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금광명경』의 여신들과 한국불교에서의 그 신앙문화

        조승미(CHO, Seung-mee)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9 No.-

        『금광명경(金光明經)』은 동아시아 불교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 경전에 많은 불교여신이 비중있게 등장한 점은 거의 주목되지 않았다. 이 경전의 주요 여신은 변재천(辯才天), 귀자모(鬼子母), 길상천(吉祥天), 견뢰지신(堅牢地神) 그리고 보리수신이다. 이들은 모두 인도의 여성 신격들인데, 각기 다양한 시점에서 불교에 수용되어 신앙되었다가 이 경전에서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중에서 일차적으로 한국에 있어서 이들 여신신앙의 문화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우선, 『삼국유사』에서 유일하게 언급된 것은 변재천 설화인데, 지혜를 상징하는 여신의 형태가 보존되고, 산신형태로도 나타난 점은 『금광명경』, 특히 『합부금광명경』의 영향으로 보인다. 『금광명경』에서 변재천 신앙은 가장 중시되었지만, 이후 별다른 신앙문화가 형성되지는 않았다. 고려시대 금광명경도량과 공덕천도량에서는 공덕천(길상천) 신앙을 엿볼 수 있는데, 금광명경도량은 천태의 금광명참법으로 생각되며 공덕천이 중심인 의례였다. 공덕천도량은 주로 기우나 전염병 극복의 목적에서 강화 천도 시절에 열렸으며, 『다라니집경』 「공덕천법」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지지(持地)보살 즉 지신이 삼장(三藏) 속에 포함되면서 수륙재 의례에서 중시되었다. 지지보살은 천도(天道)‧신도(神道)‧명도(冥道) 중 신도의 수많은 신들을 이끄는 보살로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지장경』과 『금광명경』에서 지신이 수명연장의 역할을 하는 내용과 수륙재의 성격이 연결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선말기에는 104위 신중도라고 하는 새로운 신중신앙 형태가 나타났는데, 그 출처가 되는 백파긍선의 『작법귀감』에 『금광명경』의 5여신이 함께 포함되었다. 이들은 ‘20제천(諸天)’ 형태로 이어져 왔으며, 그 전거는 송대 천태계 승려 행정(行霆)의 『중편제천전(重編諸天傳)』이었다. 한국에서 『금광명경』 여신 신앙은 고려부터 조선 말까지 지속되었다. 개별신앙은 공덕천이 가장 성행했으며, 지신이 높은 위상으로 수륙재에서 중시된 것이 특징이다.『 금광명경』 여신이 포함된 의례 형태는 중국 천태학파의 다양한 의례와 원·명대에 성행한 수륙재 의식집에서 확인되었다. 한국의 불교여신 신앙은 도상이 남아있지 않으며 민중화된 양상이 없어 존재감이 매우 희미하지만, 백파의 신중의례를 통해서 이들이 중시된 전통이 다시 현대 한국 불교문화에까지 이어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Golden Light Sūtra 金光明經 is one of the major sutras which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Buddhist culture in East Asia. However, there as been almost no mention in previous research that notes the sutra includes quite a number of Buddhist goddesses. We meet Sarasvatī, Hārītī, ŚrīLakṣmī and Pṛthvī, and the Goddess of Bodhi Tree in this text. All of them were Indian female deities who were respectively accepted into Buddhism at different times and eventually appeared all together in this sūtra. Comprehensive acceptance of Hārītī, Pṛthvī and ŚrīLakṣmī is shown from the early Buddhist texts to the appearance of Mahayana, whereas Sarasvatī started to appear in rather later times. Yet, Sarasvatī is regarded as very important in the Golden Light Sūtra. Originally she was the Hindu goddess of river, music and knowledge, being depicted as the goddess playing the veena. In this text, however, she shows the magnificent power to defeat enemies or to eliminate the terror of wars. This paper discuss how the worship of these deities has developed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particularly in Korea. Sarasvatī is mentioned in two stories included in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where she is described in association with the Lotus Sūtra and Manjusri, the symbol of wisdom, and depicted as a mountain spirit or an old lady. Unfortunately, there are no later records on Sarasvatī in Korea. Tantric state rituals were frequently held in the Goryeo dynasty, of which there were several held for ŚrīLakṣmī. These were mostly prayers for overcoming national crises such as drought or infectious disease. Goddess of Earth (Pṛthvī) worship also distinctly features in Korean buddhism. In fact, she turned into a significant bodhisattva in popular Buddhist ritu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other two bodhisattvas. Here, she saved forlorn spirits stuck in limbo without descendants to perform memorial services for them. The five goddesses of the Golden Light Sūtra finally appeared all together by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Painting of 104 Guardian Deities, whose new members were those of a different Buddhist Pantheon than found in traditional Hwaeom deities. It was based on the Chinese text, Zhongbian zhutian zhuan 重編諸天傳, that presented the formation of Buddhist deities in the 12th century. The worship of these female deities in Korea shows low popularity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n East Asia, despite being called upon in times of national crisis. They are characterized by having been worshipped only individually and intermittently, and were only put together in relatively modern times.

