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 한국문화원의 국악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터키 한국문화원 가야금 실기강좌를 중심으로

        조유회 국립국악원 2017 국악원논문집 Vol.36 No.-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better methods of overseas’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 education as knowing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Cultural Center Overseas and using survey of students who have taken practical courses at Korean Cultural Center Turkey. Recently, young generation in Turkey is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because of drama and K-POP. A course of Korean cultural at Korean Cultural Center Turkey offers a variety of Korean cultural courses to fulfill their interests. Most of the students, who have taken gayageum practical class, have answered that it was first heard about gayageum when they have visited to learn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country of brothers. Also, they have wanted to learn gayageum because it was interesting when they listened the sound of it from performance and seminar. As of result, it showed how important local Korean Cultural Center Overseas’ roles for gugak education in overseas. Meanwhile, it has been a problem for a short period and sustained of course. Also, it has been changed instructors and teaching materials every course. However, those problems apply not only for Korean Cultural Center Turkey but also most of the practical courses at Korean Cultural Center Overseas. Because it relies on overseas traditional performing art team for temporary and Cultural School of Gugak by National Gugak Center. Thu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hould establish an organization for instructors who educate gugak in overseas to provide systematic gugak practical course by letting them stay longer in local. In addition, it should be built a system to keep methodical oversea gugak education which worldwide same courses for developing gugak and spreading Korean culture. By so doing, the gugak industry can make new occupations, also it can be led to gugak’s globalization. 본 논문은 터키 한국문화원의 가야금 실기강좌를 중심으로 문제점 및 강습생들의 요구사항을 설문조사ㆍ분석하여 해외 한국문화원의 국악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앞으로 더 나은 해외 국악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최근 한국드라마와 K-POP 등 한류의 열풍으로 터키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터키 한국문화원에서도 다양한 한국 문화강좌를 시행하고 있다. 그 중 가야금 실기강좌 강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형제의 국가’인 한국의 전통문화를 배우기 위해 한국문화원에 방문했을 때 가야금을 처음 알게 되었으며, 한국문화원의 공연과 세미나에서 가야금 소리를 듣고 관심이 생겨 가야금을 배우고 싶었다고 답변했다. 따라서 해외 국악교육에서 현지 한국문화원의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강습생들은 터키 한국문화원의 한국 전통음악강좌에 대하여 짧은 강습기간, 강습의 지속성 여부, 강습 때마다 바뀌는 강사와 교재 등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들은 터키 한국문화원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해외 국악 실기강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로, 해외 국악 실기강좌가 단기간 파견되는 해외 전통문화예술단과 국립국악원 강사파견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에 해외 국악교육을 위한 전문기관을 설립하여 해외 국악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국악강좌 프로그램과 교재를 개발하여 해외 한국문화원에 장기간 파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악의 발전과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는 전 세계 어디서나 동일한 과정의 체계적인 해외 국악교육을 지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국악계에서는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며, 나아가 국악의 세계화에 앞장설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보자 및 공교육을 위한 정악가야금 우(右)수법 교육 통일안

        조유회(Yu-Hoe Cho)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1 No.31

        현재 연주되고 있는 정악가야금의 악곡들은 연주자의 학습 경험이나 연주습관에 따라 임의로 악보를 기보하고 있어, 같은 악곡이라도 악보에 따라 수법(手法)이 다르게 나타나 정악가야금의 지도에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정악가야금의 우(右)[오른손]수법은 악곡에서 음색의 변화, 강약, 리듬, 선율진행의 방향성, 속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현재 정악가야금의 대표적인 악보인 김기수·최충웅 편저 『가야금정악』, 최충웅 편저 『가야금정악보』, 이창규 편 『가야금정악전집』, 김정자 편저 『정악가야금보』의 <만파정식지곡>의 우(右)수법을 비교분석한 후, 논리적인 체계성과 연주상의 편리성을 기준으로 초보자 및 공교육을 위한 정악가야금 우(右)수법 교육 통일안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그러나 <만파정식지곡> 한 곡의 분석만으로 기본적인 원리가 동일하고 또 어떠한 악곡에도 적용될 수 있는 우수법의 통일안을 제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모든 정악가야금 악곡의 지도를 위한 수법 통일이 되어있는 관찬악보가 편찬되어, 악보만 볼 수 있으면 누구든지 정악가야금을 제대로 배우고 익힐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Currently played tunes of the Jungak Gayageum are arbitrarily notated in consequence of the player’s learning experience and playing habit, so each palayer shows different hand technique on the basis of the different notation of the same tune. This causes a lot of confusion to the instructors. In particular, right hand techniqu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change of tone, the dynamics, the rhythm, the direction of melody movement and the spe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right hand technique of Manpajungsikjigok(萬波停息之曲) in the representative notations of the Jung Gayageum such as 『Gayageum Jungak(伽倻琴 正樂)』 co-edited by Ki-soo Kim & Choong-woong Choi, 『Gayageum Jungakjip(伽倻琴 正樂集)』 edited by Choong-woong Choi, 『Gayageum Jungak(伽倻琴 正樂集)』 edited by Chang-kyu Lee and 『Jungak Gayageumbo(正樂 伽倻琴譜)』 edited by Jung-ja Kim and to suggest the unified teaching method of the Jungak Gayageum right hand technique for the beginner and public education based on the standard of logical system and playing convenience. With this study as a momentum,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the national compilation of the notation of all Jungak Gayageum tunes in addition to Manpajungsikjigok can be made in order to instruct the unified hand technique so that the environment of learning and mastering the Jungak Gayageum to any who can read score is prepared.

