적인 것으로 파악하는데 반해 셸링은 근대 속에서 오히려 ``비극적인 것``의 철학을 시도한다. 셸링에 따르면 ``비극적인 것``의 철학은 근대 속의 가치복수성의 공존이 대립으로 치닫게 되는 과정과 그 원인에 대한 인식으로서, 대립 속에 있는 복수적인 가치들 이 다시금 근원적인 공존으로 되돌아 갈 수 있는 반성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Diese Studie diskutiert die Aktualitat der Philosophie des Tragischen von Schelling. Dafur fuhrt sie den modernen Diskurs uber das Verhaltnis zwischen der ``Moderne`` und des ``Tragischen`` ein, besonders Schmitts These von der Inkommensurabilitat des ``Faktums der Wertspluralitat in der Moderne`` und des ``Tragischen`` und Steiners Meinung uber das exklusive Verhaltnis zwischen der ``Aufklarung`` und dem ``Tragischen``. Im Gegensatz zu diesen Behautungen versucht Schelling die Philosophie des Tragischen in der Moderne. Fur Schelling bietet die Philosophie des Tragischen eine Einsicht in den Prozess, in dem das Zusammensein der pluralen Werte in einen Gegensatz gerat, und seinen Grund an, und legt eine reflexive Grundlage fur die Ruckkehr der pluralen Werte in einem Gegensatz in das ursrungliche Zusammensein.

      • KCI등재

        카프의 기술철학의 동기

        조창오(Cho, Chang-oh)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9 No.-

        카프는 기술을 하나의 체계적인 철학적 반성의 대상으로 삼은 최초의 철학자다. 어떻게 카프는 기술에 관한 철학을 시도하게 되었을까? 그의 기술 철학의 중심에는 무의식적 기관투사란 개념이 놓여 있다. 무의식적 기관투사란 인간의 유기적 신체를 바깥으로 투사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기술은 한편으로 합목적적인 제작 활동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무의식적인 기관투사에 따른 제작 활동에 불과하다. 카프가 보기에 전자의 활동은 비본질적이고, 후자의 활동이 기술에 본질적이다. 이러한 기술의 특성 때문에 기술은 본질적으로 자신을 은폐한다. 즉 인간은 이러한 기술의 은폐성 때문에 기술을 오로지 합목적적 제작 활동이라고 간주하며, 이에 따라 기술을 도구로 간주한다. 전통적인 문화철학은 이러한 기술에 대한 도구적 관점을 더욱더 강화했다. 이에 대해 카프는 기술의 은폐성을 기관투사 개념을 통해 해명하면서 기술의 본질을 보여준다. 이에 따르면 기술은 문화를 구성하는 활동으로서 무의식적 기관투사를 통해 인간의 신체를 복제하여 이를 물질적 형식 속에서 실현한다. 여기서 문화란 기술적 대상의 총체이다. 결국 인간은 문화 속에서 자기 자신의 신체를 발견하며, 이를 통해 자기를 인식하게 된다. 그래서 카프에게 기술철학은 문화철학이다. 하지만 문제는 카프의 기술철학이 기술의 무의식적 활동성을 밝힌다는 점이다. 기술철학을 통해 밝혀진 기술은 카프의 기술철학 이후 계속 무의식적인 제작 활동으로 남을 수 있을까? 만약 기술 제작자가 카프에 따라 기술의 무의식적 본질을 알게 되면 의식적으로 신체를 복제하는 활동에 몰입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것은 카프가 밝히려 한 기술 개념의 종말이 될 수 있다. 카프의 기술철학은 ‘기술의 종말’이란 문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에게 현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에도 기술에 대한 도구적 관점이 지배하고 있고, 여전히 기술의 표현적 측면은 망각된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Ernst Kapp was the first philosopher to make technology the object of a systematic philosophical reflection. How did Kapp come to try his philosophy on technology? At the center of his philosophy of technology lies the concept of unconscious organ projection. Unconscious organ projection is projecting the human organic body outward. According to this, on the one hand, technology is a general purpose-oriented production activit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merely a production activity based on unconscious organ projection. In Kapp"s view, the former activity is non-essential, and the latter activity is essential to technology. Because of the nature of this technology, it essentially conceals itself. In other words, humans regard technology as a purpose-oriented production activity because of the concealment of such technology, and accordingly, consider technology as a tool. Traditional cultural philosophy has further strengthened the instrumental view of these technologies. In response, Kapp shows the essence of the technology by clarifying it’s concealment through the concept of unconscious organ projection. According to this, technology is an activity that composes culture and realizes it in material form by duplicating the human body through unconscious organ projection. Culture here is the totality of technological objects. Eventually, humans discover their own body in culture, and through this, they become aware of themselves. So, for Kapp,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is the philosophy of cultur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Kapp"s philosophy of technology reveals the unconscious activity of technology. Can the technology revealed through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continue to remain as an unconscious production activity after Kapp’s philosophy of technology? If the technology maker learns the unconscious nature of the technology thanks to Kapp, he can consciously immerse himself in the activity of duplicating the body. If so, this could be the end of the concept of the technology that Kapp tried to uncover. Kapp’s philosophy of technology still has a present meaning for us despite the problem of ‘the end of technology’. This is because even now, the instrumental view of technology dominates, and the expressive aspect of technology is still in a state of being forgotten.

