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댄디즘과 젠더의 역설 : 숭배 또는 혐오의 미학

        조은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1

        프랑스어 명사 ‘댄디 dandy’는 대부분의 경우 남성과 관련하여 인식되고 논의된다. “댄디즘을 표방하는 남성”이라는 사전적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여성은 고찰의 대상이 아니며, 여성명사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댄디즘은 그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우아한 외양’에서부터 ‘여성적’ 속성을 빌리고있고, 이는 댄디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특징이 된다. 여성댄디즘은 일반적으로 스탈부인이나조르주 상드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 댄디즘이 그랬듯이 여성댄디즘 역시 아직은 다양한 논의가진행되는 중이고, 여러 오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때로는 그 범위가 지나치게 확대되거나 그 경계선이모호한 경우가 많다. 또한 댄디즘과 마찬가지로 여성댄디즘의 학문적 기반을 다지는 데 있어 가장중요한 개념은 그것이 가진 ‘젠더’에 대해 성찰하는 것이다. 댄디에게 있어 ‘젠더’는 삶이 가지고태어난 천재성이며, 예술을 완성시켜 주는 동력이다. 그것은 갈등을 조장하기 위한 빌미가 아니라영혼과 육체를 연합시킬 존재적 필요조건이다. 댄디는 자신을 자연스럽게 태어난 존재가 아닌 미적으로 계산된 자아로 여긴다. 그리고 이 ‘미적 계산’을 통해 완성된 존재는 브러멀에게서는 정련된 형태로, 바르베 도르비이에게서는 인위적 형태로, 보들레르에게서는 조심스럽고 완고한 형태로, 오스카 와일드에게서는 ‘해방된 성’ 형태로 드러난다. 여성댄디는 외적으로는 남성 또는 여성의 외양을 한 우아하고 재능 있는 존재이며, 내적으로는 자기 정화가 가능한 저항적 존재의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여성댄디가 새로운 삶의 양식을 표명한 것은 시대에 대한 저항으로 이해할 수 있다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육체적·정신적 ‘조화’를 궁극적 목표로 삼았던 댄디는 여성에 대해 혐오적태도를 드러낸다. 댄디즘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브러멀은 여성을 지적 파트너로 여겼지만, 그발전과정에서 여성은 불안정하고 결핍된 존재로 변해버린 것이다. 또한 여성댄디가 남성적 외양을통해 새로운 삶의 양식을 표명한 것은 한 편으로는 시대에 대한 저항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다른한 편으로는 여성성에 대한 불안, 모순, 자가당착, 더 나아가 자기혐오의 한 부분으로 오해될 여지가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영혼과 육체의 결합이라는 철학을 흔들지 못했고, 오히려 댄디로하여금 전통적인 남녀의 이분법을 파괴하고 시대의 금기를 결행하여 미의 형이상학에 이르게 했다. 혐오를 포함한 젠더의 복잡한 수사학이 결과적으로 댄디즘을 부르주아 사회의 야만을 지체시킨 문화예술 운동으로 남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댄디즘은 현대사회가 당면한 문제들, 즉 성의확대, 성적 갈등, 성의 왜곡, 성차별 등을 성찰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경험치를 제공한다. 그리고이것이 바로 그들을 ‘패셔니스타’가 아닌 ‘철학자’들로 불러야 하는 이유일 것이다. ‘Dandy’, a french noun, is usually recognized and discussed in relation to men. As you can see from the dictionary definition “a man who advocates dandyism”, women are not considered and female nouns do not exist. But dandyism borrows feminine properties from the ‘elegant appearance’, which is the heart of dandyism and the main characteristic of dandy's identity. Woman dandyism is generally believed to have originated with Madame de Staël or George Sand. As with dandyism, woman dandyism is still undergoing a variety of discussions and contains multiple errors. Sometimes its scope is too broad or its boundaries are ambiguous. And like dandyism,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building the academic foundation of woman dandyism is to reflect on the 'gender' it has. For Dandy, the 'gender' is a genius born with life and a driving force for completing art. It is not an excuse to foster conflict, but an existential need to unite the soul and the body. Dandy regards himself as an aesthetically calculated self, not a natural being. This 'aesthetic calculation' results in a refined form for Brummel, an artificial form for Barbey d'Aurevilly, a cautious and stubborn form for Baudelaire, and a positive form for Oscar Wilde. Female dandy is an elegant and talented figure who externally has the appearance of a male or female and internal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elf-purifying resistant being. But ironically, dandy, whose ultimate goal was physical and mental harmony, shows an abhorrent attitude toward women. Brummell, the origin of dandyism, regarded women as intellectual partners, but in its process of development, women have become unstable and deficient. The female dandy's manifestation of a new lifestyle through its masculine appearance is, on the one hand, understandable as a resistance to the times.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misunderstood as part of the anxiety, contradiction, self-contradiction, and further self-loathing of femininity. Nonetheless, it did not shake the philosophy of the union of the soul and the body. Rather, dandy destroyed the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men and women and practiced the taboo of the times, leading to the metaphysics of beauty. Gender's complex rhetoric, including hate, has consequently called dandyism to remain a cultural and artistic movement that has delayed the barbarism of society. In conclusion, dandyism provides a very important experience in reflecting on the problems facing modern society such as expanding sex, sexual conflict, gender distortion, gender discrimination, etc.. And that's why they should be called 'philosophers' instead of 'fashionistas.'

