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얼룩반점 자두에서 발생한 호프왜화바이로이드(HSVd)의 유전자 변이

        조인숙,정봉남,조점덕,최승국,최국선,김정수 한국식물병리학회 2011 식물병연구 Vol.17 No.3

        경기도와 경상북도 일대의 '대석조생' 자두 재배포장에서 착색이 불균일한 얼룩 반점 증상의 과실이 발생하였다. 이들 시료로부터 유전자 진단(RT-PCR)과 Dot-blot hybridization 검정 결과 호프왜화바이로이드(HSVd)가 검출되었고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개의 HSVd 변이주(DP1, DP2) 를 동정하였다. GenBank에 등록된 자두 HSVd의 7개 변이주와 새로운 DP1, DP2 변이주와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한 결과 94-100%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DP1와 DP2의 유전자는 59번과 60번 염기가 각각 CG, AA로 서로 다른 변이를 보였다. 국내외 자두 과실 얼룩반점 증상에서 동정된 HSVd의 유전자는 특이적으로 59번과 60번 부위의 염기가 CG, AA, TG인 3개 군으로 크게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apple fruits of plum cv. Oiishiwase (Prunus salicina L.) were occurred at Gyeonggi-do and Gyeongsangbukdo. The symptoms resembled the dapple fruit disease caused by Hop stunt viroid (HSVd). To identify the causal disease agents, RT-PCR was performed with the specific primers of HSVd. RT-PCR analysis showed that HSVd variants (DP1, DP2) were detected from dapple fruits. HSVd detection was also confirmed by the dot blot hybridization using a DIG-probe specific to HSVd. Nucleotide sequences of DP1 and DP2 had the identities of 94−100% with those of other 7 variants of HSVd in Genbank database. DP1 and DP2 were different in two nucleotides of CG and AA at position of 59 and 60, orderly.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at position of 59 and 60, HSVd variants associated with plum dapple fruits could be divided mainly into three groups as CG, AA and TG.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인숙,류현숙 한국아동간호학회 2015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relationships between the depression, parenting-stress and self-esteem.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0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lving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PC+ 21.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p<.001).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p<.001). Variables affecting depression were parenting-stress, self-esteem and familyincome. The three factors accounted for 38.7% of the depres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arenting-stress and selfesteem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reduce levels of depression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help them lead a healthier life.

      • KCI등재
      •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특징과 시사점 탐구

        조인숙,강현석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3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 No.1

        우리나라의 근대 학교교육은 초기에는 생존을 위한 기술을 중시하였고, 생존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자 경제적인 부(富)와 명예를 보장하는 지식을 중시하였다. 보다 유용한 지식의 추구에서 경쟁이 일상화되었고 이로 인해 여러 부분에서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간과할 수 없는 격차와 소외 또한 발생하였다. 본고에서는 Erich Fromm이 『소유냐 존재냐』에서 경고한 바와 같이 현재 학교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인간소외 현상은 교육이 지식을 소유하고 소비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존재에 관심을 돌려 교육주체의 체험과 실천을 통해 주체를 성장하게 하고 그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찾고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데 주력해야 하는데 가장 적절한 수단으로 Jerome S. Bruner가 논의한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중반 Bruner의 인식론에 변화가 생긴 시기를 기점으로 전기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인 ‘지식의 구조’와 후기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인 ‘내러티브’의 특징과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내러티브가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우리나라의 근대 학교교육은 초기에는 생존을 위한 기술을 중시하였고, 생존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자 경제적인 부(富)와 명예를 보장하는 지식을 중시하였다. 보다 유용한 지식의 추구에서 경쟁이 일상화되었고 이로 인해 여러 부분에서의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간과할 수 없는 격차와 소외 또한 발생하였다. 본고에서는 Erich Fromm이 『소유냐 존재냐』에서 경고한 바와 같이 현재 학교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인간소외 현상은 교육이 지식을 소유하고 소비하는 대상으로 간주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존재에 관심을 돌려 교육주체의 체험과 실천을 통해 주체를 성장하게 하고 그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찾고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데 주력해야 하는데 가장 적절한 수단으로 Jerome S. Bruner가 논의한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중반 Bruner의 인식론에 변화가 생긴 시기를 기점으로 전기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인 ‘지식의 구조’와 후기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인 ‘내러티브’의 특징과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내러티브가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Education, including teaching knowledge and skills essential for social lives, is the legacy of society or cultural community and brings changes to the society as well. Since education focused on having knowledge and skills that facilitate higher social position, it has left students in cultural pains such as violation, discrimination, alienation, indifference, etc. Schools should be the learning community where students understand their existence and lives. Also students should construct themselves using narrative (or narrative mode of thinking) that helps students to integrate their experience, intention, needs and thoughts together, and understand the world they live in. In the view of narrative, the structure of knowledge is not the reality that must be found somewhere but the object that we should explore and build. Through the structure of knowledge, we can find and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world. Thus the structure of knowledge can be narrative and vice versa. Self is not generated only inside of a person, but instead it interacts with culture continuously. We make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culture and understand ourselves. Members of cultural community construct themselves and transact meaning with others using narrative. In other words, narrative is expressed in us ourselves even though we conceal our own stories with self-protection and manipulation. Narrative is directly related to history, literature and law but it is also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and culture, which consequently has an influence on education. Schools based on narrative should focus on students themselv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make their own stories and develop narrative mode of thinking. They should not be the places that deliver subject matter, separate ideas from experience, and alienate theories from practices. Narrative fosters schools to connect students' learning with their lives and to handle students' interest, efforts and motivation. Narrative can be the best way to build desirable school culture, but folk psychology and folk pedagogy of schools must be understood before implementing and operating narrative in school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narratives of subjects, teachers and curriculum in our culture before we discuss and adopt the narrative in the field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curriculum.

