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익동조화와 발생액 추정오류가 기업 이익투명성에 미치는 영향: 미국 기업을 중심으로

        조중석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23 신산업경영저널 Vol.41 No.2

        Using a sample of all U.S. firms listed on NYSE and NASDAQ for the period covering 2000 through 2020, I investigate the role of earnings co-movements and accrual estimation errors on earnings transparency. The results show that earnings co-movements, the degree to which firm-specific earnings are related to industry-level earnings,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of a firm’s earnings and the change in earnings for the changes in a firm, earnings informativeness. The accrual estimation errors in the quality of earnings and accruals, the degree of th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accrual-to-cash flow mapping, negatively influence price response, delaying the reflection of value-relevant information. My study corroborates that earnings transparency is positively related to co-movements earnings transparency and is negatively to accrual estimation errors.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 NYSE와 NASDAQ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미국 기업을 표본으로 이용하여 기업 이익투명성에 대한 이익동조화 및 발생액 추정오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증 결과는 기업 보고이익이 소속 산업 수준의 이익과 관련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이익동조화가 높을수록 기업의 가치변화에 대한 설명력, 이익 정보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익과 발생액의 질을 표시하는 발생액 추정오류 즉, 발생액과 현금흐름의 일치도와 관련된 불확실성은 주가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치 관련 정보의 반영을 지연시킨다. 또한, 산업 전반과 관련된 이익 구성 요소와 기업 고유의 이익 구성 요소 간의 상관 관계가 이익 공조화와 발생액 추정오류의 영향 하에서도 기업의 기본적인 경제 성과를 반영하는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이익투명성이 이익동조화와 양의 관계가 있고 발생 추정오류와는 음의 관계가 있음을 보고한다.

      • KCI등재후보

        정보비대칭이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조중석,조문희 한국회계정책학회 2007 회계와 정책연구 Vol.12 No.2

        We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ost of capital and risks factors and information asymmetry measures. We use PEG Model and OJ Model to estimate the cost of capital. We also use SIZE, BETA, Book to Market Ratio(B/M), and Leverage as risk factors and daily stock return volatility and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s as information asymmetry prox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risks factors and the cost of capital. However, there i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symmetry measures and the cost of capit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irms with less information asymmetry enjoy lower cost of capital This study indicates that we need further a study on how we can improve firms' disclosure practices and quality to reduce their cost of capital. 본 연구는 PEG Model과 OJ Model을 이용하여 자기자본비용(Cost of Capital)을 추정하고, Risk Factor와 자본비용(COC)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정보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이 자본비용(COC)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Easton(2004)의 연구에 사용된 PEG Model과 Ohlson과 Juettner-Nauroth Model((2000)을 이용하여 자본비용(COC) 추정하였고, Risk Factor로 Size, Beta, Book to Market Ratio(B/M), Leverage를 사용하였다. 정보비대칭 Proxy는 주식수익률변동성, 재무분석가의 예측오차 사용하였다. 표본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제조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자본시장에서의 Risk가 높은 기업들이 자본비용(COC)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비대칭이 적은 기업은 정보비대칭이 높은 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자본비용(COC)이 갖게 되는 것이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본비용(COC)을 재무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자본비용(COC)과 Risk Factor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정보비대칭과 자본비용(COC)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의 자본비용(COC)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정보비대칭을 줄이는 방향으로 공시제도 개선 및 공시의 질 향상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분기별 사업부문정보공시는 중요한가? 미국 SFAS No. 131하에서의 분기별 사업부문정보공시 효과연구

