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학부모의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이용 실태 및 관련 욕구 분석

        조재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4

        본 연구는 K도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이용 실태 및 관련 욕구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부모들은 장애 자녀의 사회ᆞ정서적 발달을 위해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프로그램은 질적 수준이 높은 전문치료사가 개별 및 집단지도 형태로 주당 3회 정도 특수학교에서 전액 무료로 지원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에서는 치료지원 영역에서의 욕구가 가장 높았으며, 치료지원 및 재활치료 중에서는 음악치료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학생 및 장애학생 학부모가 이용하는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비용에 대하여 국가의 책무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도농통합지역에도 장애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관련서비스 제공기관을 설치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기관의 시설과 인력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인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장애학생의 특성 및 가족의 요구에 적절한 다양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장애학생의 특성과 학부모의 요구에 적절한 다양한 치료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여섯째, 장애학생과 관련된 모든 전문가들이 협력적 팀 접근을 통하여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일곱째, 특수학교 내에 치료지원을 전담하는 전문치료사(특수교사)의 배치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ent’s needs on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special school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z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ation should strengthen its accountability about usage expense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Second, various programs and institutions should be developed in urban-rural integration regions in ord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to participate in. Third, substantial evaluative accreditation systems should be applied to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institutions. Fourth, various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of their families should be made for full support. Fifth, various therapy support related program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of their families should be offered. Sixth, all expert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provid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through their transdisciplinary teams approach. Seventh, special schools should seek for the placement plan about therapists(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rapy supports.

      • KCI등재

        컴퓨터 기반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자폐장애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조재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3

        본 연구는 컴퓨터 기반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자폐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의사소통 기술이 부족한 10 - 11세의 자폐장애 학생에게 컴퓨터 기반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실시하였을 때 대상 학생들의 사회적의사소통 기술(의사소통 시도하기, 의사소통 반응하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첫째, 컴퓨터 기반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를 사용하였을 때 자폐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시도하기 수행률이 향상되고 유지되었다. 기초선 기간 중에는 대상학생 A와 C 둘 다 매우 낮은 수행률을 보였으나 중재기간동안 점차 수행률이 증가되어 중재 후기에는 높은 수행률을 보였으며, 중재기간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컴퓨터 기반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를 사용하였을 때 대상 학생B의 의사소통 반응하기 수행률이 향상되고 유지되었다. 기초선 기간 중에는 대상 학생B는 매우 낮은 수행률을 보였으나 중재기간 동안 점차 수행률이 증가되어 중재 후기에는 높은 수행률을 보였으며, 중재기간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모든 단계가 끝난 뒤에 각학생의 담임교사들에게 IRP - 15를 작성한 결과 중재 수용도는 아주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 현황과 보육교사의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조재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3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e condition of integrated child-care and a general recognition of integrated child-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e child-care teachers who work in the child-care centers in G province. As the result of study, there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hild-care teachers work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where children don’t have disabilities. They rare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seminars for integrated child-care. Even if they participated in it, they attended for a short time. Second, most of the child-care teachers agree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enter into general child-care centers. They answere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be better be placed in a child-care center already integr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at the integrated child-care would be of help to the normal children. Third, the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to care integrally in all fields of disability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they answered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care for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Fourth, the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as the integrated child-care is positive for all children, it would be better to start early as soon as possible and provide more education on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fth, they answered that the child-care centers where they work are badly prepared. Moreover, even child-care teachers don’t have expertise in special education. Sixth, the integrated child-care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social development, offering a chance to understand, to cooperate and to help each other. Also it can help improve the perception of normal childre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interplay between both. Seventh, the negative effects of integrated child-care were that the child-care teachers had to spend more time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parents of the normal children had reluctance for integrated child-care and also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o decrease of children in the child-care center. 본 연구는 G도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보육 현황과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영유아가 없는 일반어린이집에 대부분 근무하고 있었으며, 통합보육 연수에 참여한 적이 거의 없었으며, 참여한 경우에도 참여시간이 매우 적었다. 둘째, 장애영유아의 일반어린이집 입소에 대해 대부분 동의하였으며, 배치장소로는 장애아 통합어린이집이 적절하며, 통합보육은 영유아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종류와 정도에 관계없이 모두 통합보육이 매우 힘들 것이며, 특히 중복장애와 자폐성장애를 더 힘들 것이라고 답하였다. 넷째, 통합보육은 모든 영유아에게 긍정적이므로 가능한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반드시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현재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은 통합보육 준비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보육교사 자신도 특수교육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통합보육의 긍정적 영향으로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 확대를 통한 사회성 발달 촉진, 서로 이해하고 협동하고 도와주는 기회 제공, 장애영유아에 대한 일반영유아의 인식 개선 등이었다. 일곱째, 통합보육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보육교사가 장애영유아에게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것, 일반영유아 학부모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거부감, 어린이집 재원 원아의 감소 가능성 등이었다.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 동향 분석

