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고슬라비즘의 헤테로토피아

        조준래(Cho Jun Rae)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7 슬라브학보 Vol.32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incipal aspects of so called ʺPost-Yugoslav Metafictionʺ on the base of the heterotopic images described in postmodern writings by major post-Yugoslavian writers, Vladimir Arsenijević’s The Hold, David Albahari’s Bait, Vladimir Tasić’s The Farewell Gift, Saša Stanišić’s How the Soldier Repairs the Gramophone? and Aleksandar Hemon’s The Question of Bruno, Nowhere Man, The Lazarus Project. Being in succession to the legacy of the literary sources of former Yugoslavia, post‐Yugoslav metafictions reveal the constant existential, paradoxical problems and ideological dilemmas in which todayʹs Western Balkans are seen to be entangled, while reappropriating those as their literary materials. The writers of post‐Yugoslav metafictions describe the real face of the national imaginary in that area, and analyze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existential absurdity with focus on tribal nationalism, premodern ethos, provincialism through the literary method of self-alienation. Secondly, I inquired into the dialogic connection between the former Yugoslav writers and post‐Yugoslav writers of the younger generation. Through this categorization of writers of different generations according to their literary tendencies, I think it is possible to propose the new version of Yugoslav literary history. Thirdly, the study of the heterotopic images of these new writings helps us see the significance of the so-called ʺwriting of disasterʺ as an element of postmodern artistic devices. This new, non-Balkan, irregular artistic structure needs to be examined considering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fact that post-Yugoslav literary works seem to function as a kind of counter-narratives against the traditional narratives that have often been appropriated as means of nationalistic propaganda. Conclusionally, I tried to analyse the positive connotation of the heterotopic images embodied in the avangardistic aspects of post-Yugoslav metafictions which are concerned with both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and writers’ self-representation.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draw a definite meaning of the heterotopic images of Yugoslavism proposed by those younger writers as an alternative to current political dilemmas from the fact that post-Yugoslav metafictions critically deal with both the external responses to the current affairs in the Western Balkan countries and the internal attitudes among the civil societies of that region.

      • KCI등재

        「주인공 없는 서사시」에 나타난 예술적 책임의 문제

        조준래(Cho Jun-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5 외국문학연구 Vol.- No.20

        This paper aims to analyse one of the most complicated works of Twentieth century's Russian literature, Poem without a Hero written by Anna Akhmatova, the representative poetess of soviet era. Hitherto, many studies devoted to Poems without a Hero have centered exclusively on outer layers of the work, such as the formal novice and intertextuality of many different cultural codes. But it is a pity that those endeavors has not contributed mu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message, which lies behind the formal devices, but at the same time, which the author intends to convey through them. Actually, we cannot but agree to the opinion that it is not easy for us to find behind the labyrinth of complicated structure that some traditional motives and themes comprise the core of Poem without a Hero, that is, the discipline of poetic justice or the theme of artistic answerability. The factors that comprise those problems are to be found in fluidity of author's position and role, in the different styles that he uses, in the various citations, reminiscences, and allusions, which lead us readers to the deeper layers of cultural context. But the theme of artistic answerability is not an end in itself. Rather, it functions as the important key to the enigmatic structure of the work because it is connected with the most essential problems of hero's presence in the work along with the author-poet's personal psychology, and her distinctive historical view, the elements of which can be seen in the other Acmeist poets(Mandelstam, Gumilev). And finally, the theme of artistic answerability helps understanding the duality of the work, which possesses ‘createdness’ and ‘spontaneousness’ at the same time. We can conclude that the dual hypostasis of this poem is the result of the author's own humble submission to the chorus, that is, obeying to the others' voices(the metonymy of the Russian people, the so-called ‘Russkij narod’). This paper aims to analyse one of the most complicated works of Twentieth century's Russian literature, Poem without a Hero written by Anna Akhmatova, the representative poetess of soviet era. Hitherto, many studies devoted to Poems without a Hero have centered exclusively on outer layers of the work, such as the formal novice and intertextuality of many different cultural codes. But it is a pity that those endeavors has not contributed mu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message, which lies behind the formal devices, but at the same time, which the author intends to convey through them. Actually, we cannot but agree to the opinion that it is not easy for us to find behind the labyrinth of complicated structure that some traditional motives and themes comprise the core of Poem without a Hero, that is, the discipline of poetic justice or the theme of artistic answerability. The factors that comprise those problems are to be found in fluidity of author's position and role, in the different styles that he uses, in the various citations, reminiscences, and allusions, which lead us readers to the deeper layers of cultural context. But the theme of artistic answerability is not an end in itself. Rather, it functions as the important key to the enigmatic structure of the work because it is connected with the most essential problems of hero's presence in the work along with the author-poet's personal psychology, and her distinctive historical view, the elements of which can be seen in the other Acmeist poets(Mandelstam, Gumilev). And finally, the theme of artistic answerability helps understanding the duality of the work, which possesses ‘createdness’ and ‘spontaneousness’ at the same time. We can conclude that the dual hypostasis of this poem is the result of the author's own humble submission to the chorus, that is, obeying to the others' voices(the metonymy of the Russian people, the so-called ‘Russkij narod’).