      • KCI등재후보

        초ㆍ중ㆍ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정악 감상곡 비교연구

        조유회(Yu-Hoe Cho) 한국국악교육학회 2013 국악교육 Vol.36 No.36

        학교교육에 있어서 교과서는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현재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음악교과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음악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검정교과서가 적용되어 새롭게 발행된 교과서는 중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그러나 검정교과서의 내용이 출판사마다 서로 다르다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혼란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음악교과서가 단계적으로 잘 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새로운 검정교과서가 적용된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8종과 중학교 음악교과서 16종, 그리고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3종을 대상으로 각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감상 영역의 기악곡 중 정악의 내용을 비교ㆍ분석하고, 수정ㆍ보완 할 부분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정교과서가 검정교과서로 바뀌었기 때문에 교과서마다 수록곡이 달라 다양하긴 하지만 내용에 있어서 각 학년별로 어느 정도 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 <천재>와 중학교 1학년 <교학사> 교과서는 다양한 악곡을 제시하여 양적인 풍부함으로 이해를 돕고 있으나, 정악 감상곡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없어 보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평조회상이 삼현육각 편성’으로 수록된 초등학교 5학년 <금성> 교과서와 영산회상에 양금과 단소가 편성되지 않은 중학교 1학년 <금성> 교과서와 같이 국악이론에 대한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수록곡에 비하여 고등학교의 수록곡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너무 적다. 특히 <박영사>와 <태성> 교과서는 정악 감상곡의 비중을 늘려 고등학교 학생들로 하여금 정악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넓혀 주어야 할 것이다. 국악감상을 위한 학습내용이 검정교과서로 확대된 만큼 많은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음악교육의 질을 높여 학생들이 정악을 보다 잘 이해하고 감상하기를 기대한다. A textbook has an absolute effect on the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be drawn seminal attention to new textbooks applied to the authorized ones according to the 7th revised curriculum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ecause a music textbook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takes the most important par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owever, if a textbook has different contents from others, it may cause confusion to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targeting new revised music textbooks for 5th grade(3 kinds, revised in 2010), 6th grade(5 kinds, revised in 2011), 7th one(16 kinds, revised in 2010), and highschool students(3 kinds, revised in 2011), this paper aim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Jeongak 正樂 and appreciate it well than before, with not only comparing and analyzing of contents for Jeongak 正樂 which is one of instrumental piec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field each textbook contained, but also proposing a few parts to be necessarily modified and redee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new textbooks, which changed government-designated ones into authorized ones, include not only different also various contents in each textbook. The textbooks, however, may have necessity to be unified in contents assorted by school year. Secondly, new textbooks may have necessity to be redeemed, which don’t have any explanation about characteristics Jeongak 正樂 for appreciation has while it is helpful that some particular textbooks, such as from <Cheonjae> Textbook for 6th grade and from <Kyohaksa> for 7th grade, help students understand about Jeongak 正樂 presenting a variety of music pieces to give them quantitative abundance. Thirdly, as you may know that <Geumsung>’s textbook for 5th grade carried a content that Pyeongjohoesang 平調會相 is setting of Samhyeonyukhgak, and additionally, <Geumsung>’s one for 7th grade carried a content that Yanggeum and Danso were not consisted in Youngsanhoesang 靈山會相. Under those facts, I insist they ought not to be distorted about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urthly, there are a little music for highschool students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compared with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it is suggested for <Pakyoungsa> and <Teasung> textbook to make it a lot of weight in Jeongak 正樂 for appreciation in textbooks so that they can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approach it familiarly. Taking this opportunity that learning cont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appreciation was extended to the authorized textbook, I anticipate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Jeongak 正樂 and appreciate it well than before, in company with that revised curriculum, through a lot of studies, enriches the quality of traditional music classes that have been done in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these days.