      • KCI등재

        형태와 사상의 공유매체로서의 가면 연구: 댄디의 ‘정치적’ 실행을 중심으로

        조은라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2 외국학연구 Vol.- No.60

        Dandy acquires an identity of distinction and uniqueness based on elegant attire, shining ornaments, delicate language and unusual attitude. Here, the important thing in sublimating dandy into an aesthetic existence is a mask as a shared medium that reveals and hides. The mask that determines the existence of dandy first embodies dandy's external plan to become a work of art, secondly, creates a distance between the original dandy and what he looks like as if the theater actor ha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audience through theatrical form, and thirdly, realizes a chemical combination between dandy's existence and existence. In particular, dandy's mask distinguishes between political dandy and dandy's politics. Dandy, who has failed to maintain a distance from society like Eugène Sue or Lord Byron, is a "political dandy". On the other hand, Barbey d’Aurevilly or Charles Baudelaire, who utilized "political power" rather than "politics" by allowing the mask he used to escape from the task of reproduction, maximized its power by delicately utilizing the function of the mask. Therefore, masks are the driving force behind political power, and are a key factor in preventing misuse by distinguishing political dandy from political dandy.

      • KCI등재

        Le dandysme dans quelques tableaux du XIXe siècle et la perspective de la modernité

        조은라 한국프랑스학회 2013 한국프랑스학논집 Vol.82 No.-

        댄디즘은 즐거움과 소비의 문화를 지향하는 부르주아에 대한 반발로부터 생겼다. 19세기에 시작된 이 문화현상은 이후 샤를 보들레르가 지적했던 것처럼 ‘정신의 귀족적 우월성’을 드러내는 철학으로 발전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 지적·문화적 예술운동이 자본주의의 발현과 관계된 사회적 경향이자, 어떤 의미에서는 이것을 하나의 모더니티로 정의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19세기의 몇몇 그림들을 통해 댄디즘 현상이 역사와 사회에 대한 하나의 반응이라는 것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우선 우리는 대표성을 띠고 있다고 판단되는 댄디들을 소개함으로써 19세기 댄디 즘의 흐름을 알아보았다. 댄디즘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조지 브럼멜의 우아한 댄디즘과 댄디즘 이론의 창시자 바르베 도르비이의 저항적 댄디즘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장 순수한 형태의 댄디즘이 런던에서 꽃을 피웠다면 미래의 ‘불르바르 댄디’는 보들레르에 의해 심화되었다. 보들레르가 제안하는 댄디즘의 철학은 ‘사회에 대한 저항’과 ‘존재에 대한 의문의 제기’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그의 댄디즘 철학에서는 자기 시대의 획일성에 분연히 일어서는 한 개인의 영웅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또한 19세기 말 조금쯤 음탕한 사교계의 한 가운데에서 등장한 로베르 드 몽테스키외 역시 전형적인 댄디로 꼽힌다. 다소 속물적인 취향의 우아함을 고수했던 몽테스키외는 당시 현대적인 사회로 나아가던 과도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사상가이자 선동적인 댄디였다. 이어서 우리는 댄디즘 현상을 모더니티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그 실제를 파악하기 위한 방식으로 19세기의 몇몇 그림들을 살펴보았다. 예술은 역사와 사회에 대한 정직한 반응이다. 다소 자의적으로 비판받을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모더니티의 증거가 잘 드러난 그림으로 우선 으젠 라미의 «파리오페라 좌석의 내부에서Intérieur d'une loge de l'Opéra de Paris» (1843)를 선택했다. 으젠 라미는 프랑스 밖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19세기를 관통한 프랑스의 대표적인 풍속 화가이다. 그는 19세기 사회를 하나의 ‘역사’로 캔버스에 담았는데, 이 그림 속 댄디와 두 숙녀의 모습에는 당시 부르주아의 귀족적 우월성과 댄디적 오만함이 잘 드러나 있다. 샤를 보들레르의 «자화상Autoportrait» (c.1860)은 댄디-시인의 특징, 즉 사회로부터 거리를 두는 태도, 고통과 우울함이 설득력 있게 느껴지는 작품이다. 그에게 있어 댄디즘은 더 이상 ‘외양’의 표현에 머무르지 않고, 거울 앞에 선 자신의 존재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을 뜻한다. 한 개인과 사회적 체계 사이에서의 불화가 느껴지는 그림이다. 에두아르 마네의 «튈르리 공원의 음악회La Musique aux Tuileries» (1862)는 프랑수아즈 카솅의 말처럼 “진정한 의미에서의 첫 현대적 그림”이다. 이 그림 속에서 우리의 연구와 관련된 가장 주요한 특징은 화가가 진화하는 시대, 일상의 한 단면을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현대적 감각을 느끼게끔 한다는 것이다. 그림 속 우아한 인물들의 옷차림과 표정 역시 생생한 댄디의 일상을 전해준다. 콩스탕텡 기의 «1860년 정장을 입은 남녀Couple en costume de 1860»는 흥 미로운 그림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들라크루아의 위대한 작품들과 견줄 만한 작품은 아니다. 하지만 보들레르에게 있어 그는 라브뤼예르처럼 정취가 넘치는 인간탐구자이다. 그리고 댄 ...

