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복합문화공간 전시 관람 활성화 연구 - 유럽 복합문화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정란,정금희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산업화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다원화된 사회 현상은 문화예술계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 다. 문화예술 향유 욕구의 확산과 더불어 발전해 온 복합문화공간은 공연, 전시, 교육, 회의 등이 한 곳에서 진행되어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보다 선진 문화예 술을 자랑하는 유럽의 대형 복합문화공간의 전시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통해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복합문화공간 전시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장르의 통합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문 화의 발전방향을 위해서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유럽의 복합문화공간 중 파리의 퐁피두센터와 런던의 바비칸센터의 전시 사례를 중심으 로 하여 전시 관람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유럽 최대 규모의 소장품을 자랑하는 퐁피두센터의 대규모 기획 초대 전시와 바비칸센터의 적극적인 작가 지원 등은 예술의 전당이나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같은 국제적 규모의 국내 복합문화공간의 전시 운영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industrialization, the diversified social phenomenon has brought many changes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In addition to the spread of the desire to enjoy culture and arts, attempts were made to enjoy various contents in one place. The cultural complex is played in one place, with performances, exhibitions, education, and conferences serving various needs of people. Although research on the contents of cultural complex should be conducted more diverse than a single professional institution that only shows one conten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so far. It would be meaningful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culture, which characterizes the integration of genres,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large cultural spaces in Europe, which boast advanced cultural arts. With the aim of promoting revisit of cultural complex, this paper focuses on exhibitions of the Pompidou Center in Paris and the Barbican Center in London among European cultural complexes, The large scale exhibition of the Pompidou Center, which boasts Europe's largest collection, and the active support for artists of the Barbican Center, which transcends countries and genres, have man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international cultural complex.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ir exhibition cases to most cultural complexes in Korea, which are operated on a small budget. As a result, if the benefits of cultural complex are utilized to the fullest by operating exhibition-linked programs using various facilities, exhibition will be the best content for revitalizing cultural complex.
중학교 과학과 탐구영역의 평가에 대한 한국과 영국 비교연구
조정란,Mary Ratcliff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9 No.2
TIMSS(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의 국제 비교와 더불어 이 연구는 영국과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 내용과 평가면에서 분명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비록 국가 교육과정의 기원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다른 뿌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과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은 과학탐구를 강조하여 학생들에게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고자 하는 공통의 교육목표를 향하여 발전해 가고 있다. 문헌분석 방법을 통해서, 과학탐구의 영역에 대한 두 국가 교육과정 내용과 평가 부분의 분석에 의하면, 영국의 국가 교육과정의 내용과 평가 영역이 위에서 언급한 교육과정 목표를 보다 더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반면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의 내용과 평가면에서는 위의 교육목표를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없었으며 특히 평가문항에서는 위의 교육목표가 불일치되는 항목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한국의 중학교 학생들은 국제 비교 연구에서 꾸준하게 영국의 학생들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으나, 위와 같이 교육목표를 충실하게 교과과정의 내용과 평가에 반영하는 질적인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KS3 시험지와 한국의 고입선발시험의 내용을 Klopfer의 분류표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영국의 KS3 시험지는 문항이 한국의 고입선발시험의 문항들에 비해 학생들의 다양한 탐구능력을 평가하고 있었으며 과학탐구 문항이 전년에 비해 늘어나고 탐구조사 문항과 과학의 본질에 대한 문항이 새로이 첨가되는 등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 한국의 고입선발시험은 탐구 영역에 대한 양적 또는 질적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입선발시험 문항에서는 과학탐구 영역이 자료분석에 집중된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Bloom의 분류표에 의한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고입선발시험 문항은 영국의 KS3 시험지에 비해 높은 인지능력을 요구하는 문항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영국의 KS3 시험지는 ‘지식과 이해’ 영역이 많은 반면, 한국의 고입선발시험 문항에서는 ‘적용’ 영역이 현저히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이 연구는 한국과 영국의 중학교 국가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과 평가의 측면에서 과학탐구 영역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Along with TIMSS(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his research show man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National Curricula and assessment. Although the National Curricula stem from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systems, the aims of the National Curriculaare heading toward a similar direction which are aiming at fostering future citizenship for young people putting emphasis on scientific enquiry as a core of scientific literacy. Through the documentary analysis, although Korean pupils consistently have achieved higher marks than English counterparts in international comparison tables,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nd assessment in England reflect more fully the aims of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re is less consistency between the aims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and the assessment. In addition, the standardised KS3 test papers in England assess students' various ability than Korean counterparts showing wider spectrum of Klopfer's specifications. In particular, scientific enquiry questions in Korean test papers concentrate on the area of data interpretation mainly. The Korean test papers appear to be higher cognitive domain in Bloom's taxonomy than English ones reflecting more of the questions demanding higher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full paper demonstrate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assessment systems at KS3 and middle school level of the National Curricula.