      • 양금의 수용

        조유회(Cho Yu-Hoe)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한국전통음악학 Vol.- No.6

        강세횡(姜世皇)의 『표암유고』(彪庵遺稿) 중 「서양금」(西洋琴), 이규경(李圭景)의 『구라철사금자보』(歐羅鐵絲琴字譜) 서문(序文),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중 「동란섭필」(東蘭涉筆)과 「망양록」(忘羊錄), 홍대용(洪大容)의 『담헌서』(湛軒書) 중 「악기」(樂器), 박종채(朴宗采)의 『과정록』(過庭錄)중 「연암(燕巖)과 담헌(湛軒)의 풍류」, 성대중(成大中)의 『청성집』(靑城集) 중 「기유춘오악회」(記留春塢樂會) 등에 실려 있는 양금에 관한 기록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 후기 문인 지식층인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국내에 수입, 수용, 연주된 양금은, 선비들의 풍류음악인 정악연주에 편입됨으로써, 사랑방 중심의 음악회 문화인 율방(律房)의 음악에서 중심악기로 자리를 잡았다. 또한 성대중(成大中)의 ‘기유춘오악회’(記留春塢樂會)에서 알 수 있듯이 홍대용(洪大容), 홍경성(洪景性), 이한진(李漢鎭) 등의 실학자들과 박보안(朴普安) 등의 장악원(掌樂院)의 악사, 중인인 김억(金檍)등이 함께 어울려 양금, 거문고 등을 연주함으로써 신분을 초월한 음악회를 열었다는 점은 실학지들이 악회(樂會)를 통한 대동(大同)사회구현을 실천하였던 것은 특이할 만한 일이다. 그리고 실내악 편성인 가야금, 거문고, 세피리, 대금, 해금, 장고 이외에 양금과 단소를 첨가시켜 영산회상 등의 합주와 양금과 단소, 양금과 거문고, 양금과 해금의 병주(倂奏) 등의 연주형태를 풍부하게 하는 등 양금? ?조선후기 음악문화에 새로운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ing the documents of Yanggeum that were recorded in ancient musical notes, Yanggeum was introduced and played by the realists who were literary intellectuals and influenced the new trend of musical culture in the lat! e Chosun Dynasty. Namely, as Yanggeum that was not played in former days was entered into court-music performance of classical scholars' elegant music, it became a central musical instrument in a small concert of music-lovers' association that was held in a reception room of a private residence. Also, Kiryuchunoakhoe(記留春塢樂會) of Sung Daejung shows that the realists gave a concert in cooperation with musicians of Jangakwon (掌樂院) and middle-class people regardless of social status, and it is noteworthy to find that the realists tried to execute a harmonic society through music-lovers' association. And, a chamber orchestra that was composed of Kayageum, Keomungo, Sepiri, Daegeum, Haegeum and Janggo added Yanggeum and Danso and performed an ensemble of Youngsanhoesang, and Yanggeum diversified the performing forms of music by means of being pla! yed with Danso, Keomunga ot Haegeum.