      • KCI등재

        자연의 재현을 통해 나타난 ‘화가 발자크’의 미학 연구

        조은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2

        오노레 드 발자크는 일반적으로 고전소설의 양식을 확립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의 방대한 소설 연작 『인간 희극』은 단순히 소설적 재미를 떠나 19세기 사회상을 진솔하게 반영한 이야기와 다채롭고 생명력 있는 인물들, 탁월한 심리묘사, 그리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인간의 본질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짚어보아야 할 점은 소설가로서의 발자크가 거시적으로 봤을때 관찰력이 매우 뛰어난 예술가라는 점이다. 그는 자기시대를 깊이 성찰하고, 진보적인 태도로 이를재현하며, 특히 자연의 기술에 있어 그것의 ‘모방’이 아닌 ‘표현’에 목표를 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자크의 첫 소설들 속에 나타난 자연의 재현과 기능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그가 재현하고 있는자연의 이데아를 정의하여, 그것이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표는 글을 쓰는 작가로서의 발자크에서 한 발 떨어져 작품 속에서 자연을그려내는 화가 발자크에 대해 접근하는 것이다. 발자크는 알려진 것처럼 19세기 주요한 미학적 흐름인 댄디즘을 논할 때 자주 언급되는 작가이다. 이는 발자크가 자연을 재현할 때 댄디라는 정체성을가진 미적 존재로서 기능하며 그를 폭넓은 의미에서의 예술가로 정의할 만큼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의미한다. 실제로 발자크의 소설 속 풍경 곳곳에서는 발자크가 댄디로서 가진 미에 대한 욕망이 드러나고 그것이 자연을 재현하는 행위의 주요한 동기가 된다. 발자크는 19세기 많은 미학자들이 주장한 이른바 ‘인공미학’의 계승자로서의 모습도 드러내는데, 그는 자연은 불완전하다고 생각하며 글쓰기를 통해 그것을 보완하여 좀 더 우월한 것으로 만들고자한다. 이른바 문학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을 창조하는 예술가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볼수 있다. 발자크의 이런 자연의 ‘위조’는 소설의 풍경이 다만 자연의 모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대항하는 하나의 상상력의 산물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가리키며, 그의 예술가로서의 기법을관찰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있어왔던 발자크의 소설 기법에 대한 연구 자체를 목적으로 삼고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자크를 미적 존재로 바라보고, 그가 가진 욕망이 자연의 재현 속에서 어떻게드러나고 있는가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작가-화가’ 발자크의 미학에 접근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발자크가 그린 풍경은 『인간 희극』의 첫 소설들에서부터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냈고, 이는 화가로서의발자크가 결과적으로 작가로서의 발자크를 지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실패한’ 댄디라는그의 정체성이 그 기저에 똬리를 틀고 있고, 이것이 그의 미학을 정의하는 데 있어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시해 준다는 사실 역시 덧붙여야 할 것이다. Honoré de Balzac is considered as an author who took a major role in establishing the form of classic novel. The novel sequence La Comédie humaine presents not just fictional interest but also honest stories reflecting the social aspect of the nineteenth century, characters with vitality, a outstanding psychological description, and human nature reveled through them. The thing that we talk about at this place is that Balzac is an artist of keen observation when you take him a broad view. Owing to his keen observation of detail and unfiltered representation of society, Balzac introspects seriously his epoch, reproduces it with an advanced attitude, and aims at its 'recreation' not its 'imitation' especially in his description of nature. So we observe the representation an the fonction of nature in his first novels and try to define his idea of nature and consequently to see its role in this genre called novels. For the second time, we aim to approch with some distance to Balzac who paints nature in his novels. As is well known, Balzac is an novelist repeatedly referred when we talk about the dandyism, a esthetic flow of the nineteenth century. This means that he revels his esthetic being as a dandy when he represents nature and plays a right role for it as an artist in the broad sense of the word. In fact, here and there in scenes of his novels, we can see his desire as a dandy, which becomes an important motive for his representation of nature. Balzac, who thinks that nature is incomplete, manifests also his side of successor to 'artificial aesthetic' and tries to complete it and makes it superior thanks to his writing. As we call it, hs shows us his artistic attitude who creates an Aristotelian essence through literature. His 'forged' nature is not from its imitation but the product of his imagination against nature. And it becomes an important element that has us observe his technique as an artist. However, we don't study Balzac's technique itself in his novel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im as an artistic being, to observe how his desire is shown in his nature and to approach to Balzac's esthetics as an 'author-painter'. His nature has been strong since his first ons of his famous novel sequence La Comédie humaine and it means as a result that Balzac-painter supports Balzac-writer. We should also add that his identity as a 'failed dandy' is inherent in this system, which suggests a method of approach to determine his esthetics.

