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성취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김미영 ( Miyoung Kim ),조지민 ( Jimin Ch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TIMSS 2007 결과 과학 영역의 학업 성취는 높지만 정의적 성취가 서로 다른 국가들을 선정하여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학생 설문 문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과학 교수 학습의 특성과 정의적 성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학생 설문 분석 결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 즐거움, 가치 인식 수준이 높은 학생의 비율은 홍콩, 싱가포르, 잉글랜드는 높고 우리나라, 대만, 일본은 그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실제 과학수업의 교수 학습 특성을 보면 우리나라는 실험과 연구 활동이나 실생활 맥락에서의 과학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과학 교사 대상 설문 결과에서 과학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이유로 과학 내용이 어렵고 흥미롭지 않은 점과 과학 학습을 위한 절대적 시간의 부족을, 과학에 대한 흥미가 낮은 이유로 과학 내용이 어렵고 미래 자신의 진학이나 진로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과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낮은 이유로 진로를 위해 과학을 잘 할 필요가 없어서나 과학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과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낮은 이유로 진로를 위해 과학을 잘 할 필요가 없어서나 과학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nation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but disparate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IMSS 2007 were selected and students` responses in the main survey for affective properties from those na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affective achievement and the proper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was explored by an onlin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in the main survey the percentage of those with high levels of confidence in pleasure in and value perception of science was large for Hong Kong Singapore and England but small for Korea Taiwan and Japan. When the proper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tual science classes were observed in Korea actual classes focused little on experimentation research activities and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on science teachers students` low confidence in science was due to difficult and uninteresting curricula and the absolute lack of time to study science and their low interest in the subject was due to difficult curricula and the view that science was unrelated to their future academic or professional caree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students` low value perception of science curricula was due to the fact that there was no need to excel in science for academic or professional careers and the idea that the subject was of no help to daily life.

      • KCI등재

        학교수준 학생평가 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

        박지현(Ji Hyun Park),조지민(Jimin Cho),홍미영(Miyoung Hong),정혜경(Hyekyung J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1

        최근 과정 중심 평가가 강조되고, 학생평가와 관련한 다양한 교육 정책들이 시행되면서 학교 교육에서 평가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수준 학생평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학교 교육과정․평가 담당자,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평가의 운영 실태와 이해 관계자들의 인식을 다각도로 조사하고 개선 방향을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을 위해 ‘학생평가 유형 및 교육과정 연계’, ‘채점 계획 및 질 관리’, ‘평가 결과의 활용 및 피드백’, ‘교사 평가 전문성 개발’의 네 가지 범주로 구성된 분석틀을 설정하고, 각 측면에서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특히 평가 결과에 대한 교사들 간의 채점 절차와 결과에 대한 피드백 방안이 구체화되어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었으며,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변화하는 평가 정책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s and perceptions of school-based assessment from the stakeholders in school such as school curriculum and evaluation leaders, teachers, and students. For analyses, we focused on four categories: coherence and alignment between assessment and curriculum, scoring planning and quality of marking student work, use of data and feedback,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aff. Based on the study results, key findings included that moderation among teachers were not systemized in terms of scoring and marking student work, use of data as feedback to student were insufficient, and more systemized policies and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capacity building in student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