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의 표준운영모형에 의한 비교연구

        조주복(趙周福) 한국지방자치학회 201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7 No.4

        지방정부의 재정운영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주민참여예산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이 되는 시점에서 운영실태의 평가가 요구되고 있지만 표준운영모델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자치단체의 정치구도에 따라 우수한 운영조례 조차 주민들의 참여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운영조례 개정을 시도하는 등의 혼란이 예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운영모델을 토대로 표준 운영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광주 북구와 강원 원주의 운영 실태를 비교하였다. 표준 운명모델에 가까운 광주 북구의 운영성과는 전국 100 여개 자치단체의 조례 제정의 모델이 되었고, 지속적인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14년 9월 안전행정부가 전국 244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방재정 균형집행 중간평가에서 69개 자치구중 ’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반면에 강원 원주시의 경우 형식적인 운영으로 참여위원들의 관심부족으로 전체 참여예산위원회 위원 70명 중 전체회의에 참석인원은 1차 36명, 2차 33명, 3차 29명으로 참여율이 50% 이하로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토론회 등을 주관할 수 있는 ‘지역회의’,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등의 참여기구와 집행부의 대표와 주민의 대표가 참여하여 수렴된 주민들의 의견을 예산으로 반영하기 위해 심의.의결하는 ‘민관협의회’와 같은 참여기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지방재정법에 명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예산제도로서 참여자인 공무원들의 관심과 시민참여위원들의 참여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제안한 의견들에 대한 토론회나 설명회 등에는 반드시 담당공무원들이 참석하여 예산방향과 중점사항을 설명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내실화와 정착화를 통해 지방재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행정자치부에서 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우수하게 운영한 자치단체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10 years have passed after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was introduced in oder to ensure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ng status are required, but the situation is not even a standard operating model. Moreover, the confusion of trying to amend such regulations even superi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political composition of governments have been foreseen. This study presents a standard operating model based on the operational model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compared them based on the operating status of Gwangju Buk-gu and Gangwon Wonju. Operating performance in Gwangju Buk-gu standard model became the fate of the regulations enacted in 100 municipalities nationwide model, it has been the subject of an ongoing benchmarking. In the case of Wonju, Gangwon,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in this meeting due to lack of interest of the participating members in the form of operating problems may appear poorl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participation mechanisms, such as "Regional meetings",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Committee”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people and organizing debates and such as "public-private councils" representatives of the residents and executives to join together to review and confirm people"s opinions in order to reflect the residents" opinions converge to the budget, will need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by mandatory through Provincial Finance Act amendment. Second, responsible officials to attend suc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on the opinion residents proposed have to explain the focus direction and budgetary requirements in order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citizen participation committee and participant officials. Third, we will need to provide a variety of incentives to municipalities governments excellently operated through an assessment of the operation of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rough the substantiality and Settle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budgeting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ocal finances.

      •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역할 재정립

        조주복(趙周福) 한국지방자치학회 201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4 No.4

        This paper analyzes whether citizens’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can play the citizens control devices role on the financial operations of a local government in financial crisis. We analyzed operating status of Gwangju buk-gu, Ulsan dong-gu and Daejon daeduk-gu which is exemplary operating citizens’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citizens’s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s not the role of civil control device on the financial operations. Residents’ opinions are reflected under 2% in this budget. The case of Porto Alegre, Brazil, on the other hand, 20% is reflected. If citizens’s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s the role of civil control device on the financial operations, citizens’s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will be changed as follows. First, Itself not only business of local government, all business will be available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Second, after residents’opinions are discussed by a one-year feasibility study, two years after the final budget will need to reflect. Third, residents opinions will be reflected in the budget to expand the scope of budget participation and to extend the period of activity of the citizens’ committee

      • SCOPUSKCI등재

        청소년기 여학생에서 빈혈 및 철분 영양 상태

        조주래,김순기,박상규,하정옥,Cho, Ju Rae,Kim, Soon Ki,Park, Sang Kyu,Hah, Jeong 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3