      • KCI등재

        『삼국유사』의 구도 설화와 티벳 밀교 전기문의 비교 -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조승미(Cho, Seung-M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100

        『삼국유사』의 다양한 설화 중 불교 내적으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성불을 위한 구도 설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중에서는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에 있어서 다른 문헌 속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독특한 특성이 있다. 대표적으로 노비 욱면과 같이 여성이 성불하여 날아간다던가, 원효나 노힐부득, 달달박박 같은 남성 구도자가 여성으로부터 분별의 눈을 시험받는 이야기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유사』 구도 설화 속에서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을 분석하고 이를 티벳 밀교의 전기문과 비교하여 그 유사성을 검토해 보았다. 검토된 문헌은 아바야닷따(Abhayadatta)의 전기문과 따라나타(Tāranātha)의 저술들이다. 티벳 밀교 문헌은 『삼국유사』와의 연관성이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이 문헌들이 『삼국유사』와 역사적인 영향 관계가 있음을 논증하는 것은 아니며,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에 한정하여 그 내용에 있어서 유사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은 3가지 주제로 분류하였다. 첫째, 깨달음을 얻은 여성이 하늘로 날아오른 이미지인데, 여성 노비 욱면과 마니바드라(Maņibhadrā)를 통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분별의 시각을 시험하는 여성으로서,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그리고 관음을 친견하지 못한 원효 등이 전형적인 사례에 해당하고, 이에 해당하는 내용은 붓다구햐와 붓다샨띠, 그리고 아바야까라굽타의 전기에서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는 남성 구도자의 조력자로서, 아내와 어머니 그리고 여신이다. 광덕과 조신의 아내, 진정의 어머니 등의 모습을 티벳 밀교 전기문에서 사라하, 띨로빠의 아내, 그리고 깜발라의 어머니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구도를 돕는 여신들은 『삼국유사』에서는 변재천녀, 관음보살, 티벳 문헌에서는 주로 다끼니들이었다. 『삼국유사』 구도 설화에서의 이와 같은 여성 이미지와 역할은 티벳 밀교 전기문에서 각각 유사한 내용이 발견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유사성은 『삼국유사』의 구도 설화가 티벳 밀교 수행과 공유하는 특성을 배경으로 한다고 추론된다. 즉, 낮은 신분의 수행자들, 세속과의 관계가 중요시되는 재가주의, 그리고 성취자들의 신비한 능력 강조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의 새로운 역할론을 포함한 유사한 이미지들의 함의를 고찰하였다. The Samgukyusa contains various tales, but among them, the tales of enlightenment are considered to occupy the most important proportion within Buddhism. These tales have a unique characteristic rarely seen in literature with different images and roles of women. Representatively, there are stories like Uk-myeon where an enlightened woman fly up into the sky, and male ascetics such as Wonhyo, Nohilbudeok, and Daldalbakbak are tested for enlightenment by woman. In this study, women’s image and role in the tales of enlightenment of the Samgukyusa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biography of Tibetan Buddhism to examine the similarities. The literature reviewed include the biographical text of Abhayadatta written in the 12th century and the writings of Tāranātha compiled in the 17th century. Although the Tibetan esoteric literature rarel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gukyusa, the Tibetan esoteric texts, featuring low-status achievers, the mystical abilities of Tantric yoga practitioners, and the high status of women, share the orientation of the Samgukyusa. However, this study’s aim is not to argue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mgukyusa and Tibetan esoteric literature, but to confirm that there are similarities in Buddhist literature when compared to the two cultures, limited to womens images and roles. Womens images and roles are classified into three themes. First, the image of an enlightened woman flying into the sky; second, the tester of mens capacity for enlightenment; and third, the case of a wife, mother, and goddess as a facilitator to mens enlightenment. Subsequently, similar contents were confirmed in the Tibetan esoteric texts related to the subject,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불교의 여신 마리지천에 대한 동아시아의 신앙 문화