      • KCI등재

        노스탤지어와 문학 서사

        조준래(Jun Rae Cho)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5 슬라브학보 Vol.30 No.1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ities in theme, content, literary form and style of two types of nostalgic discourses, i.e. restorative nostalgia and reflective nostalgia in contemporary ex-Yugoslav literary prose writings. In chapter two of this paper was analysed the structure of the nationalist discourses expressed in the works of major contemporary serbian writers(Dobrica ?osi?, Vuk Dra?kovi?, Milorad Pavi?). And chapter three consists of examinations of postnationalist discourses in young post-Yugoslav slovene, croatian, bosnian writers. As the experimental literary works, those post-Yugoslav writings reveal historical self-consciousness and self-reflectivity through their innovative, heterogeneous forms. This group of writings of new generation represents the alternative possibilities that are opposed to the culture of aggressive masculinity, militant patriotism, national myths in ex-Yugoslav nationalism. The ex-Yugoslav motifs that make readers reminisce about the socialist past in the works of post-Yugoslav young writers symbolize the zeal for the resurrection of the transnationalist, cosmopolitan Yugoslav experiences. Also, proposing the ideal close to "Lost Cause", this reflective nostalgia project of post-Yugoslav young writers functions as a kind of an evidence of the present difficult circumstances, in which are situated the civil societies of national republics of disintegrated ex-Yugoslavia.