        목 적 : 빈혈은 아직도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영양결핍으로 특히 청소년기 여아에 많이 발생하는데, 그 원인은 철분의 불충분한 섭취, 빠른 성장에 따른 철분 필요량 증가 및 월경으로 인한 혈액 손실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건강하게 보이는 중학생 및 고교의 여학생에 있어서 지난 10년간에 걸친 빈혈 및 철분에 관한 영양상태의 발표를 종합하였다. 방 법: 1990년 대구지역에서 도시와 농촌의 여학생에 대해, 1997년 부천지역 여학생에 대해, 1999년 울산지역에서 도시와 농촌지역 여학생에 대해, 2000년 인천에서 도시와 농촌의 여학생에 대해 혈액학적 조사와 신체 계측 그리고 설문지를 통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빈혈은 혈색소 11.5 g/dL 미만으로 정의하였다. 철 결핍은 혈청 ferritin이 10 ng/mL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IDA는 혈색소가 최저 기준치 이하이면서 MCV 78 fL 미만, ferritin 10 ng/mL 미만, 또는 transferrin 포화도 10%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 1) 도시와 농촌간의 혈색소 평균치에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혈색소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2) 전체적인 빈혈의 유병율은 1990년 13.4%, 1997년 6.9%, 1999년 6.0%, 2000년 5.7%로 감소하는 소견을 보이고 있고, 각각의 조사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율도 증가하였다. 특히 여고생에서의 빈혈의 유병율은 1997년 10.1%, 2000년 12.6%로 높게 나타났다. 3) 철 결핍 유병율은 1990년 36.1%에 비해 1997년과 1999년은 13.9%, 13.3%로 감소하는 소견을 보이나 2000년 연구에서는 23.2%로 증가되었다. 4) 연도별 IDA의 유병율은 1990년에는 10.0%, 1997년 4.6%, 1999년 8.3%, 2000년 6.1%로 일정 하지는 않으나 감소하는 소견을 보이고 있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병율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 론 : 중, 고교 여학생에 있어서 10년 전에 비하여 철분 영양은 개선되었지만, 농촌과 도시에 관계없이 빈혈 및 철 결핍이 빈발하였고, 청소년기 연령이 올라갈수록 더욱 현저하였다. 더욱이 최근의 다이어트 풍조와 영양섭취의 불균형을 고려할 때, 다른 영양소의 부족 역시 우려할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중학교 3학년 이상의 여학생과 빈혈의 위험군에 대해서는 선별검사가 요구되며, 아울러 지속적이며 효과적인 영양 교육과 철분지표와 영양지식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Anemia is still the most common nutrient deficiency worldwide, especially in adolescence because of an insufficient supply of iron, an increased iron requirement due to accelerated physical growth and blood loss due to menstruation in girl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anemia and serum iron status of middle school girls. Methods : Hematologic examinations, physical examinations and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for middle school girls in 1990, 1997, 1999 and 2000. Anemia was defined as a serum hemoglobin level of less than 11.5 g/dL. Iron deficiency was defined as a serum ferritin level of less than 10 ng/mL. Iron deficiency anemia was defined as anemia plus one of the following; MCV less than 78 fL, Ferritin level less than 10 ng/mL or Transferrin saturation rate less than 10%.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Hb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decreases in mean Hb as with age. The prevalence of anemia decreased by year; 13.5% in 1990, 6.9 % in 1997, 6.0% in 1999, and 5.7% in 2000. It was high in high school girls(10.1% in 1997 and 12.6% in 2000).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decreased by year; 36.1% in 1990, 13.9% in 1997, 13.3% in 1999, and 23.2% in 2000. It was 21.3% in 1997 high school girls and 37.8% in 2000.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anemia(IDA) decreased by year; 10.0% in 1990, 4.6% in 1997, 8.3% in 1999, and 6.1% in 2000. It was 11.6% in 1997 high school girls and 18.6% in 2000. Conclusion : Although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decreased during this period, the prevalence of anemia in the elder adolescence girls was high. Two things are recommended; first, it is necessary to screen for anemia in middle school girls and high risk groups, second,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knowledge of nutrition and to enforce effective nutritional education, leading to subjects receiving adequate nutr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