        조재규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4

        This study analyzes the general status,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242 research papers 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published from 2012 to 2021.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First, a total of 242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and 2018 was the most published year, and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each journal was the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survey study was the most study. Seco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research were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01∼200, the method was a survey, and the purpose was to recognize, actual condition, and demand for lifelong education. Third, the form of literature research was literature review, the purpose was to establish and activate a lifelong edu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and the country subject to trend analysis was Korea, and the number of papers was the largest with less than 100. Fourth, the subjec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head of the center and the person in charge, and the number of subjects was 5 or less, the method was in-depth interviews, and the purpose was the most experience and meaning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Fifth, the age of the case study was majoring course in special school + adult, disability type was developmental disability, experimental group size was 3 peopl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independent variable was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nd dependent variable was cooking job skills. Sixth, development research included a career-oriented lifelong education model, a classification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a training course for vocational coordinators for the disabled, and the development of a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mode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venth, the types of disabilities in experimental research w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iversities and affiliated institutions, group sizes were 11∼20 peopl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intervention sessions were the most common, and there were variou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measures to improve lifelong education research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 논문 242편에 대한 일반현황과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최근 10년간 발행된 논문은 총 242편이며, 2018년이 가장 많이 출판되었으며, 학술지별 발행논문 수는 ‘특수교육학연구’, 연구방법은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조사연구의 대상은 장애인 당사자, 대상자 수는 101∼200명, 방법은 설문조사, 목적은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요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문헌연구의 형태는 문헌고찰,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 체계 구축 및 활성화, 동향분석의 대상 국가는 국내, 논문 수는 100편 이하가 가장 많았다. 넷째, 질적연구의 대상은 센터장과 담당자, 대상자 수는 5명 이하, 방법은 심층면담,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 경험과 의미 분석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사례연구의 대상 연령은 전공과+성인, 장애유형은 발달장애, 실험집단 크기는 3명,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 독립변인은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종속변인은 조리직무기술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개발연구는 직업중심 평생교육 모델,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장애인 직업코디네이터 양성 교육과정,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체계 모형 개발 등이 있었다. 일곱째, 실험연구의 장애유형은 발달장애, 장소는 대학 및 부설기관, 집단 크기는 11∼20명, 실험설계는 통제집단 사전-사후(AB)설계, 중재회기는 11∼20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다양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의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방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연구

        조재규 한국국방연구원 2023 국방정책연구 Vol.39 No.1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ll fields of human life, including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has led to many benefits, such as prompt problem-solving, enhanced efficiency, and cost savings. However,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also been causing unexpected side effects, and thus it is urgent to take opportune and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them. In particular, since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efense field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life, more stringent ethical standards are required than in any other fields. This article seeks to suggest ethical standards that ROK military should comply with whe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y developing and using AI-applied weapon systems while complying with these ethical principles, the ROK military will be able to achieve its goal of fostering a strong AI-base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ilitary force as well as ensure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w. 인공지능은 경제·사회·문화 등의 인류 삶과 연결된 모든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문제 해결, 효율성 증가, 비용 절감 등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발전과 확산은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도 초래하고 있어 이를 예방하려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국방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은 인명과 직접 연관되어 있으므로 다른 분야보다 더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군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면서 반드시 준수해야 할 윤리원칙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윤리원칙을 준수한 가운데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무기체계를 개발하고 사용한다면 우리 군은 국제법을 준수하는 정당성을 확보하면서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 강군 육성’ 빠르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 대상긍정적 행동지원 실험연구 동향 분석