      • KCI등재

        한국적 생존사회에 대한 하나의 철학적 반성 - 고향상실의 철학

        조창오 ( Cho Chang-oh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9

        이 논문은 생존을 위해 혁신의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고향상실의 사태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사회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시도한다. 오뒤세우스는 귀향을 시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감각적 쾌락과 지식의 욕망, 즉 세계 지배의 욕망 때문에 계속적으로 귀향을 지연시킨다. 고향상실은 바로 세계 지배의 욕망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고, 귀향은 오로지 세계 지배 욕망의 절제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힌트리히스의 고향상실의 철학은 바로 이러한 측면을 철학적인 방식으로 밝혀준다. 고향상실과 귀향의 이러한 긴밀한 관계를 우리는 마르크바르트의 실존주의 철학을 통해 더욱 더 밝힐 수 있다. 이 실존주의에 따르면 인간의 실존적 사실은 느림과 빠름, 고향과 고향상실이라는 두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둘의 관계는 보상적이다. 느림은 빠름을 통해 보상되고, 빠름은 느림을 통해 보상된다. 인간은 이러한 두 요소의 상호 보상적 관계 속에서 실존한다. 우리는 욕망 실현을 위해 고향을 떠나야만 한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고향상실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견뎌낼 수 없다. 이러한 견딤은 오로지 떠나온 고향의 존재가 유지되는 한에서만 가능하다. 그리고 고향의 존재의 유지 또한 인간이 고향상실의 사태를 실현하는 한에서만 의미가 있다. 이러한 두 요소의 보상적 관계가 바로 인간의 실존을 구성한다. 하지만 실존은 생존과 구별되어야 한다. 생존만이 문제되는 곳에서는 실존에 대한 반성과 물음이 제기되지 않는다. 실존적 요소의 상호 보상적 관계는 오로지 실존물음이 제기된 이후에야 비로소 인식되고 실현된다. 실존물음은 생존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이후에야 가능하다. 한국사회는 아직도 생존을 삶의 주요한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대로 된 실존물음이 제기되지 않는다. 생존이 유일한 과제로 설정된 사회에서는 실존의 두 요소 간의 상호 보상적 관계가 실현될 수가 없다. 생존만을 부르짖다 보니, 한국사회는 혁신과 성장, 빠름과 창의성만을 유일한 가치로 내세웠다. 혁신에서 늦는 자는 생존하지 못한다. 이러한 생존 위주의 사회에서 실존물음이 제기되려면 우선 우리는 안정된 고향의 존재를 의식해야만 한다. 하지만 물리적인 고향이 모두 파괴된 한국사회에서 이러한 안전한 고향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상황에서 유일한 해결책은 우리가 고향을 새롭게 구성하고, 이를 고향이라 규정하고, 이를 보존하는 것을 시작하는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perform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which maintains the situation of homelessness by overestimating aspects of innovation for survival. Odysseus seems to be attempting to return home, but continues to delay his return because of the desires of sensual pleasure and knowledge, the desire of domination of world. This homelessness is caused by the desire of world domination, and the return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the abstinence of that world domination desire. The philosophy of homelessness of G. Hindrichs reveals this aspect in a philosophical way. Th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homelessness and homecoming can be further clarified through O. Marquard's existential philosophy. According to this existentialism, human existential facts consist of two aspects: slow and fast, home and homeless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compensative. The slowness is compensated for by the fast, and the fast is compensated for by the slowness. Human beings exist in mutually compensating relations of these two factors. We must leave home to realize our desires. However, humans cannot sustain the state of this homelessness continuously. Such enduring is only possible as long as the existence of the original home is maintained. And maintaining the existence of the home is only meaningful as long as the human realizes the situation of homelessness. The rewarding relationship of these two elements constitutes human existence. However, existence must be distinguished from survival. Where only survival is important, there is no reflection or question about existence. The mutually compensative relationship of existential factors is only recognized and realized after the existence question is raised. The existence question is only possible after the problem of survival has been resolved to some extent. Korean society still sets survival as a major challenge to life. In such a state, a true existence question is not raised. In a society where survival is the only task, mutual compens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elements of existence cannot be realized. As we cry out for survival, Korean society has established only innovation, growth, speed and creativity as unique values. Those who are late in innovation do not survive. In order for the existence question to be raised in such a survival-oriented society, we must first be conscious of the existence of a stable home. However, in the Korean society where all of the physical hometowns have been destroyed, this safe homeland does not exist. The only solution in this situation is to start our new homeland, define it as home, and preserve it.