      • KCI등재

        상상력과 현대사회에 대한 다층적 해석 - 창의적 상상력 모델개발의 일례

        조은라,윤순식,나송주,황의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1

        The key to the current era of image and information is 'creative' imagination. We wish that the development of models for creative imagination would set the direction to extend not the dimension of humanities alone but also social studies and science, as well as the dimensions of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in advertising, gaming, tourism, design, etc. We would like to propose a system which fosters 'the humans who have insight to view the world in organic way', instead of 'the humans who are useful'. In other words, we would like to develop a new model which promotes unrestricted human interactions, free from dichotomies such as reality vs. virtuality and reason vs. emotion, through imagination with ‘tolerance' that embraces all the paradigms. This paper brings forwar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model of 'creative imagination' as a motive force to create new kind of social value. It is none other than suggesting the need to take practical measures in such way that creativity finds itself a solid posi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s an important medium. It is emphasized that we need to develop a consistent new model so that we may present type of individuals needed by this era of image and information, may seek for the plans to maximize the value of corporations, may establish creative brand of the city, and ultimately, solidify the identity of the nation. Considering that the highest value of humane science is 'to make human more humane', we are confident that our research will reach the ultimate goal of proposing a type of individuals who match well to the overall model of imagination and who lead globalization.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이미지 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유형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동력으로 ‘창의적 상상력’의 ‘모델 개발’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이론적으로 질베르 뒤랑이 제안하는 건강한 사회를 위한 신화적 방법론의 ‘실천적’ 적용을 토대로 한다. 특히 우리는 최근 권력으로까지 상정되는 미디어의 미학적, 윤리학적 양상들의 원형적 구조와 상상적 변용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가지고 그 부정적 특성에 대한 대안을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우리는 오늘날 광고 매체들이 집착하고 있는 ‘상승’의 이미지 변용 현상들에 주목하고 그것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의 척도는 어떻게 하여 비상의 이미지가 신화적이고 초월적인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도덕성과 미덕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사회 문화적 창의성을 가질 수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우리는 잠정적 결론으로서 ‘창의적’ 상상력이란 현실과 가상세계를 숙명적으로 동시에 살아야 하는 오늘날 더 이상 ‘기발한 아이디어’나 ‘눈에 띄는 기법’이 아니라,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들이 서로 넘나드는 유기적 관계를 고려하면서 과학과 시의 화해 혹은 그 둘의 근원적 동질성을 이해하고 실현하는 정신적 역량이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 매너라즘 회화에 나타난 반고전주의 고찰