      • KCI등재

        구(舊) 유고슬라비아 성장소설에 나타난 반오이디푸스적 욕망 연구

        조준래(Cho, Jun-Rae)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1 No.-

        성장소설에서 자주 묘사되는, 근대화 이후의 가정은 사회와 국가의 축소된 모델, 즉 오이디푸스 구조로서 기능하며, 성장주체인 주인공의 사회적 정체성은 유동적이고 긴박한 상징적 가족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보통의 경우 ‘아버지’는 전근대적 가치, 자본주의, 종교적 도그마, 식민주의, 제국주의, 전체주의, 민족주의, 현실사회주의 등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표상을 함의하고, 주인공은 이런 ‘아버지’에 대한 저항(안티오이디푸스)과 타협(오이디푸스화)의 길항에서 갈등하는, 다양한 비유성을 지닌 ‘타자(他者)’의 형상(‘소년’, ‘청년’, ‘여성’, ‘식민지의 백성’, ‘유색인종’, ‘외국인’, ‘자유주의자’, ‘지식인’, ‘농노’, ‘예술가’, ‘부르주아 시민’, ‘젊은 연인’, ‘코스모폴리탄’)으로 표현된다. 구 유고권 성장소설에서 대체로 주인공들의 내면적, 신체적 성장은 긍정적 이든 부정적이든 상징계 현실과의 대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묘사되며, 이때 성장 주체는 저항하는 아들로서의 타자적 입장을 주변 세계를 향하여 관철시킬 것인가(Anti-oedipal trajectory) 아니면 상징계의 권위와 전통의 질서를 수용하고 그 동일자적 욕망을 좇을 것인가(Oedipal trajectory)라는 선택의 갈림길에 놓인다. 아버지 세대의 가 부장적 권력과 제국주의, 자본주의, 현실사회주의 등 이데올로기의 폭력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입은 주인공들이 오이디푸스 아버지의 다양한 표상을 초월•극복하여 유토피아적 이상으로의 탈주를 실행하는 플롯구조는 표층적 이질성을 보이는 유고권 성장소설을 통일시키는 요소이다. 나아가 최근의 구 유고권 포스트모더니즘 환상소설 또한 코스모폴리탄적 세계관의 신세대와 배타적 민족주의, 인종주의 등 전통적 이데올로기를 고수하는 구세대와의 갈등을 노정하면서 발칸서부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낙후에 대한 책임을 구세대에게 물으며 신세대의 반오이디푸스적 성향의 휴머니즘을 부각시킨다. 따라서 주인공이 미성숙에서 성숙으로, 무지에서 앎으로, 결핍에서 충만으로 옮겨가는 성장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탈주는 폭력의 무한반복적인 재생을 해체하려는 시도이며, 이는 오이디푸스 구조 외부의 새로운 대안적 세계의 모색으로 작품 속에서 형상화된다. 대다수의 서사는 성장 주체가 상징계의 결함을 우연적이든 필연적이든 삶 속의 어떤 계기에 의해서 각성하게 되고, 상징계 외부에 남겨진 잔여의 꼬리표를 따라 실재계로 옮겨가는 여로 모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주인공의 탈주 전략에서 차이가 있을망정, 구 유고권 성장소설은 폭력과 자본과 국가를 앞세운 오이디푸스적 동일화와 재생산 전략에 맞서서 체제를 탈중심화하고 탈주함으로써 자율성을 확보하려는 안티오이디푸스적 타자의 서사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구 유고권 성장소설은 시민적 교양이념의 내면화를 통해 사회와의 조화를 추구하고 지배이데올로기의 재생산을 역설했던 서유럽적 교양소설과는 차이를 보이며, 오히려 체제 변혁과 탈주를 열망하는 한국 성장소설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As revealed by many studies of the genre of Bildungsroman, the literary image of family after the modern age usually functions as the reduced model of one's own country or society. In other words, such an image of family serves as oedipal structure. The social identity of the hero in Bildungsroman as a growing person is often depicted as being developed within the confines of close, dynamic relations with his family members. In a model of oedipal family, the symbol of father contains such negative hidden meanings as the premodern value systems, capitalism, religious dogma, colonialism, imperialism, totalitarianism, nationalism, real socialism, and other ideological implications, while the growing subject is represented as a hesitating person between the resistance to father's generation(Anti-oedipal trajectory) and the reconciliation with him, which implies the negotiation with reality, i.e. the Symbolic. The plot structure in which the heroes experience traumatic memories but overcome them in the end only to attempt a flight is the unifying element of subtext in all ex-Yugoslav bildungsromans which show apparent differences though. Therefore all sorts of flight attempted by heroes in the course of his moving into the stage of maturity from immaturity, of knowledge from innocence, of fullness from lackness (through the confrontation with the evil) are to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deconstruct the infinite reproduction of violences, which takes its shapes in the works as a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world to an oedipal one. The majority of the ex-Yugoslav bildungsromans are designed on the matrix of spiritual journey from the Symbolic to the Real. Though exist differences in the strategies of flight among writers, ex-Yugoslav bildungsroman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anti-oedipal narratives of otherness that have the intention of decentering the dominant regime and taking flight, thus enabling subject to lead autonomous lives.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argue that ex-Yugoslav bildungsromans are more close to those of Korean literature than to west-european models which emphasize the ideal of civil harmony with the regime more than resistance to it.

      • KCI등재

        유고슬라비즘의 헤테로토피아

        조준래(Cho, Jun Rae)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노어노문학 Vol.29 No.1

