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교환(安敎煥)의 한글본 《성적진상도(聖蹟眞像圖)》 연구

        조정육(Cho Cheungyook)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안교환(安敎煥, 1871-1942)은 1937년에 공자의 생애를 100장면으로 그린 《성적진상도(聖蹟眞像圖)》를 완성했다. 《성적진상도》는 한문이 적힌 성적도(聖蹟圖)의 각 장면에 한글로 된 설명문을 첨부하여 한문독해가 어려운 일반인과 학생들로 하여금 공자의 가르침과 생애에 더욱 쉽게 다가설 수 있는 문을 열어 놓았다. 한글본 《성적진상도》의 제작은 안교환이 조선유교회(朝鮮儒敎會)를 조직해 유교의 종교화운동을 전개한 것과, 녹동서원(鹿洞書院)을 설립해 침체된 민족정신을 바로 세우고자 했던 유교개혁운동과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성적진상도》는 조선유교회의 기관지인 『일월시보(日月時報)』를 통해 한 장면씩 소개되다가 『일월시보』가 폐간된 후에는 책으로 발간되었다. 《성적진상도》는 공재헌(孔在憲)이 1904년에 제작한 목각인쇄본 《공부자성적도(孔夫子聖蹟圖)》(105도)를 저본(底本)으로 삼았으며, 원본에 제(題)나 찬(讚)이 빠진 7도에서 〈망오문마(望吳門馬)〉와 〈한고사노(漢高祀魯)〉를 제외한 5도를 삭제하고 100도로 압축했다. 100도로 제작된 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는 한중일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성적진상도》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원본으로 삼은 《공부자성적도》에서 제나 찬이 빠진 7도 중 〈망오문마〉와 〈한고사노〉만 선택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으며, 《공부자성적도》에는 없던 제와 찬을 보충해서 넣은 것을 보면 《성적진상도》를 제작하면서 다른 판본의 공자성적도를 참고했음을 알 수 있다. 《성적진상도》는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대부분의 공자성적도가 공재헌의 《공부자성적도》를 저본으로 하였다는 사실과 함께, 일제의 민족 탄압이 정점에 이른 1930년대에 새롭게 변모된 유교의 대중화운동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글본 《성적진상도》의 제작 배경과 함께 작품분석 및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Ahn Gyohwan(安敎煥, 1871-1942) painted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聖蹟眞像圖) in 1937 which included the life of Confucius with 100 memorable scenes of his lifetime.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paved the way for students and uneducated difficult to understand Chinese to Confucius’ teaching and life. Ahn Gyohwan did Religious Movements of Confucianism with Choseon Confucianism Assembly(朝鮮儒敎會) organized and tried to revive national spiri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establishing Rokdong Academic School(鹿洞書院) himself. He produced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only to pursue the goal. Each piece of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was introduced in each issuance of periodical(日月時報) published by Choseon Confucianism Assembly until the financial burden emerged for the Organization to keep running. Choseon Confucianism Assembly published book to promote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was made based on a wood-block printed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Master Kong(孔夫子聖蹟圖) which Kong Jaeheon(孔在憲) produced with 105 episodes of Confucius’ life in 1904.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was shortened to 100 episodes of pictures from the original(底本) 105 excluding 5 episodes that did not have either character title(題) or brief commentary(讚) with the exception of Looking at a horse at the gate of Wu(望吳門馬) and Emperor Kao of the Han Dynasty sacrifices at Lu(漢高祀魯).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is the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 made with 100 scenes cannot be seen in China and Japan. There is no clear explanation of how Looking at a horse at the gate of Wu(望吳門馬) and Emperor Kao of the Han Dynasty sacrifices at Lu(漢高祀魯) were chosen into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In light of the fact that when painting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supplementing character title(題) and brief commentary(讚)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Master Kong(孔夫子聖蹟圖), it seems that he used other versions of Pictures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 The study looks into motives and meanings of Korean version of True Portraits of the Holy Tr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