        조승미(Cho, Seung-M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5

        마리치(Mārīcī)는 불교의 전쟁의 여신으로서, 인도와 티벳 뿐 아니라, 동아시아에서도 일찍부터 관련 경전과 도상이 소개되면서, 다양하게 그 신앙이 전개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과 한국 일본 등에서 마리치가 어떤 내용으로 신앙되었고 그 특징이 무엇인가 고찰하고자 하였다. 중국에서는 마리지천 경전이 여러 종류가 번역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은 『다라니집경』에 속해 있는 『마리지천경』과 8세기 불공 삼장이 번역한 경전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송대 천식재가 번역한 『대마리지보살경』 등이다. 마리치 신앙이 중국 당나라 왕실에서 시행되도록 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불공 삼장이었다. 이후 고려 왕실에서는 이 문화를 수요하여 여러 가지 재난을 막기 위해서 마리지천 도량을 개설하였다. 그런데 고려의 강화 천도 이후에는 마리지천 도량이 개설되지 않았고 묘통사 행차가 더 빈번하게 이루어졌는데, 본 고에서는 그 이유를 경전별 마리지천의 특성 차이와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즉, 대몽항전 시기에는 전쟁의 여신 성격이 강한 천식재본 마리지천 신앙의 요구가 더 컸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 송대 천태종 승려들은 마리지천을 불교의 주요 신격에 공식적으로 포함시켰는데, 소위 20제천이 그것이며, 이에 대한 의례를 정기적으로 시행했다. 조선 후기 불교의례집 『작법귀감』에는 이것이 반영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에서의 마리지천 신앙은 진언종과 임제종, 법화종이 그 신앙 유포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세에는 특히 무사들의 수호신이자 전쟁승리의 신으로서의 신앙이 성행하였다. 동아시아 마리지천 신앙문화 중 흥미로운 점은 중국에서는 도교의 여신 두모(斗母)와 융합되고, 일본에서는 신도의 신이 되면서 다양하고 세속적인 성격을 담지한 민간신앙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Mārīcī is known as a goddess of war in Buddhism, whose cult has been developed diversely not only in India and Tibet but also in East Asia with the earlier introduction of the scriptures and images related to her.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what is contained in her cult in East Asia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focusing on its unique characteristics. Hence diverse scriptures related to Mārīcī have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representative ones including the Marishten sūtra in the Collected Dhāraṇī-sūtras (陀羅尼集經), the texts translated by Amoghavajra (不空) in 8th century, and the Exalted Bodhisattva Mārīcī(大摩里支菩薩經) translated by Tiān Xīzāi (天息災) in the Song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the Mārīcī cult in the court of Tang dynasty in China was greatly due to Amoghavajra (不空). Hence the court of Goryeo in Korea began to hold the Marishten rituals actively to avoid various disasters, inheriting the cultural aspects of the cult from China, especially at the uniquely appointed temple of Myotongsa. Marishten rituals, however, were not held after the period of Goryeos opposition to the Mongol invaders, whose reason might found in the difference of the kinds of the scriptures related to Marishten. In other words, the rituals were based upon the Mārīcī cult before the translation by Tiān Xīzāi, while his translation reveals typically strong traits of the warrior goddess. Monks of the Tientai Order in Song dynasty in China included Marishiten officially in 20 major Buddhist deities, holding the rituals regularly, whose continuity is observed in their inclusion in the Buddhist ritual tex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Korea. Lastly, in Japan, Marishiten has been worshipped as a guardian of warriors and as a goddess for victory at war, whose remains are still visible today. Most interestingly, Marishiten has been synthesized with Doumou (斗母), a Daoist Goddess, in China, while she has become an object of folklore cults with rather secular characteristics by transforming herself into a Shinto kami in Japan.