        구 유고연방 출신의 대표적인 여성작가 두브라프카 우그레시치는 본격적인 망명 생활을 시작한 후 발표한 세 편의 메타픽션에서, 민족문학의 협소한 테두리를 탈피하는 세계문학에 관한 자신의 구상을 실천하고 정치적 민족주의의 부당성과 민족문학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시대적 요청을 환기시켰다. 우그레시치의 이런 기획은 유고슬라비즘의 정신적 유산에 기원하는 동시에 유고슬라비즘의 이념을 오늘날의 새로운 문제적 맥락에서 확장한 것이다. 유고연방 붕괴 후 씌어진 작가의 세 작품에서 명시적으로 반복해서 등장하고 있는 ‘헤테로토피아’의 은유는 유고슬라비즘에 대한 회상과 아픔의 장소이며 ‘잃어버린 대의’를 각인시키는 ‘기억의 장소’로 표현되어 있다. 우그레시치의 세 작품에 묘사된 헤테로토피아는 그중 첫 작품에 등장했던 ‘박물관’의 이미지를 기본 모델로 하여 그것의 잇따른 변이형인 ‘강의실’과 ‘지하실’, ‘휴양지’의 이미지로 표현된다. 우그레시치의 실험적 형식과 파격의 소설은 민족주의 프로파간다의 주요 채널로 자주 도용돼 온 전통적 서사에 대한 대안담론, 정치적으로 우파 민족주의 담론에 대한 저항담론으로서의 정치적 의미를 지닌다. 우그레시치의 메타픽션은 유고연방 해체 후 유고 시민 사회에 대한 성찰과 평가이다. 또한 특정한 국민국가의 테두리에 제한되지 않는 세계 시민을 상상하고 가시화했다는 점을 공통적인 특징으로 한다. Dubravka Ugrešić, the most representative woman writer of (Ex) Yugoslavia strongly expressed the hope of ‘World Literature’ that transcends the narrow boundaries of national literatures in her three major metafictional novels, written and published during her exiles, The Museum of Unconditional Surrender, The Ministry of Pain, Baba Yaga Laid an Egg. By doing so she called attention to her own political stance against nationalistic ideas that have been proliferating throughout the post-Yugoslav western Balkan countries. Her literary project of that kind has origin in the cultural legacy of Yugoslavism and is also the literary elaboration of its idea in the context of today’s world literary scene. The metaphors of heterotopia have been consistently used in order to imprint both the memory of Ex-Yugoslavia and the pain of its disintegration on the readers’ minds. They also function as a simbolic landmark for so-called ‘Lost Causes’. The heterotopic images are described through the spatial tropes of museum, lecture room, basement and resort in the three major metafictional novels by Ugrešić. Besides visualizing cosmopolitan citizenship as an ideal role model for post-Yugoslav nations, her literary works bring to mind an alternative voice of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Ex-Yugoslavia and a counter-narrative to the dominant nationalistic discourses in the post-Yugoslav western Balkan countries through their experimental, unusual forms of narrative. Her metafictional novels deserve to be valued as a detailed review and a post-feminist assessment of civil societies of the western Balkan countries.

      • KCI등재

        출판․비평과 문학의 다성화

        조준래(Cho, Jun-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6 동유럽발칸연구 Vol.16 No.1

        부르디외와 루만이 제안하였던 ‘문학장(Literary field)’의 개념은 세계문학장의 보편적 메커니즘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실질적으로 각 민족의 문학장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 고유의 문화적 벡터가 이와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고찰하지 않으면 그 논의가 공허해지기 쉽다. 이 논문은 러시아문학의 예를 통 하여, 문학장의 형성에서 민족 고유의 문화적 의식이 지대한 기능을 하는 점과, ‘문학적 과정(literary process)’을 구성하는 요소들인 창 작, 출판, 비평이 경제 및 물질 환경의 변화, 정치적 구심화(전체주의) 와 원심화(민주화) 등 사회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유동적으 로 변화하는 모습을 조망하면서, 한 민족문학의 문학적 과정은 공시적 인 지배인자와 통시적인 요인 둘 모두가 고려될 때에 그 본질이 규명 될 수 있다는 잠정적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각 민족 문학의 문학적 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현상들의 표면적인 다채로움에 현혹되기 이전에 그것이 과연 참된 다성화(polyphony)인가를 따져 보아야 한다는 점을 본 논문은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nging trend of the so-called ‘literary field’ of the Russian Literature on the foundation of the concept as defined by P.Bourdieu and N.Luhmann. But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eir basic concept needs to be complemented by the consideration of the peculiar cultural environment of each national literature, without which the research itself is sure to be vague. Therefore the researcher studies in this paper how the general concept of literary field and the cultural vector of the Russian literature are connected within themselves. In each chapter, we can survey the various impacts of extra-literary field factors(the great reform of Peter the great, the revolution of October in 1917, the political censorship, the perestroika and glasnost), and the consequence of the ensuing changes in the literary field, such as the formation, the momentary degeneration, and heteronomous revival, and finally, the extinction of the ‘literaturocentrism’. Besides, in this context, we can construct the model of monologism and polyphony in the area of the literary publishing and criticism.