        조재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3

        This study analyzed the 33 papers that provid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rom 2009 to 2018, and presented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number of studies involved 1 subjects with the ages of the toddlers and children, and the most belonged to a special school. Seconds, the most common places of research were special schools, and the group composition was the ones that only applied to students with ASD. The most frequent experiment design incorporated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Third, in the research ethics, 45.5% of the respondents received the consent of the guardian, and 69.7% of the authors reported social validity and intervention fidelity, 100% of the papers presente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Fourth, the number of researchers was the largest in 2, and researchers themselves were the most common partaker of the intervention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most supported articles wer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63.6% of the PBS teams were involved in the mediation process, 97.0%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performed functional assessment, antecedents intervention, alterna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consequences Intervention. The most frequent frequency of the experiments was 20 to 30 sessions for less than 4 to 6 months. Fifth,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most common is decrease of problem behaviors, and partial-interval recording method was the most common method of measuring the dependent variable. Sixth, all of the papers to be analyzed showed an intervention effect, and 90.9% of the papers measured the maintenance, and only 15.4% of the papers that measured the general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discussed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intervention method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실시한 33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 대상자의 수는 1명, 대상연령은 영·유아, 소속은 특수학교가 가장 많았다. 둘째, 실험장소는 특수학교, 집단구성은 ASD 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실험설계는 중다 기초선 설계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 윤리에서 보호자 동의를 받은 논문은 45.5%로 적었으며, 사회적 타당도와 중재충실도를 제시한 논문이 각각 69.7%였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는 모두 제시하였다. 넷째, 연구자 수는 2명, 연구자가 직접 중재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을 개별차원으로 지원한 논문, 중재절차로서 PBS팀을 구성한 논문이 63.6%였으며, 기능평가,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중재, 후속결과 중재를 실시한 논문이 97.0%로 나타났다. 실험기간은 4개월 이상~6개월 미만, 실험회기는 20회기 이상~30회기 미만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종속변인은 문제행동 감소, 측정방법은 부분간격기록법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분석 대상 논문 모두가 중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지를 측정한 논문은 90.9%였으며, 일반화를 측정한 논문은 15.4%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의 향후 실행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학술지의 연구방법 및 내용 분석

        조재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the 333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between 2012 to 2016 by ‘Korea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topics of articles by year,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researchers, and methodologies used in the published papers; as for the experimental research, experimental contents were also analyzed.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First, classifying the 333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showed that 66.6 papers on average were published in this journal, and the most frequently the profile of the first author was a female professor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The most frequent affiliation was Daegu University, the most frequent authorship was co-authorship with two authors and the most frequent method of research was conducting a survey. A further cross-analysis between the first author’s background and methodologies as variants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is the most frequent in among case study articles, social welfare is the most frequent among survey research, and papers with the method of correlation analysis was mostly conducted by psychology majors. Mostly case study articles were written by adjunct professors and teachers, comparative research by Ph.D. degree holders, and survey research by MA degree holder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51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research subjects were ordin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n experimental group of 10 or less and a control group of 11 to 20 in most cases. Also, the most common type of experiment design w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most common way of complying with the research ethics was getting the agreement of the concerned party. Finally,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were frequently less than two tor three months, with eleven to twenty sessions. The most favored statistical tool was SPSS, and the number of papers that conducte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most high. However, there were a considerable amount of papers that failed to present social validity nor mediation fidelity.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discusses and suggests a guideline for improving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본 연구는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정서·행동장애연구」학술지에 2012년부터 2016년까지 게재된 333편의 논문들에 대한 연구방법 및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연도별 게재논문, 연구자의 특성, 게재논문들의 연구방법을 알아보고,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게재논문 총 333편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66.6편을 발행하였으며, 제1저자는 특수교육 전공, 대학 교수, 여성이 많았다. 소속대학은 대구대학교, 연구자 수는 2인 공동연구,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제1저자의 배경변인과 연구방법을 교차 분석한 결과, 사례연구는 특수교육학, 조사연구는 사회복지학, 상관연구는 심리학 전공자가 많았으며, 사례연구는 외래교수와 교사, 비교연구는 박사, 조사연구는 석사가 주로 하였다. 둘째, 실험연구 논문 51편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은 주로 초등학교 일반학생이었으며, 실험집단 수는 10명 이하, 통제집단 수는 11~20명, 실험설계 유형은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 연구윤리 준수는 당사자 동의, 실험기간은 2~3개월 미만, 실험회기는 11~20회기, 통계도구는 SPSS, 통계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사회적 타당도와 중재충실도를 제시하지 않은 논문이 매우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학술지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방법 개선 방안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