      • KCI등재

        헤겔 미학에서 감각적 형식으로서 행위의 개념

        조창오 ( Chang Oh Cho ) 한국헤겔학회 2015 헤겔연구 Vol.0 No.38

        헤겔의 예술 가치 평가이론을 재구성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소위 말하는 세 영역 모델을 구성하는 상부영역, 중간영역, 하부영역 중 헤겔의 미학강의에서 하부영역이 무엇인가의 물음을 먼저 해명해야 한다. 헤겔은 하부영역을 ‘감각적 형식’이라 규정한다. 이 감각적 형식은 지각가능하거나 표상가능한 방식으로 존재하는 이념을 표현하며, 이 이념은 사유가 아니라 오직 지각이나 상상력에 의한 표상을 통해서만 파악되는데, 이것이 바로 이념상이다. 헤겔은 감각적 형식을 ‘생’이라고 규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단순히 ‘육체성’으로서의 ‘생’의 형식만으로 이념상은 표현될 수 없다. 오히려 헤겔은 ‘생’ 대신 ‘행위’를 감각적 형식의 근본범주로 선택한다. ‘행위’만이 지각가능하거나 상상력에 의해 표상가능한 방식으로 정신성을 표현한다. 헤겔은 ‘행위’ 개념으로부터 그것의 여러 가지 현상방식들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개념-역사적 전개 방식으로 서술한다. 행위에는 ‘자족적 행위’와 ‘비자족적 행위’가 존재하며, ‘비자족적 행위’는 다시금 여러 방식들을 자체 내에 포함한다. ‘행위’는 개별예술 형식들인 건축, 조각, 회화, 음악 속에서도 이들의 감각적 형식으로 입증될 수 있다. Um Hegels Theorie des Werturteils der Kunst zu rekonstruieren, ist die Frage zuerst zu beantworten, was die untere Ebene bei Hegels Asthetik sei, die mit der mittleren und oberen Ebenen das sog. Dreiebenenmodell ausmacht. Bei Hegel ist die untere Ebene als die ‘sinnliche Form’ zu bestimmen. Diese stellt die seiende Idee auf der wahrnehmbaren oder vorstellbaren Weise dar, die nicht durch das Denken, sondern ausschließlich durch die Wahrnehmung oder die mittels der Einbildungskraft nachvollziehbare Vorstellung erfasst wird. Diese sinnliche Form, die das Geistige erscheinen lasst, nennt Hegel das Ideal. Hegel scheint diese als das ‘Leben’ zu bestimmen. Aber die Form des ‘Lebens’ als der ‘Korperlichkeit’ kann das Ideal nicht darstellen. Statt des ‘Lebens’ wahlt Hegel die ‘Handlung’ als die Grundkategorie der sinnlichen Form. Ausschließlich stellt die ‘Handlung’ die Geistigkeit in der wahrnehmbaren oder vorstellbaren Form dar. Hegel stellt begriff-geschichtlich dar, wie sich aus der Konzeption der ‘Handlung’ ihre verschiedenen Erscheinungsformen entwickeln. Unter der Handlung gibt es die ‘autarke Handlung’ und die ‘nicht-autarke’, unter welche auch verschiedene Handlungsformen subsumiert werden. In den einzelnen Kunsten, z.B. in der Architektur, Skulptur, Malerei und Musik ist die Handlung als ihre sinnlichen Form zu erweisen.