      • KCI등재

        조선후기 실학자의 자주적 양악수용

        조유회(Cho Yu hoe)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20 No.-

        조선후기에 일어난 사회변화와 청(淸)을 통한 서양문물의 소개는 조선의 학자들의 사상과 세계관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18세기의 실학자들은 여러 차례의 연행(燕行)을 통하여 노출된 청의 문물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많은 서적과 다양한 기물들을 조선으로 들여오게 된다. 서양음악에 대한 지식과 서양의 악기인 양금(洋琴)도 바로 그러한 예이다. 본 논문에서는 북학파가 청에서 새로 들여온 서양의 악기인양금에 주목하여 한국의 양악수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서양음악의 이론이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것은 조선후기의 실학자들이 중국에서 들여온 한역(漢譯) 서학서(西學書)를 통해서이며, 서양음악의 오선보·계명창법·음자리표 등 서양음악의 기초이론들은 홍대용(洪大容)·이규경(李圭景) 등에 의해 동양적 세계관으로 재해석되었다. 홍대용과 이규경은 서악(西樂)이론이나 서양 악기의 체계를,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음양(陰陽)·강유(剛柔)·삼재(三才) 등의 동양적 세계관에 따라 재해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동양, 특히 중국의 음악 이론이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하거나 서양의 음악 이론을 부정하기 위함이 아니라, 동양과는 다른 체계를 지닌 서양음악을 동양적 세계관을 통해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주체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홍대용과 이규경이 실학자로서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문방법으로 서양음악을 수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서양의 악기인 양금은 영조 초에 청나라를 왕래하던 실학자들과 궁중 악사들에 의해서 수용되어, 기존의 악기와 함께 영산회상·가곡 등의 우리 음악에 연주되었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서양음악의 출발점을 개신교의 선교가 시작된 1880년대 초로 보는 설보다 빠른 것이다. 그런데 악기와 악곡이 함께 들어온 여느 서양음악의 수용과는 달리 양금은 악기만을 들여와서 우리나라 음악에 맞게 조율하여 기존의 전통악기와 함께 연주하였기 때문에 서양악기의 한국적 수용이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것은 다른 동아시아권의 국가들에서는 서구세력의 아시아 진출 및 침략, 근대국가의 형성, 기독교의 선교활동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양음악이 수용되었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실학자들의 학문적 관심에서 수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한국전통음악의 주체적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 주목해 볼때, 홍대용·이규경 등 조선후기 학자들의 실학적 태도는 바로 시대정신을 이끌고 노력했던 그들의 주체적인 철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Music in Korea in association with yangkeum(洋琴). Social chang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an influx of the Western culture through the Qing dynasty, China served as a momentum to change the thoughts and worldviews of Chosun s Confucianists. Especially, in the 18th century, the Western culture including music had been introduced to Chosun by envoys(yeonhangsa 燕行使) to china. This is earlier than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Protestant in 1880 s which generally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Western Music in Korea.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culture in other East asian countries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expansion policy and invasion of the Western countries, formation of modern states and missionary work of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Chosun, it was characterized that the Western culture was adopted because of academic interest of Sil-Hak-Ja. In addition, Sil-Hak-Ja brought in the yangkeum(洋琴) from the Qing dynasty and played it with existing musical instruments in concert after tuning to make it suitable for our traditional music. This was different from general acceptance of the Western music, and it was significant in terms of Korean way of acceptance of the Western musical instruments.