        조은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16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7 No.2

        Le maniérisme est un mouvement artistique, généra1ement considéré comme une réaction contre 1‘art de 1a haute renaissance. Mais en vérité, cet art fleuri pendant environs soixante ans, de 1520 à 1580, montre une certaine comp1exité vis à vis de classicisme de 1a renaissance. Dans un sens, il conserve 1’é1égance du classicisme, sa manière et son vocabu1aire spécifiques, mais dans l' autre il rompt 1es règ1es de 1a renaissance fondés sur 1a beauté naturelle et 1’essence de 1’harmonie. Ici, se dégage 1es caractéristiques principa1es du maniérisme un jeu de codes et de symboels marqué par 1’aspect artificie1, l' a1inéation et 1a modemité. c' est une réaction amorcée par 1e sac de Rome de 1527 qui ébran1a 1’idéa1 humaniste de 1a Renaissance. Ce qui est 1e p1us intéressant dans 1e maniérisme comme anti-classicisme, c' est son espace unique qui est désuni, troub1é et obscure. Cet espace intérieur et extérieur à 1a fois représente bien 1 ’따t du maniérisme intellectualisé par 1es peintres maniéristes. Le maniérisme est donc un art non pas imité par les maîres de la Renaissance mais un art personne1, neuf, trouvé par 1es peintres qui ne vou1aient pas accepter 1e courant artistique te1 qu 꾀 하ait à son époque. En résumé, c' est donc un art différent cherchant à rompre dé1ibérément avec 1’exactitude des proportions, 1’harmonie des couleurs ou 1a réalité de 1 ’ espace, de manière à produire un nouve1 effet émotionnel et artistique un art original.