      • KCI등재

        크로노토프 분석을 통한 구(舊) 유고권(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모더니즘 소설의 원심력과 구심력 연구

        조준래(Cho Jun 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4

        근대에 새로이 대두된 위기와 균열에 대한 예술적 통찰인 구 유고권 모더니즘 소설은 심리주의 기법의 강화와 극적인 플롯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나'와 '타자', '중심'과 '주변'의 역동성과 가변성을 강조하는 발칸 특유의 크로노토프를 구조적 장치로써 활용한다. 이런 인간의 예술적 이미지는 발칸 근대사를 점철했던 승자와 패자, 이주와 난민의 물결, 다양한 종족과 사상의 명멸 같은 구체적인 역사적 현실과도 일치한다. 서사의 차원에서 구 유고권 모더니즘 소설 텍스트의 크로노토프는 일정한 플롯군(群)을 파생한다. 첫째는 변혁과 위기의 모티프(농촌과 도시, 프롤레타리아적 질서와 부르주아적 질서의 극단적 대립의 코드, 구세계(악)와 신세계(선)의 충돌)에 기초한 비극적 결말의 플롯으로, 성장서사와 유사한 직선적 '길'의 크로노토프(→)를 통해서 실현된다. 두 번째 유형의 플롯은 천상과 지상의 수직적 대립에 기초한 플롯으로서, 이런 플롯 유형은 시간적, 공간적 표지가 뚜렷하지 않고, 현실과 거리를 둔, 모더니스트의 낭만적 모험을 추구하는 유토피아적 체험의 크로노토프를 통해서 발현된다(↑). 세 번째 유형의 플롯은 유년시절과 전원생활의 모티프가 동반되는 민속적 크로노토프와 관련되어 있다. 이런 플롯에서 나타나는 '길'의 크로노토프는 운명적·순환적인 시간의 지배를 받기때문에 순환하는 원의 형태로 변형된다(○). 네 번째 유형의 플롯은 복합형의 크로노토프로서 가장 발칸적인 크로노토프이며, 구 유고권 모더니즘 문학가운데서 특히 보스니아의 소설과 관련된다. 자주 등장하는 '다리'의 모티프는 '길'의 크로노토프가 처음과 끝도 없이 시공간적으로 무한히 확장되어있는 모습을 형상화하며(↔), 이 비유는 '대화'의 필연성과 삶에 대한 희망을 함축한다. 마지막으로, 20세기 중후반의 사건을 다루고 있는 유고슬라비아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의 시공간적 특성은 모더니즘 소설에서 시작된 공간의 글로벌화를 더욱 가속화하는 한편으로, 비재현적, 비역사적인 공간을 작품의 크로노토프로 설정한다는 점에 있다. 이런 유고슬라비아 포스트모더니즘의 공간적 변화는 소설의 주제의식이 국제화되고 초민족적 담론에 대한 사회적 요청이 제고된 상황에서 나타난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 KCI등재

        구(舊) 유고권 현대 문화와‘유고-노스탤지어’