      • KCI등재후보

        현행 종묘제례악의 악기편성에 관한 소고

        조유회(Yuhoe Cho) 한국국악교육학회 2012 국악교육 Vol.34 No.34

        본 논문은 종묘제례악의 등가와 헌가에서 연주되는 악기편성을 조선 초기, 조선 후기, 현행 순으로 비교한 후 현행 종묘제례악의 악기편성에서 전통 현악기를 비롯한 향악기와 당악기 및 아악기가 배제된 원인을 분석하여, 현행 종묘제례악이 향악기와 당악기 및 아악기를 고루 갖춘 조선초기의 종묘제례악현으로 복원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초기 세종조에는 유가의 예악사상에 의하여 중국의 아악기를 중심으로 팔음을 구비하여 종묘제례악의 악현을 진설하였고, 세조조에는 세종조의 사상을 이어받았으나 우리나라 고유의 향악기와 당악기를 중심으로 팔음을 구비하여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악현을 진설하였으며, 성종조에는 세조조의 악현을 정리하여 이미 향악화가 되었음을 『악학궤범』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선후기에는 전란의 소용돌이와 주권을 빼앗기는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물량적인 측면에서는 조선초기보다 다소 위축되어 보이지만 향악기, 당악기, 아악기를 적절하게 조화시킨 면모를 드러냈다. 셋째, 현행 종묘제례악의 악기편성은 세조조로부터 내려오던 대부분의 현악기를 비롯한 향악기와 당악기 및 아악기는 배제하고 아주 기본적인 관악기만으로 편성되어 연주되고 있다. 이러한 현행 종묘제례악의 악기편성은 우리문화말살정책에 의하여 최소로 축소되어 종묘제례악이라는 그 명맥만을 유지하던 일제강점기의 악현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기 때문에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종묘제례악의 등가에 우리나라 고유의 현악기인 가야금과 현금이 빠진 경우는 일제강점기뿐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후기 종묘제례악 악현의 축소는 전란으로 인한 악기의 파손과 분실 및 악공과 악생의 감소, 종묘의 화재로 인한 종묘제례의 중단, 조선왕조의 몰락으로 인한 궁중음악의 쇠퇴, 일제강점기 우리문화말살정책에 의한 악사감소 등이 원인이었기 때문에, 현행 종묘제례악에 현재 연주되고 있는 가야금, 거문고 등의 현악기를 비롯한 전통향악기와 월금, 대쟁, 당적 등의 당악기 및 인귀의 제사에 필수악기였던 노고, 노도 등을 비롯한 아악기를 모두 진설하여, 종묘제례악의 원형과 장대한 규모를 갖춘 조선초기의 악현으로 복원되어 명실공이 세계 속의 무형문화유산으로 다시 태어나기를 기대한다. This examines the changes of Chongmyo Cheryeakhyon(宗廟祭禮樂懸) through the early Chosun period and the late Chosun period and until now. Early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musical theory of Confucianism and its meaning is connected to the context of the thought of Confucian music. As a result that this musical theory of Confucianism that was immanent in the instruments and music of Palum(八音), it was adopted and used independently. The Palum(八音) was equipped with Dungga(登歌) and Hungga 軒架 and was edited in a new way. Early Chosun Dynasty’s Chongmyo Cheryeakhyon(宗廟祭禮樂懸), which Koreanized Cheryeakhyon(祭 禮樂懸), is evidence of the independent assimilation of Chinese musical the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a scale of Chongmyo Cheryeakhyon(宗廟祭禮樂懸) made in the late Chosun period was diminished as compared with that made in the early Chosun period. It is pointed out that the Chongmyo Cheryeakhyon(宗廟祭禮樂懸) values had a continued existence through this long and difficult time. But the instrumentation of Chongmyo Cheryeak(宗廟祭禮樂) was distorted by changes ma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biggest change was the disappearance of the stringed instruments that had always been included in the instrumentation of Dungga(登歌) and that all Koreans had been very proud of. I suggest that current Chongmyo Cheryeakhyon(宗廟祭禮樂懸) should be restored to that of early of Chosun period.

      • KCI등재후보

        홍대용과 이규경의 자주적 음악사상

        조유회(Yu-hoe Cho) 한국국악교육학회 2010 국악교육 Vol.30 No.30

        조선전기에는 조선의 음악을 기본으로 삼지 않고 중국의 음악문화를 모범으로 삼은 화이관(華夷觀)에 의한 음악이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일어난 사회변화와 17세기 전반 명(明)나라와 조선에 가해진 오랑캐[淸]의 침략과 명(明)의 멸망은 명(明) 중심의 중화주의적 세계관을 근본적으로 흔들어 놓았고, 이것은 ‘조선은 곧 중화(中華)’라는 조선중화주의 의식으로 문화적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18세기에는 청나라를 왕래하던 연행사(燕行使)들에 의해 서양문물이 들어오게 되자, 조선에서는 중국 이외에 다른 문명국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조선이 중국을 대상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홍대용과 이규경 등의 일부 실학자들은 각 지역마다 음악문화가 다르고 시대마다 음악양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더 이상 회이적 예약관이 조선에 표준이 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조선 중심의 새로운 음악문화를 창달하자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홍대용은 중국의 노래와 조선의 노래가 곡조의 차이는 있겠지만, 그로 인해 어느 것이 옳고 그른지 판단해서는 안 되며, 조선의 풍속이 중국과 다르다는 이유로 조선의 노래가 그르다고 해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음악은 화이(華夷)의 구별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규경 또한 각 나라마다 그 나라 고유의 독자적인[自] 민족음악문화를 형성하고, 독자적인 문화제도에 따라 독자적인 음악문화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 나라마다 특성에 맞는 음악이 있으며 음악에 화이의 구별이 있을 수 없고, 조선도 중심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홍대용과 이규경 등의 일부 실학자들은 중국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조선 중심의 자주적 음악사상을 펼쳤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ackground, causes,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how activities of new music culture were accomplish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Social chang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an influx. of the Western culture through the Qing dynasty, China served as a momentum to change the thoughts and worldviews of Chosun's Confucianists. Chosen's music was influenced by Sinocentrism in the early days. However, the differences of music culture by regional groups and the changes of music style through the ages made Sil-Hak-Ja of Hong, Dae-Yong and Lee, Kyu-Kyuog recognize that musical view of Sinocentrism could not be the standard of Chosen's music and that the development of new omsk culture of Korean-centrism should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