      • KCI등재

        댄디즘의 정신적 귀족주의에 나타난 여성혐오 연구

        조은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1

        Le dictionnaire Larousse définit l’aristocratisme comme une conception politique élitiste qui réserve le pouvoir aux meilleurs par l’intelligence, le rang ou la fortune. Le dandysme hérite cet élitisme mais il est spirituel, ce qui le diffère des autres. Ce “nouvel aristocratisme” selon Charles Baudelaire est d’abord lié au culte de soi dont la caractéristique principale est l’élégance, mais de manière féminine. Mais dans le processus de se faire adorer, les dandys ont tendance à considérer l’élégance féminine comme faible et choisissent de se renforcer avec la projection interne, autrement dit avec une sorte d’essai esthétique de réaliser le sens de l’être. On peut remarquer ici que l’art de toilette du premier dandysme est dans un sens ‘condamné’ au tort car il est déficient pour que le dandy devienne un être parfait. La beauté féminine peut être le point de départ du cours esthéthique du mouvement mais il faut la force de propulsion, c’est-à-dire un élément non pas matériel. Cette opinion des dandys français, la pluspart du temps discrète mais parfois manifestante comme dans les cas de Balzac ou de Charles Baudelaire, témoigne de l’aversion envers les femmes, au moins du sous-estime envers elles. C’est paradoxalement ce qui recherchaient les dandys français dans leur aristocratisme, une sorte de dandysme total. Le dandysme est un phénomène ambigu dont l’origine du mot est aussi obscure. C’est une manière d’être, surtout dans l’habillement et l’apparence, qui rompt totalement avec la règle du commun des hommes dans les années 1800. Mais il n’est seulement pas un phénomène mais constitue aussi une métaphysique, ayant rapport particulier à la question de l’être et du paraître, ainsi qu’à la modernité. Dans un contexte d’aristocratisme, il poursuit la spiritualité, la recherche de distinction et de noblesse mais dissimulant habilement les caractéristiques des femmes, qui étaient considérées au début comme essentielles dans la formation de leur apparence. C’est peut-être le résultat d‘avoir surestimé leur “acte d’héroïsme” dans l’époque de décadence, probablement imprégné du préjugé de leur société. En conclusion, l’aristocratisme des dandys comporte le sous-estime ou le dégoût envers les femmes, ce qui prend le rôle de former son identité flou. Mais ceci n’a pas finalement terni cet art de l’être car dans un sens l’être humain est d’origine inexplicable, obsucre, absurde, c’est-à-dire paradoxal. 라루스 사전은 귀족주의를 엘리트주의의 정치적 개념, 즉 지성, 신분, 재산을 가진 사람들에게 주어진 권력으로 정의한다. 댄디즘은 이러한 엘리트주의를 계승하지만, 이것은 ‘정신적’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것들과 변별된다. 보들레르가 말한 이 “새로운 귀족주의”는 무엇보다도 자기숭배와 관련이 있으며, 여성적 우아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댄디는 이 과정에서 외적 변별성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내적 투사, 달리 말해 존재의 의미를 실현하고자 하는 미적도약을 통한 자기강화를 실현했다. 말하자면 여성적 아름다움은 댄디즘이라는 미적 흐름의 출발점이었지만, 추진력, 즉 물질적이지 않은 다른 요소가 필요했다는 뜻이다. 대부분 조심스러운, 하지만 때로는 발자크나 보들레르의 경우에서처럼 직설적으로 표명되는 이런 의견은 그 안에 여성에 대한 혐오, 적어도 폄훼의 시도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역설적이기는 하지만, 이것이 바로 프랑스댄디들이 그들의 귀족주의, 일종의 완전한 귀족주의를 이루기 위해 추구했던 방식이다. 댄디즘은 모호한 어원을 가진 불분명한 현상이다. 이것은 특히 옷 입기와 겉모습을 통해 드러나는존재양식으로 1800년대 사람들의 일반규칙과 완전히 단절된다. 하지만 이것은 단지 현상에 그치지않고 존재와 외양의 문제, 그리고 근대성과 관련이 있는 하나의 형이상학을 실현한다. 후기 댄디즘은귀족주의의 문맥 속에서 처음 그들의 겉모습을 만드는 데 있어 근본요소였던 여성적 특징을 교묘히감추면서 정신성과 구별, 고귀함을 추구한다. 이는 어쩌면 당시 데카당스 시대 속에서 이루어진 그들의 “영웅적 행위”가 여전히 사회적 편견을 탈피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적당히 과대평가된 결과일지도 모른다. 결론적으로 말해 댄디의 귀족주의는 ‘정신적’이라는 용어 속에 여성에 대한 폄훼 혹은혐오를 포함하며, 이는 그의 모호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런 혐오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 존재의 예술이 데카당스의 시대를 지탱하는 미적 버팀목이 되었다는 사실은 간과할 수 없다. 어떤 의미에서는 댄디가 보여주듯 인간존재 자체가 본래 역설적인, 말하자면 불가해하고, 모호하며, 부조리하기 때문은 아닐까.

      • 댄디즘과 모더니티

        조은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1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3 No.2

        Le dandysme est né à la fin du XIXξme Slξcle avec un personnage absolument original qui s’appelle George Bryan Brummell. Cultivant 1’딩égance, la finesse et 1 ’originalité, celui -ci crεe un nouveau style de vie attachξe principalement au langage et à la tenue vestimentaire. Ce qui est remarquable dans le dandysme du "beau Brummell", c'est qu’il se dirige vers la rupture avec la tradition. Et Brummell apparaît comme un modeme qui se révolte contre 1 ’ordre établi et devient l' archétype des tous les dandys qui rêvent une vie esthétique et révolutionnaire. Le dandysme s'épanouit en France et commence à constituer un jeu permanent sur 1 ’être et le paraître. Jules Barbey d' Aurevilly publie en 1845 Du dandysme et de George Brummell, un essai philosophique considεré comme le premier livre qui traite en théorie le dandysme. Charles Baudelaire est un dandy qui identifie le dandysme comme le << demier acte d’héroïsme>> possible. Dans un contexte décandent, il est le héros qui affronte 1 ’usage en essayant de vivre poétiquement. Dans son po송me M on cæur mis à nu, il parle du destin du dandy qui doit vivre et dormir devant un miroir. Ce point de vue, incamé sous la forme de la philosophie du dandysme, influence ses contemporains et ses prédecésseurs. Oscar Wilde, le représentant du "new dandysm", est aussi l' incamation de la révolte. Il développe sa théorie esthétique dans Le portrait de Dorian Gray en mettant 1 ’ accent sur le style artistique tota1ement neuf, c' est-à• dire 1e dandysme. Il a confrontε à travers ses oeuvres aux rigueurs de 1a mora1e victorienne et est devenu un dandy hors du commun abso1ument révo1utionnaire. La modemité consiste tout d’abord à 1a différence. Grâce aux portraits des dandys proposés dans 1’εtude, on comprend que 1eur esprit devance 1eur temps ma1gré 1e ma1entendu de 1eurs contemporains et 1e conflit de 1eur existence elle-même. Le dandysme est donc un mouvement modeme et dans un sens d' avant-garde. Il serait aussi intéressant de trouver 1 ’esprit-dandy dans 1a société d' aujourd’hui et de définir 1e dandysme du XIXème siξcle du point de vue de 1a modemité. Key Words dandysme, dandy, modemité, nouveau sty1e de vie, portrait du dandy, héroïsme