        조준래(Cho, Jun Rae)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3

        현대 크로아티아 여성문학의 대표 작가인 슬라벤카 드라쿨리치와 두브라프카 우그레시치는 여성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주장 등 협소한 페미니즘의 틀에 갇혀 있지 않고 ‘단독성’, ‘개인’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여성 주체를 집단적, 권위주의적, 전체주의 사회에 저항하는 민주주의적 목소리의 메타포로 사용한다. 내전으로 인해 분열된 옛 유고슬라비아를 문학적으로 재구성하려는 드라쿨리치, 우그레시치의 ‘유고-노스탤지어’ 프로젝트는 단순히 공산주의 정치 아래의 구체제에 대한 동경이 아니라, 민족주의 호전론자들이 요구하는 민족주의적 분열을 비공식적인 연대와 우정의 감정으로 해체하려는 시도이다. 두 크로아티아 여성주의 작가들의 작품은 소재(유고연방의 해체와 유고 내전, 망명과 난민생활)와 크로노토프(강제수용소, 박물관, 망명지)의 선정에서도 민족주의 문학담론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 두 여성주의 작가들의 작품은 발칸 지역 고유의 가부장문화에 대한 의도적 반발과, 권력과 위계의 전복에 대한 욕망의 은유로도 읽을 수 있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구 유고 사회에서 남성에 비해 열등한 지위에 놓여왔던 여성의 자리를 사회적 소수자(전쟁 범죄의 피해자, 망명자)와 동일시하고 젠더의 문제를 인종, 민족 등 정치적 문제와 접합하는 태도를 드러낸다. 이들이 표현하는 ‘유고-노스탤지어’ 담론을, 구 유고사회에 대한 단순한 향수로 환원할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이 과거 역사와 현재의 사회적 상황 사이에 게재하는 존재론적 틈의 외현이기 때문이다. In their literary works two representative writers of contemporary Croatian feminist literature, Slavenka Drakuli? and Dubravka Ugre?i? have expressed feminine subject"s singularity and individuality as a metaphor of democratic voice of an opposition against all collective, authoritarian, totalitarian societies, not being limited to traditional feminist issues such as an elimina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ir so-called "Yugonostalgic project",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country of ex-Yugoslavia which was torn by severe civil war is not so much a yearning for the past times under communist rule as a struggle for dissolving the barriers between brother nations founded by nationalistic warmongers therein. Both those writers" literary works hav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from the nationalist literary discourse in motives (the experiences of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civil war, the life of exiles and refugees) as well as in chronotopes (the camp, museum, the place of exile), which allows readers to interpret their works as an expression of resistance to a patriarchal culture of the Western Balkans and desire of the subversion of the male-dominated hierarchy. These writers show us the definition of woman"s place through the literary figures of the minorities (victims of war crimes, exiles and refugees) and at the same time their own intention to articulate issues of gender in relation to political ones (i.e. ethnic, national). The "Yugonostalgic" discourse of these writers transcends the mere nostalgia for the ex-Yugoslav memories. It is a kind of epiphany of gap between the past history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civil society.

      • KCI등재

        크로노토프 분석을 통한 구(舊) 유고권(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모더니즘 소설의 원심력과 구심력 연구

        조준래(Cho Jun Rae)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2

        크로노토프와 주제의 측면에서 구 유고권 사실주의 문학의 유산을 계승하면서도, 그것과 현격히 대비되는 구 유고권 모더니즘 문학의 특정은 지역 전통문화와 전통사회의 가치관에 대한 재해석이다. 모더니즘 소설가들은 작품 속에서 지역 특유의 토속적 관습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표면화한다는 점에서는 사실주의 작가들과 연계성을 지니지만(구심성), 사회현상의 표층 아래 있는 심층적 차원을 담론 화한다는 점에서 탈사실주의적 특징(원심성)을 노출한다. 이런 원심성이 가장 극명하게 표출되는 지점이 전통사회의 하위주체, 특히 여성에 대한 심리주의적 문학담론이다. 예술적 스타일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구 유고권 모더니즘 작가들의 공통점은, 근대초기에 새로이 대두된 전통사회의 위기와 균열을 가족 담론과 여성 담론을 통해서 공론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실주의 문학에서 쓰였던 통일한 크로노토프 모티프가 모더니즘 문학에서는 다른 의미의 크로노토프 모티프로 변형되며, 그 대표적인 예가 구 유고권 모더니즘 작가들의 여성담론과 가족담론에서 부정적인 크로노토프 모티프로 기능하는 전통적인 가부장적 공간인 ‘집(ku?a)’이다. The major point of difference between ex-Yugoslav realist prose and its modernist counterpart consists in the latter’s reconsideration of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valuation therein in the western Balkan. While the ex-Yugoslav modernists show nearly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ir former prose writers in the fact that both of them embodied local folkloric habits and its peculiar manners of communication between men and women, they reveal the great distinction from realist writers through making disclosed the depth level of their traditional societies, in which until then have been hidden such problems as the low position of women in society and inter-familial violence against women. Despite the diversities of the artistic styles, the common characteristics among the ex-Yugoslav modernist prose writers are to be found in their ideological approach to the cultural crisis and rupture in the new century of modernity by means of family dicourse, feminine discourse, and literary psychologism.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ses the chronotope motif of ‘ku?a’ that is same in shape but different in implication and that functions as important narrative symbol with the negative and positive senses both in realist and modernist proses in ex-Yugoslav literature.