일본 종합상사의 어제와 오늘 : 최근의 부활배경과 평가
조정란 한국무역학회 2008 무역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 Vol.2008 No.8
메이지유신(1868년) 이후 생성되어 제2차대전 이전의 산업발전과 이후 고도성장기의 일본경제발전에 기여하며 일본경제의 축도(縮?)로 불리던 종합상사는 크게 두 번의 시련을 겪게 된다. 첫 번째는 1970년대 두 번의 오일쇼크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많은 중장대형 산업에서 에너지 소비가 적고 부가가치가 높은 경박단소형 산업으로 바뀌게 되었을 때이다. 예를 들면 가전, 자동차, 반도체 등 조립식 산업인데, 이는 기존의 상세한 제품설명이 필요 없는 제품에서 어느 정도 지식을 갖추어야 하는 산업으로 바뀌면서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종합상사를 통하지 않고, 직접 메이커가 수출하게 된 경우이다. 두 번째는 1990년대이다. 90년대 초부터 버블붕괴로 인한 일본경제침체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정보의 세계화는 정보는 더 이상 어느 한곳에 집중되지 않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즉, 과거에 현장위주로 취합되었던 정보가 이제는 인터넷환경에서 수평적으로 확산되어 종합상사의 장점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1990년대의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변화로 영업상의 장점을 상실하게 된 주요 종합상사들은 “선택과 집중”이라는 슬로건 아래 집중적인 투자 산업을 모색하게 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자원ㆍ에너지 투자로 계속적인 시상최고이익을 경신하고 있다. 일본의 이러한 상황을 논문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먼저 종합상사의 생성과정과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고, 시대별, 산업별, 기능별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최근 자원ㆍ에너지 투자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자원ㆍ에너지사업에 대한 종합상사의 활동과 역할에 대해서 알아본 후 마지막으로 결론을 도출해 내도록 한다.
메르코수르의 무역협정 분석과 한-메르코수르무역협정 시사점
조정란 한국관세학회 2018 관세학회지 Vol.19 No.1
The MERCOSUR is an economic bloc of Brazil, Argentina, Paraguay and Uruguay, and Korea agreed with the MERCOSUR in promoting a bilateral Trade Agreement(TA) between two parties in future. Although the bloc started to promot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since 1991, economic integration is still shallow and common trade policy is not under operation even it is said to be a customs union and economic community. The MERCOSUR is Korea's major trading partner and a bilateral TA is likely to bring substantial gains to all member countries, but the prospect for the TA in near future is not optimistic.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MERCOSUR's major TAs and free trade agreements,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negotiation of a Korea-MERCOSUR TA including market access and the coverage of the TA. 메르코수르(MERCOSUR)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4개 국가로 구성된 남미 지역 최대 경제공동체이며, 2017년 말 우리나라와 메르코수르는 양측간 무역협정(TA) 협상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발효시킨 대부분의 FTA는 포괄범위가 넓고 무역자유화 수준이 높은 편인 반면, 메르코수르가 체결한 무역협정은 상품 위주의 협소한 협정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통상당국은 경제효과에 초점을 맞춘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 의 무역협정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무역협정 체결에 소극적인 메르코수르 내부 사정을 충분히 감안하지 않으면 협상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논문은 메르코수르와의 무역협정 협상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정기간 내 협상 타결을 위해서는 민감품목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면서 중간 수준의 시장개방을 추구해야 하고, 메르코수르가 수용할 수 있는 협정 구조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즉, 경제이익의 규모보다는 협상 타결 시점을 중심으로협상목표와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조정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6 국제지역연구 Vol.10 No.2
Japan has been positioned itself as a leading country in East Asia until recently. However, its position is stumbling with the emergence of China. Moreover, East Asian countries began concerns ove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with frequent conclusions of FTAs, and China is leading the discussion on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in the region. Japan is lagging behind China in several aspects: First, China became the number one export destination for East Asian countries. Second, China has shown strong leadership in the FTA negotiation with ASEAN, while Japan has made poor progress in its FTA with the region. Third, China is leading the discussion on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As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became one of agendas for ASEAN+3 Leaders' Meeting since 2004, Japan introduced a forum for the issue, and their positions on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shown in the governmental publication. This paper tries to analyze Japan's position on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based on various sources such as governmental publication, papers and books on the issue, and newspapers. 동아시아에 있어 제도적인 협력체제 형성을 향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된 동기는 1997년 말 전개되었던 동아시아 금융위기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후 ASEAN+3 정상회의가 정례화 되므로 써 지역경제협력 및 경제통합 논의를 시작하게 된다. 지금까지 일본은 동아시아 내 리더국가로 자처해 왔으나, 최근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적극적인 FTA 추진으로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그러므로 일본도 동아시아 경제통합 논의 진전에 대응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경제통합 및 공동체 구축에 대한 일본의 시각을 정리한 것이다. 본 논문은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일본정부의 입장 분석을 시도했으나, 일본정부가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어, 관련 자료들을 중심으로 간접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서론에 이어 제II장에서 동아시아 공동체구상의 역사를 살펴보고, 제Ⅲ장에서 일본의 대동아시아 경제관계를 고찰한다. 다음으로 제IV장에서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일본의 입장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결론을 제시한다.
