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이(程頤) 역학(易學)에 대한 왕부지(王夫之)의 비판적 수용

        조우진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4 No.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정이의 역학이론을 왕부지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킨 논리와 그 근거를 살피는데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도(道) 개념의 차이다. 정이의 도(道)는 형이상학적 원리이며 사물의 존재근거이기 때문에 불변의 법칙이지만, 왕부지의 도(道)는 형이하학적인 현실세계 속에 내재해있는 것으로 시대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둘째, 변화(變化)의 이론이다. 음양(陰陽)의 동정(動靜)을 논의할 때, 정이는 고요함을 일시적인 정지로 보지만 왕부지는 고요함을 움직임이 미미한 기미(幾微)와 같다고 본다. 셋째, 체용(體用)의 논리이다. 왕부지는 도(道)와 변화(變化)를 설명하는 논리인 체용론(體用論)에 대해 정이의 체용일원(體用一源)을 수용하면서, 본체를 기(器)로 보고 작용을 도(道)로 보는 기체도용(器體道用)을 주장한다. 넷째, 물극필반(物極必反)의 원칙이다. 이것은 정이가 「서괘전(序卦傳)」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필연성을 강조한 것이지만, 왕부지는 변화를 설명하는 하나의 방식일 뿐 필연적인 법칙성을 가질 수 없다고 본다. 다섯째, 수시취의(隨時取義)의 이론이다. 이것은 정이가 『역』의 괘효사를 해석하는 측면에서 말한 것이지만, 왕부지는 불가위전요(不可爲典要)를 주장하여 천지의 변화나 인사의 측면에까지 확장시켜 일정한 법칙이 될 수 없고 어느 한쪽에 치우칠 수 없다고 본다. 여섯째, 점역(占易)과 학역(學易)의 문제이다. 정이는 『역』을 의리적으로 해석하여 학역(學易)의 측면에서 『역』을 깊이 음미하고 연구하여 그 참뜻을 파악해야 한다고 보지만, 왕부지는 ‘점역(占易)과 학역(學易)이 하나의 이치’라는 논리를 주장하면서 학역(學易)의 입장을 더욱 강조한다. 이상에서 볼 때, 왕부지는 정이의 역학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의 역학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관철시켰다. 즉 그는 정이의 의리역학의 논리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역철학적 기반인 도(道) 개념의 차이를 통해서 자신의 역학체계를 완성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AlN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BN 첨가 영향

        조우진,오세훈,손인진 대한금속·재료학회 2019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7 No.5

        Aluminum nitride (AlN) has several attractive properties includ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close to that of Si and low density.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a promising packing material and substrate for high power integrated circuits. However, its low fracture toughness at room temperature limits its wide industrial application. To improve its mechanical properties, the approach generally utilized has been to fabricate and add nanostructured materials as a second phase, to make composites. In this study highly dense nanostructured AlN and AlNBN composites were sintered for two minutes at 1400 oC. The effect of B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fracture toughness and hardness)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AlN-BN composites was investigated. The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of AlN, AlN-1 vol% BN, AlN-3 vol% BN, AlN-10 vol% BN were 943, 1455, 1147, 1110 kg/mm2 and 4, 5.7, 5.5, 5.4 MPa·m1/2,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BN to AlN simultaneously improved the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of the AlN-BN composite by deterring crack propag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BN can be an effective reinforcing material to improve the fracture toughness and hardness of AlN composites.

      • KCI등재

        펄스 전류 활성 소결에 의한 4YSZ-BN 복합재료 제조와 기계적 성질

        조우진,김성은,오세훈,손인진 대한금속·재료학회 2019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7 No.12

        4YSZ is generally used in fuel cells, oxygen sensors, hip and knee joint replacements and thermal barriers because of it excellent properties, including low density, high biocompatibility, good resistance against corrosion, hard phase and high melting point, and high ionic conductivity. However, 4YSZ with large grain has low resistance to abrasion and wear because of its low fracture toughness and low hardness at room temperature. The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of 4YSZ can b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a second hard phase to form a nanostructured composite. Nanostructured material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ecause they possess a high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Recently, nano-crystalline YSZ powder was fabricated by several methods. However, nanosized sintered YSZ has not been obtained due to fast grain growth during the conventional sintering method. In this study, nanostructured 4YSZ-BN composites with nearly full density were achieved using pulsed current activated sintering for 80 sec at a pressure of 80 Mpa. The addition of hexagonal BN to 4YSZ caused the nano scale structure to be retained in the ceramic by deterring grain growth. The crystalline size of the 4YSZ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BN. The addition of BN to 4YSZ greatly improved its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 KCI등재

        일신재 정의림의 역할과 위상 : 한말 기호학파의 논쟁을 중심으로

        조우진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호남학 Vol.0 No.6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le and status of Il-Shin-Jae(日新齋) Jung Eui-rim(鄭義林) in the internal debate of Kiho School(畿湖學派) at the late Joseon Korea. Jeong Eui-rim encountered the Neo-Confucianism of Lee Yi, Kim Jang-saeng, and Song Si-ye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rom Kim Jeong-muk to Song Chi-gyu, from Song Chi-gyu to Park Yeong-ju before meeting Ki Jung-jin. In particular His academic and ideological base lies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Lee Yi, the master of the Kiho School. Jung Eui-rim plays a role as a pivotal bridge in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the controversy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sets the stage for Honam to become the center of the Neo-Confucian debate. His status is that he established a Li(理) centered system of neo-confucianism blending Lee Yi and Ki Jung-Jin rather than constructing a new academic theory and regards the system as a rationale for the real world. 본 논문은 한말 기호학파 내부 논쟁에서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 1845∼1910)의 역할과 위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정의림은 기정진을 만나기 전에 김정묵(金正默) → 송치규(宋穉圭) → 박영주(朴永柱)로 이어지는 사승관계 속에서 이이・김장생・송시열의 성리학 이론을 접했다. 특히 그의 학문과 사상적 기반은 기호학파의 종주인 이이의 이론체계에 있다. 정의림은 20세기 초 논쟁의 발단과 전개 과정에서 중추적인 가교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호남이 성리학 논쟁의 중심지가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의 위상은 새로운 학문이론을 구성하기보다는 이이와 기정진을 융합하는 리(理) 중심의 성리학 체계를 확립하여 현실 세계에 대응하는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는 점에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

        조우진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2 국제이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발전(development)’ 개념에 대한 이해와 비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지속가능발전은 왜 국제사회의 의제가 되었는가?’라고 물었을 때, 그 것은 발전에 대한 회의(懷疑)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속가능발전’ 을 그 물음에 대한 하나의 대안(代案)으로 이해하고, 국제사회에서 가장 널 리 인용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의 정의(定義)와 함께 세계환경발전위원회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WCED)가 제시 한 두 가지 핵심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이 지구사회의 윤리적 규범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렌즈(ESD Lens)’라는 은유(隱喩)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 역시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윤리적 규 범을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윤리적 성찰을 요청하고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