      • KCI등재

        악의 정체성과 예술의 의미: 안드리치와 크를레쟈의 고야 비평 비교연구

        조준래(Jun-Rae Ch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1

        근대 이후 발칸 서부 문화를 대표해 온 문화적 아이콘인 안드리치와 크를레쟈가 쓴 고야에 관한 평론문은 두 작가의 창작 경력 전반에서 삶의 부조리성과 예술의 의미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예술적 형상화의 방식이 여전히 활발히 모색되고 있었을 때에 집필된 것으로, 그 소재가 되는 고야의 전기와 작품의 인상은 두 작가의 세계관과 예술창작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두 작가의 평론문은 20세기 발칸 출신 작가들이한 세기 전의 유럽 예술가와 나눈 ‘초현실적 대화’이며, 그들과 고야의 시선이 어우러진 독특한 ‘지평의 융합’이다. 인간과 삶에 대한 환멸과 비애, 예술을 통한 악에 대한 저항 등 유사한 세계관을 서로 다른 양식으로 표현했던 ‘염세주의적 순교자 예술가’로서의 안드리치와 ‘참여주의적 사회평론가 작가’로서의 크를레쟈의 개성은 고야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평가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안드리치와 크를레쟈의 고야에 관한 평론문은 악의 기원및 그 존재 양태에 대한 그들의 문학적 관념과 이에 대한 고야의 회화 이미지 사이의 높은 유사성을 드러낸다. 또한 두 작가의 평론문은 그들이 발칸의 비극적인 역사적 경험을 토대로 형성된 삶에 관한 그들 나름의 통찰, 그리고 이것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예술의 존재론적 의미와 예술가의 존재방식에 대한 각자의 고유한 견해를 고야의 전기적, 창작적 삶에서 확인하 려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런 의미에서 그들의 고야 평론문은 그들 자신의 예술적 세계관과 신념에 대한 재확인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 안드리치와 크를레쟈는 자신들이 지속적으로 표현했던 악과 사회적 부정의에 대한 관념 및 예술의 의미와 예술가의 운명에 대한 견해를 고야의 작품을 통해 거듭 강조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고야에 관한 평론문에서 고야의 창작을 둘러싼 두 작가의 예술철학은 많은 유사성을 드러내는 한편, 그들의 견해가 미묘하게 갈라지는 지점을 보여준다. 이 점은 그간 안드리치와 크를레쟈의 창작에 대한 비교연구에서 다소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고야 커넥션 의 중요 성을 새삼 일깨운다. This study is devoted to a sort of the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the poetic world-views of the two prominent Western Balkan writers Ivo Andrić and Miroslav Krleža with the focus on their critical essays on the life and works of the Spanish painter Francisco José de Goya y Lucientes. Those essays on Goya were being written around the time when the two Yugoslav writers were still straining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surdity of life and the meaning of artistic creation, and the ways to describe their own ideas about them artistically. In that time the biography and paintings of Goya seem to have had positive effects on Andrić and Krleža in the establishment of their poetic conceptions of humanity and the life of this world. The problem of evil and the validity of art were explored in detail in the examination of the life and paintings of the Spanish painter in the essays. It is curious that the passages of the essays on Goya reveal the closeness between the authors evaluations of Goya and their own world-views and artistic convictions that are manifested in their other prose works including belletristic writings. It is necessary to take note of the two Yugoslav writers efforts to verify their own thoughts about humanity and the end of artistic creation against the biography and the artistic works of Goya in order to comprehend the core meaning of the above mentioned three essays on the Spanish painter. It is surmised that the observations of Goya s life and works gave both Andrić and Krleža strong convictions about their own ideas of history and art. Besides, the opinions of the two Yugoslav writers describe th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ir essays on Goya. This feature draws ou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Goya connection in the comparative study of Andrić and Krleža. Furthermore,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two Yugoslav writers reside in the fact that they made efforts to connect Goya s life and works with the genealogy of the epoch-making Modern European thinkers. Besides, as for the theme of the identity of evil and the meaning of artistic creation, the paintings by Goya have become connected to the stream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Modern Europe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writings of the two representative Yugoslav writers. And the universality of the theme itself that attracted them in their whole life such as Francisco Goya in turn invites us to read their oeuvres not so much within the confines of Balkan literature as in the context of the European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