카셀도쿠멘타 12의 교육프로그램에 나타난 미술의 사회성에 관한 연구
조정란 유럽문화예술학회 201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 No.1
Art has a power to unit person to person in social structure. This is because visuality, symbol and metaphor in 따t m삶e an effect easily to public opinion through the process of ’exhibit’. Art, therefore, has accompanied the role of social criticism originally. Expeci머ly, it is more important in the modem society characterized as plur머ism. In these days, documenta 12 in Kassel, Germany to have led the experimental argument of world 따t fulfilled the social function of 따t positively. That is beyond the level of seeing 따t works in the exhibition and it showed the effort to σy out the aesthetic solution of social problems such as, education, sexual identity, politic ideology. So the study on the education programs of Kassel document 12 helps the Korean intemational art event will go to the world.
이탈리아와인의 선택속성, 고객만족 및 재구매 의도 간의 영향관계 - 와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
조정란,김경숙 한국관광학회 2016 관광학연구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talian wine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urchase. The sample consisted of 230 wine experts. The PASW Statistics 21.0 was used to collect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EFA,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were utilized. The dimension of Italian wine selection attributes included brand imag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environment, dry taste and body, basic knowledge and label information, sweet taste, and Light taste. This study found that the Italian wine selection attribut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Specifically,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environment, dry taste and body, and basic knowledge and label inform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customer satisfaction. Moreover, intention to re-purchase is affected by several Italian wine selection attributes: brand imag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environment, dry taste and body, basic knowledge and provided information. In addition, one of the most interesting findings were that customer satisfaction after purchasing wine and tasting i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purchase. This study also found that Italian wine selection attribut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via win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이탈리아 와인의 선택속성, 고객만족 및 재구매 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와인전문가그룹 내국인 230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첫째, 이탈리아와인 선택속성 요인 중 생산․환경적 특성, 드라이한 맛 및 바디, 기초지식․외관적 정보 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탈리아와인 선택속성 요인 중 브랜드 이미지, 생산․환경적 특징, 드라이한 맛 및 바디, 기초지식․외관적 정보 등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와인 구매 및 음용 후 고객만족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와인 소비특성에 따라 이탈리아 와인 선택속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와인을 수입하는 업체나 와인 마케터들에게 와인 전문가들의 소비 및 구매 행동특성을 제공함으로써 와인시장의 판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수립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Issues of Digital Trade Rules and Implications for Korea in the Post COVID-19 World
조정란,안병희,Kyoungseo Hong,정인교 인하대학교 정석물류통상연구원 2020 JOURNAL OF INTERNATIONAL LOGISTICS AND TRADE Vol.18 No.3
As a countermeasure to the COVID-19 pandemic, countries are implementing social distancing and mask-wearing. In this situation,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untact activities are increasing. As a result,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mmerce is increasing, and data is growing rapidly. Developed countries with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echnologies have been striving to establish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digital trade in order to create a business environment that is advantageous for their own companies. This paper examines the e-commerce trend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analyzes major issues related to digital trade rules under discussion. In particular, this paper pointed out that although Korea is recognized to be an advanced country considering its stage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income level, the nation maintains the position of developing countries regarding digital trade. Based on this, this paper attempte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digital trade in the post COVID-19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