      • KCI등재

        헤겔의 예술비평-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

        조창오(Cho, Chang-oh)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이 논문은 헤겔 비판본 전집 16권에 실린 변심자들에 대하여(Über die Bekehrten) 란 기고문을 중심으로 헤겔이 보여주는 예술비평의 개념을 논의한다. 헤겔은 예술의 체계를 구성한 이론가이기도 하지만 또한 대중적 예술 실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예술 비평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헤겔은 대개 예술의 체계를 구성한 이론가로만 해석되었다. 많은 해석에 따르면 헤겔은 자신의 이론을 무리하게 작품 해석에 뒤집어 씌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 기고문 속에서 예술 비평가인 헤겔의 다른 모습을 보게 된다. 먼저 기고문에서 예술 비평가로서 헤겔은 낭만주의자들이 어떻게 무리하게 이론을 중시하면서 작품을 왜곡하는지를 보여준다. 헤겔은 1826년 초에 쓴 기고문에서 낭만주의적 반어 이론이 라우파흐의 변심자들 작품 이해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어 이론은 인물과 행위의 모순을 작품의 핵심적 가치로 해석하는 반면, 헤겔은 이 작품 속에 희극적인 것이 놓여 있다고 해석하는데, 여기서 희극적인 것이란 성격의 비본질적인 측면들이 지양되는 과정을 통해 성격의 통일성이 표현되는 것이다. 또한 기고문에서 헤겔은 반어 이론이 전문가를 위한 예술작품만을 대변할 뿐이며, 이는 예술작품의 객관성의 측면을 훼손한다고 해석하면서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을 대변한다. 두 번째로 헤겔은 자신의 이러한 비평의 성과를 자신의 미학강의에 적용하기 시작한다. 1826년 이후부터 헤겔은 미학강의에서 집중적으로 두 개념, 즉 낭만주의적 반어와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을 논의했다. 따라서 위 기고문은 1826년 이후의 헤겔의 반어이론 비판과 대중을 위한 예술작품 개념 논의를 위한 내용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이 점에서 우리는 헤겔이 체계적인 이론을 구성해서 이를 무리하게 작품에 적용하기보다는 오히려 구체적인 예술작품에 대한 비평 실천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보강하고 확장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Hegel s concept of Art criticism, focusing on the article Über die Bekehrten in 16. Vol. of Hegel s Gesammelte Werke. Hegel is a theorist of the system of art, but also an art critic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opular art practice. Until now, Hegel has been interpreted mainly as a theorist who usually constitutes the system of art. According to many interpretations, Hegel has been criticized for his theories frame interpretation of the Artwork compulsorily. But in this article we see another aspect of Hegel as an art critic. First, in this article Hegel shows as an art critic how romanticists distort the work with an emphasis on the theory. Hegel argues in his article written in early 1826 that romantic ironic theory does not help at all in understanding the “die Bekehrten” of Laupach. Whereas ironic theory emphasizes the contradiction between character and its action as the essential value of the work, Hegel interprets that the comic is at the center of the work, which lets the unessential sides of the unified character disappear, so that the unity of the character expresses itself. Hegel also interprets that the theory of irony represents the work of art for the scholars, which harms the objectivity of artwork and defends the artwork for the public. Second, Hegel began to apply the achievement of his criticism to his aesthetic lectures. Since 1826 Hegel has focused intensively on discussing two concepts, romantic irony and artwork for the public in his aesthetics lectures. Thus, this article provides a basis for Hegel’s criticism of ironic theory after 1826 and the concept of artwork for the public. In this respect, we can confirm that Hegel has reinforced and extended his theories through his practice of criticism of concrete works of art rather than imposing systematic theories upon art criticism.