        조중석 한국회계학회 2007 會計學硏究 Vol.32 No.1

        This paper investigates SFAS No. 131, Disclosures about Segments of an Enterprise and Related Information, effective for all fiscal years commencing after December 15th, 1997. Under SFAS No. 131, firms are required to disclose segment information for interim periods (quarterly segment reporting) to share- holders. This provision was ci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mprovements needed by the AICPA Special Committee on Financial Reporting (SFAS No. 131, ¶50) and financial statement users contended that, to be timely, segment information is needed more often than annually and that the difficulties of preparing it on an interim basis could be overcome (SFAS No. 131, ¶ 98).논문접수: 2006. 7게재확정: 2007. 2*This paper is based on part of my dissertation at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I am grateful to Terry Warfield for his guidance and help. I also thank the other committee members(John Eichenseher, Jee-Seon Kim, Lori Holder-Webb, and Elizabeth Odders-White) for their insightful suggestions. I would like to thank anonymous referees for their constructive comments. 본 연구는 미국의 SFAS No. 131하에서의 분기별 사업부문정보공시가 기업정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증검증 결과 사업부문정보공시는 기업과 자본시장참여자 사이의 정보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SFAS No. 131의 적용 이전에 자발적으로 사업부문정보를 보고하던 기업과 SFAS No. 131의 채택으로 새롭게 사업부문정보를 보고하는 기업에 대하여 SFAS No. 131의 발효는 다르게 기업정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SFAS No. 131의 적용 이전에 자발적으로 사업부문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던 기업을 higher proprietary cost기업으로 가정하여 SFAS No. 131의 적용이 기업의 경쟁력(competitive advantage)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SFAS No. 131의 적용은 higher proprietary cost기업의 abnormal profit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발견하였다.본 연구는 경영자의 자발적 사업부문정보 제공의 유인(incentive)을 통제하면서 SFAS No. 131하에서의 사업부문정보공시가 기업의 정보환경을 개선시키는지를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공시 관련연구는 공시수준의 횡단면적 변동(cross-sectional variation )의 결정요소와 공시향상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공시관련연구의 다른 측면인 공시빈도의 차이(annual versus quarterly segment reporting) 효과를 연구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미국 데이터를 이용한 결과이지만 상대적으로 사업부문정보공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우리나라의 사업부문정보공시와 관련하여 제시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분석보고서가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조중석,조문희 한국상품학회 2006 商品學硏究 Vol.24 No.3

        The Effect of Analysts' Report on The Information AsymmetryCho, Joong-Seok* Jo, Mun-Hee**The existence of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capital market could affect the essential resource distribution, cause the adverse-selection problem and potentially result in the market failure.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nalyst reports on the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capital market. We expect that the analyst reports could reduce the information asymmetry by providing firm's information to the market.Using VOLA(Daily stock return volatility) and VOL(Trading volume turnover) as a proxy of the information asymmetry, we find that as we expected, the firms covered by analysts have less information asymmetry than the firms with no such coverage. Specifically, firms with analyst reports enjoy lower VOLA and higher VOL than firms without them. This result shows that the analyst as an information intermediary, reduces the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capital market.

      • The effect of corporate diversification on the excess value of firm diversification

        조중석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2012 경제연구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corporate diversification affects firm value. Specifically, we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diversification and the excess value of diversification. To measure the excess value of the diversified firm, we follow the sales multiplier approach advocated in Berger and Ofek (1995). For the diversification measure, we use the entropy measure of total diversification (ENTROPY) as defined by Jacquemin and Berry (1979). We decompose the total diversification into an unrelated and a related component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of diversification on firm value arises from the different diversification strategy. Using a sample of U.S. firms from 1998 through 2008, our study shows that as the level of companies’ diversification increases, the excess value of diversification decreases. In addition, we find that both related and unrelated diversification negatively affects firm value. Taken together, our study results show that diversification is a value-reducing not a value-enhancing activity.

      • KCI등재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재량권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

        조중석,조문희 한국회계정책학회 2009 회계와 정책연구 Vol.14 No.1

        Using firms covered by FN-GUIDE PRO databas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managerial discretion affects analysts‘ forecast of earning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opportunistic managerial discretion on analysts' earnings forecast errors. When managers exercise their discretion opportunistically through accruals and their components, external information users such as investors and analysts experienc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mplication of accruals and their components for future earnings forecast so that their earnings forecast could be biased. The final sample consists of 1276 firm-years over 2000-2007. To examine the effect of managerial discretion on analysts' earnings forecast, the researchers decomposed accruals into nondiscretionary and discretionary components to measure managerial discretion using cross-sectional modified Jones model. Empirical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i.e., the larger discretionary accruals, the less accurate the analysts' earnings forecast. On the other hand, nondiscretionary components of accrual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analyst's forecast errors. The results indicate that even analysts have limited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in managerial discretion adequately. Therefore, investors should be cautious when using analysts' forecasts in their investment decisions. 본 연구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재량권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영자의 재량권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는 서로 체계적인 관계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경영자의 재량권이 클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은 오차가 커질 뿐 아니라 그 정확성도 떨어질 것이다. 경영자는 발생액 특히, 재량발생액을 이용하여 자신의 기회주의적 유인에 따라 회계이익을 관리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러한 발생액의 특성을 재무분석가가 이익예측치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면, 재량발생액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를 크게 하거나 이익예측정확성을 떨어뜨릴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00년부터 2007년 사이에 FN-GUIDE PRO를 이용하여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회계이익에 포함되어 있는 경영자의 재량권 정도를 제대로 해석하여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는 재량발생액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 및 이익예측정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재량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재량발생액 요소를 재무분석가들이 적절히 평가․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또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보를 이용하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그 이익예측치가 경영자의 재량권을 충분히 반영한 예측치가 아니라는 한계를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Earnings Transparency and Stock Price Response Delay: Evidence from the U.S.