      • KCI등재

        대학도서관에서의 CRM을 이용한 MyLibrary서비스개선 연구

        조인숙,하누리,Cho, In-Sook,Ha, Nu-Ri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시스템의 MyLibrary 기능을 CRM개념을 적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맞춤서비스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홈페이지조사를 통하여 1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대학도서관시스템 중 3개의 시스템을 선정하고 해당 대학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의 각 기능을 담당하는 사서들이 MyLibrary 기능에서 생성되는 이용자들의 정보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MyLibrary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이용자들에게 맞춤정보서비스 제공과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CRM에 대한 인식제고와 feedback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provide users with customized services by applying the CRM theory of the MyLibrary functions of the academic library system. The firs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ocumentary survey and homepage survey, and case study of domestic and overseas college libraries was performed and 3 systems among academic library systems were selected to conduct a survey with their librarians and users of the academic libraries. It was found that librarians in charge of each function of services didn't much utilize information data of users created in the MyLibrary functions. As for an improvement method, it was suggested that systematic management to raise recognition on CRM and utilize it as feedback data is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as well as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s to users based on data created in MyLibrary.

      • KCI등재

        機能性茶의 발전 방안에 대한 考察

        조인숙 국제차문화학회 2009 차문화ㆍ산업학 Vol.12 No.-

        차잎 속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성분에 따른 차의 효능은 일찍부터 체득되어, 차를 생약재로 이용하여 단방약이나 해독제, 또는 병 증상에 따른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사실의 토대에서 차와 약재를 섞어 만든 기능성차는 혼합차의 방법으로 제다한 차로, 차가 가지고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어떤 질병에 이로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든 차라고 볼 수 있다. 차가 지닌 약성은 『鄕藥集成方』, 『東醫寶鑑』, 『救急簡易方諺解』 등의 의서에 그 효능과 처방이 실려있으며, 1830년대 편찬된 종합 농업기술서인 崔漢綺의 『農政會要』와, 『東茶記』 본문 6장에서도 그 약성을 피력하고 있다. 정약용의 <寄贈惠藏上人乞茗>과 1700년경 농촌경제를 다루고 있는 『山林經濟』에서도 차가 병치료에 이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효능으로써의 차에 대한 인식은, 건강과 병치료라는 목적으로 다양한 차 개발의 의식전환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서거정의 <謝岑上人惠雀舌茶>에서, 차에 생강을 넣어 함께 끓여 마셨다는 내용이나, 黃胤錫(1729-1791)의『頤齋亂藁』에 실려 있는 扶風鄕茶譜의 각종 병리 증상에 따라 모두 7종의 상차를 만들었으며, 각 차별로 主治가 있는, 즉 특정 증상에 약효가 있는 香藥茶를 설명하고 있다. 현재 차문화는 더욱 전문성과 다양성을 내제한 채 발달하고 있지만, 차문화가 가진 지나친 격식으로 인해 차가 대중화에서 멀어지고 있으며, 이는 차 소비의 저조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차는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음청으로의 접근을 시도해 보아야 한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