      • KCI등재

        헤겔의 감정 개념

        조창오(Cho, Chang Oh)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헤겔은 자신의 전체론적 정신 모델을 통해 감정의 개념을 발전시킨다. 감정은 감각과 신체화와 더불어 발생한다. 감각이 대상에 대한 지향적 관계에서 발생한다면, 감정은 감각에 대한 나의 현상적 의식을 의미하며 신체화는 감각과 감정에 동반된다. 감각-감정-신체화는 동시적인 현상이지 단계적인 과정이 아니다. 헤겔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 현상을 ‘습관’이라는 과정을 통해 자기에 복속시킨다. 이 과정이 없다면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라는 자동적인 과정에 갇혀 있게 된다. 하지만 반복되는 이 과정의 경험을 통해 정신은 이 과정 자체를 습관화한다. 이를 통해 정신은 대부분의 감각-감정-신체화 과정을 의식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상태가 아니라 능동적인 주체로 발전한다. 감각과 감정, 신체화는 정신이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상징적 기호가 된다. 감각과 감정, 신체적 변화는 정신에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정신은 이들을 통해 자신을 표현한다. 물론 정신이 표현하려는 의미와 상징적 기호로서의 감각, 감정, 신체적 변화는 불일치하다. 이점에서 인지주의의 딜레마가 발생한다. 인지주의의 딜레마는 우리가 감정을 인지주의적으로 해석할 때 발생한다. 이에 따르면 감정은 인지주의적인 내용을 가지지만, 동일한 인지주의적 내용이 서로 다른 감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일한 감정이 서로 다른 인지주의적 내용을 전제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지주의의 딜레마는 헤겔의 감정이론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해소된다. Hegel develops the concept of emotion through his holistic mental model. Emotions occur with sensations and somatization. If sensation occurs in a intentional relationship to an object, emotion means my phenomenal consciousness of sensation, and somatization is accompanied by sensation and emotion.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is a simultaneous phenomenon, not a gradual process. According to Hegel, the human mind submits the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phenomenon to self through the process of `habituation`. Without this process, the mind becomes trapped in the automatic process of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However, through the experience of this process, which is repeated, the mind itself becomes habitual. Through this, the mind is not conscious of most of the sensory-emotional-somatization processes. Furthermore, the mind develops as an active subject, not as a passive state influenced by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Sensation, emotion, and somatization are symbolic symbols in which the mind expresses its inner side. Sensory,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s do not happen to the mind. Rather, the mind expresses itself through these. Of course, the sense the mind expresses and the sense, emotion, and physical change as it’s symbolic symbols are inconsistent. This leads to a dilemma of cognitivism. The dilemma of cognitivism occurs when we interpret emotions cognitively. According to this, emotion has a cognitive content, but the same cognitive content can generate different emotions. Furthermore, the same emotion may be based on different cognitive content. This dilemma of cognitivism is not solved but canceled by Hegel`s emotional theory.

      • KCI등재

        연구논문 : 헤겔의 그리스 비극 해석

        조창오 ( Chang Oh Cho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이 논문은 헤겔의 비극개념을 『정신현상학』 속에 있는 『안티고네』 해석으로만 한정하려는 해석들의 시도를 비판한다. 『자연법논문』에서 헤겔이 전개한 비극개념은 『정신현상학』에서의 비극개념과 구별되어야만 한다. 이 구별의 근거는 헤겔이 비극과 철학의 관계규정을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자연법논문』에선 비극이 철학의 전제이자 목표점이 되는 반면, 『정신현상학』에서 비극은 철학에 비해 불충분한 형식이며 정신의 자기도야를 위한 하나의 ‘이행형식’에 불과하다. 이러한 관계규정에 따라 헤겔은 『자연법논문』에서 비극이 “초월적 직관”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아이스퀼로스의 『자비로운 여신들』을 선택한다. 이에 반해 『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은 개념의 변증법적 운동을 불충분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인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를 선택한다. This study criticizes the attempt to find the concept of tragedy in Hegel only in the interpretation of Antigone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The concept of tragedy found in natural law essay is to distinguish from what is conceived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This distinction assumes that Hegel has changed the defi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gedy and philosophy. While the tragedy in natural law essay is regarded as the condition and the target point for philosophy, it is interpreted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as an inadequate form in comparison to the philosophy and as a transitional form to the education of the Spirit. After this definition of the relationship Hegel opted for the Eumenides of Aeschylus in natural law essay, because this work expresses directly the “transcendental intuition”. In contrast Antigone by Sophocles is chosen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because this work is interpreted as a form representing the dialectical movement of the concept in its incomplete for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