        조중석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3 연세경영연구 Vol.60 No.2

        Using a sample of the U.S. firms traded on NYSE and NASDAQ from 2000 to 202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ccounting earnings transparency and financial report quality on stock price response delay. When earnings convey opaque and less reflective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cash flows to the capital market, I anticipate that investors are more diversified and hesitant in interpreting current earnings information, delaying their response. Likewise, when earnings become more volatile, causing uncertain and less persistent earnings, investors face difficulty interpreting the inherent effects of current earnings news on future cash flows. I adopt stock price response delay to information measure (DELAY) and earning transparency measure (TRANS) to investigate how earnings transparency affects price delay. DELAY is a parsimonious measure developed by Hou and Moskowitz (2005) to measure the rapidity of stock prices converging to their fundamental value information. TRANS is introduced by Barth et al. (2013) and represents the level of earnings that describes firm value changes, the earnings informativeness. The more explanatory accounting information is, the less information asymmetry.The results show earnings transparency expedites the market’s reaction and positively affects the stock price formation process. Regarding financial reporting quality, my results are mixed. The divergence between earnings volatility and cash flows volatility negatively affects price response, incorporating less timely value-relevant information. However, it shows that the matching of expenses to revenues does not affect the market’s price formation process.

      • KCI등재

        텐덤형 태양전지를 위한 InAs 다중 양자점과 InGaAs 다중 양자우물에 관한 연구

        조중석,김상효,황보수정,장재호,최현광,전민현,Cho, Joong-Seok,Kim, Sang-Hyo,HwangBoe, Sue-Jeong,Janng, Jae-Ho,Choi, Hyon-Kwang,Jeon, Min-Hyon 한국진공학회 2009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8 No.5

        본 연구에서는 1.1 eV의 에너지대역을 흡수할 수 있는 InAs 양자점구조와 1.3 eV의 에너지 대역을 흡수 할 수 있는 InGaAs 양자우물구조를 이용한 텐덤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1D poisson을 이용해 설계하고, 분자선 에피택시 장비를 이용하여 각각 5, 10, 15층씩 쌓은 양자점 및 양자우물구조를 삽입하여 p-n접합을 성장하였다. Photoluminescence (PL) 측정을 이용한 광학적특성 평가에서 양자점 5층 및 양자우물 10층을 삽입한 구조의 PL 피크가 가장 높은 상대발광강도를 나타냈으며, 각각 1.1 eV 및 1.3 eV에서 57.6 meV 및 12.37 meV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나타내었다. 양자점의 밀도 및 크기는 Reflection High-Energy Electron Diffraction system과 Atomic Force Microscope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GaAs/AlGaAs층을 이용한 터널접합에서는 I-V 측정을 통하여 GaAs층의 두께(20, 30, 50 nm)에 따른 터널링 효과를 평가하였다. GaAs 층의 두께가 30 nm 및 50 nm의 터널접합에서는 backward diode 특성을 나타낸 반면, 20 nm GaAs층의 GaAs/AlGaAs 터널접합에서는 다이오드 특성 곡선을 확인하였다. The InAs multi-quantum dots (MQDs) solar cell and InGaAs multi-quantum wells (MQWs) solar cell to cover 1.1 eV and 1.3 eV were designed by 1D poisson, respectively. The MQDs and MQWs of 5, 10, 15 layers were grown by molecular beam epitaxy. The photo luminescence results showed that the 5 period stacked MQDs have the highest intensity at around 1.1 eV with 57.6 meV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Also we can observe 10 period stacked MQWs peak position which has highest intensity at 1.31 eV with 12.37 meV FWHM. The density and size of QDs were observed by 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 pattern and atomic force microscope. Futhermore, AlGaAs/GaAs sandwiched tunnel junctions were modified according to the width of GaAs layer on p-type GaAs substrates. The structures with GaAs width of 30 nm and 50 nm have backward diode characteristics. In contrast, tunnel diode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the 20 nm of that of s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