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지 내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과 기상인자와의 관계 분석

        채희문 ( Hee Mun Chae ),조융희 ( Yung Hee Cho ),김준성 ( Jun Sung Kim ),서주원 ( Ju Won Seo ),한재문 ( Jae Moon Ha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임지 내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은 산불의 확산 및 발생에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임지 내 기상인자의 변화는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을 결정하는 요인들 중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연구는 기상인자가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산불 예보시스템의 산불기후지수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임지 내 기상인자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봄철 및 가을 산불 조심기간동안 소형기상기록장치(HOBO data logger)를 임지 내에 설치하여 매일 1시간간격으로 온도, 상대습도, 조도, 토양온도를 측정하였다.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은 봄철 및 가을철산불 조심기간동안 수목 5종(소나무, 잣나무, 밤나무, 떡갈나무, 벚나무)의 낙엽을 채취하여 건조중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임지에서 측정된 기상인자와 고사한 잎의 건조 중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임지에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봄철 및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 기상청 기상자료와 임지에서의 기상인자의 분석결과 임지와 기상청의 기상인자 온도는 봄철 10.5℃ 가을철 12.9℃ 임지는 봄철 12.07℃ 가을철 12.6℃ 로 나타났다. 특히 강우후의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은 강우량의 차이에 따라서 강우량이 적은 경우 2일 이내에 비오기전 수분함량으로 돌아오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강우량이 많은 경우는 3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dead fuel moisture contents in the forest stands are very closely related to forest fire spread and ignition. The change of weather factors in forest stands is important to dead fuel moisture contents. This was conducted to provide of basic data for korea forest fire weather index system through analysis on dead forest fuel moisture contents and weather factors in forest stands. For analysis on meteorological data, we were installed to HOBO data logger on the study area(in forest stands), Meteorological parameters (temperature(℃ ), relative humidity(%), light intensity(Lux), soil temperature(℃)) were measured with 1 hour interval on the every day during spring and fall fire danger season. Dry weighting of dead leaves of five tree(pine, white pine, beech, oak, cherry) for analysis on moisture contents during spring to fall fire danger seasons at study area was measured. As compare of weather factors of forest land and weather service station of Chuncheon. In the spring and fall fire danger season the temperature was 12.07℃, 12.6℃ in forest stands, 10.5℃, 12.9℃ in the weather service station, respectively. The change of dead forest fuel moisture contents after rain fall was similar to the previous dead forest fuel moisture contents after 2 or 3 days.

      • 전국 산불 통계와 지역별 기상인자를 활용한 지역별 산불 조심기간 구축

        채희문 ( Hee Mun Chae ),조융희 ( Yung Hee Cho ),권오경 ( O Gyung Gwon ),우남규 ( Nam Gyu Woo ),윤효식 ( Hyo Sic Yoo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우리나라의 산불조심기간은 매년 봄철 및 가을철에 전국적으로 동시에 공표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산불의 발생현황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나고 있으며, 이들은 지역의 기상학적 특징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3년까지 산림청의 지역별 산불 발생현황 자료와 기상청의 지역별 기상인자와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지역별 기상인자와 산불 발생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산불 발생 상황을 분석하여 지역별 산불 발생원인 및 특징을 파악하여 지역특성에 알맞은 산불 방지 대책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990년부터 2013년 까지 산불발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북도지역 이였으며, 지역별 산불 발생 시기는 북부지방에 위치한 강원도지역과 남부지방에 위치한 경상북도 지역은 4월에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 했다. 산불 발생과 기상 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봄철 산불 조심기간(2월~5월)동안 평균온도를 살펴본 결과 경상북도지역의 평균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대습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일조시간은 높게 나타났다. Fire danger seasons of korea are announcement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from korea forest service. Forest fire occurrence in korea are different according to local area. The differences of these forest fire occurrence are relate to local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of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on forest fire prevention plan in local level that is 16 districts (9 province, 8 metropolitan city) through to analysis on forest fire occurrence conditions(cause, characteristics) and meteorological data in local level. This study was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data and forest fire occurrence of local level using to forest fire number data of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meteorological data of KMA(Korea Meteorological Agency) form 1990 to 2013 year. In korea, most forest fire occurrence area during 1990 to 2013 year was Gyeongsangbuk-do which was most forest fire occurrence number during fire danger season(spring and fall seasons). In the regional occurrence time, April was the most fire occurrence numbers in both south site(Gyengsangbuk-do) and north site(Kangwon-do).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data and forest fire occurrence numbers, The results was shown that Gyengsangbuk-do was higher than Kangwon-do in the mean temperature and e longer than Kangwon-do in duration of sunshine, after studying fire danger seasons of Korea(February to M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