      • 프랑스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본 초등생 대상의 상상교육

        조은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13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4 No.1

        Cette étude a pour but d’examiner 1es caractéristiques des programmes éducatifs que proposent des musées de France. Suivant 1es Statuts de 1 ’ICOM, depuis 1es années 1950, 1e mot musée a désigné tout étab1issement permanent, administré dans l'intérêt généra1 en vue de conserver, étudier, et essentiellement exposer pour 1a dé1ectation et 1 ’éducation du pub1ic un ensemb1e d' é1éments de va1eur cu1turelle . Mais, c' est depuis 1es années 1970 que 1es activités éducatives des musées se sont renforcées avec 1e mouvement de l' Animation et de 1a Nouvelle muséo1ogie avec l'idee que 1e musée doit remp1ir des fonctions éducatives pour 1es visiteurs. Les programmes éducatifs des musées en France se resument récemment en p1usieurs orientations comme s띠vants: Premièrement, 1a diversité des activités culturelles et artistiques destinés à des pub1ics, pour ce1a 1es musées se proposent aujourd’hui de sensibiliser 1e public aux arts par 1e contact clirect avec des sources d'inspiration ou de création. C’est dans des ate1iers qu'i1s comp1ètent 1eurs connaissances et obtiennent des contacts clirects avec 1es oeuvres des musées. Beaucoup de musées proposent à present un espace d’exposition et eventuellement un espace pour 1es ateliers OÙ se dérou1ent des des activit강s culturelles et artistiques. Deuxièmement, 1es musξesde France ont étab1i un partenariat avec 1es établissement sco1aires depuis 1ongtemps. Ce partenariat a favorisé 1 ’éducation 따tistique et cu1turelle dans 1es éco1es, 1es coll응ges et 1es 1ycées. 1es musées ont signé une convention qui prévoyait' l' accuei1 des pub1ics sco1aires et 1a mise en p1ace de projets éducatifs dans 1es musées nationaux. 1es musées ont mis en p1ace 1es programme d’actions qui offriraient aux enseignants et aux é1èves des situations de rencontre avec des oeuvres, soit directes, soit à distance, qui amèneraient 1es é1응ves à se construire une cu1ture personnelle à valeur universelle, et qui les aideraient à franchir spontanément les portes d’un musée. Dans cette évolution, les nouveaux liens entre musées et publics apparaissent comme déterminants. Les politiques culturelles de la France pour réaliser actions éducatives et culturelles contribuent incontestablement à faire des musεes des lieux de transmission, d' éducation et d’intégration sociale. Les politique pour la solide formation des futurs conservateurs et pour l’évaluation des visiteurs permettent aux musées d’Europe de dεvelopper et démocratiser la culture.

      • KCI등재

        ‘그리제트’를 통해 본 근대 여성 노동자의 전형 연구

        조은라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3 외국학연구 Vol.- No.64

        A grisette is a young female worker who,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ame to the city to work because she was from a poor background and had no money. She had relative elegance and was employed in places like clothing and jewelry stores, where "the eye was drawn to the seller rather than the product." The grisette can thus be seen as the first modern female worker who brought her domestic "work" outside the home and was paid according to social rules. She is also a subject who rebelled against laws and customs, and is distinguished from lorette, who, in her relationships with her lovers, exchanged money for sexual favors as a rule, in other words, 'answered her own needs'. Grisette illustrates class struggle through the "acquisition of social and economic independence," explains the "evolution" of how the female working class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at the same time reveals a society that has yet to shed its "pre-modern" appearance. In conclusion, grisette imagines a metaphysics of subjectivity, a questioning of the absolutes of the past, a break with what society and history have long imposed, and for this reason she can be defined as the first female worker in the modern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