      • KCI등재후보

        ‘원형’에의 의지와 동아시아 근대불교

        조승미(Cho, Seung Mee) 한국불교연구원 2010 불교연구 Vol.32 No.-

        백용성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근대 한국불교의 근대성 평가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전통의 이분화 구도를 탈피하고, ‘근대지향’의 관점에서가 아닌 ‘근대를’ 반성적으로 분석하는 관점에서 백용성과 메이지 말기 일본 불교의 키요자와 만시(淸澤滿之)의 사상과 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용성의 선풍진작활동 시기부터 1930년대 대각교 운동에 이르기까지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선종(禪宗)’으로의 귀원(歸源)의지였다. 키요자와 만시의 정신주의 운동의 경우 정토진종 종조 ‘신란(親鸞)’의 타력신앙을 원형으로 한 것이었다. 이들은 원형을 향한 자신들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독자적인 종교실험을 시행했다. 한편, 이들의 원형의지와 이를 둘러싼 담론은 근대 종교지형이 세속화(世俗化:secularization)와 성화(聖化:sacralization), 혹은 사사화(私事化:privatization)와 사회화로 분절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종교의 세속화와 그 대극의 성화는 근대 종교일반의 특징이었는데, 용성의 활동을 평가한 당시 사회적 담론의 예를 통해, 한국불교는 ‘종교’범주에 포섭되어 가면서 사사화와 사회화로 이분된 근대종교 지형 한 가운데에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신앙본연의 영역을 구축하고자 했던 키요자와의 입장은 근대 종교의 이분화 속에서 사사화에 충실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더 나아가 종교의 사회적 역할론과 세속적 관점 등에 강한 저항을 보이며 비판하였는데, 이것은 키요자와 시대의 불교가 세속화를 본질로 하는 근대화가 심화되었음을 반증한다. 이에 비해 용성은 세속화문제에 있어서 조금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계율문제에 있어서 세속화에 강한 거부를 보인 용성의 태도는 사회여론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즉, 사회와 불교계 내부가 세속화에 대한 의지가 더 높았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용성은 ‘자(自)’의 내적인 깨달음이 ‘타(他)’(사회, 민족)에게로 확대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사회화에 관여하였다. 이처럼 용성과 키요자와 만시가 보여주는 원형의지는 근대화 정도의 맥락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원형’에의 의지는 종교의 ‘근대적’ 분열 속에서 형성된 세속화에 저항하는 또 하나의 ‘근대적’ 현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근대에 불완전하게 적응한 불교로 보이기도 했던 이들의 사상과 활동은 역설적으로 그 근대의 ‘시선’이 불완전함을 알려주고 있다. Korean Zen Master, Yong-Sung Baek(白龍城, 1864-1940) and Japanese Buddhist thinker Manshi Kiyozawa(淸澤萬之, 1863-1903) both advocated buddhist reformation, and endeavored to realize their each ideal buddhism. By the way, we can see the original directivity pattern in their thought and practice. In Yong-Sung's case, his Daegaggyo(大覺敎) movement as buddhist reform was oriented towards Zen sect(禪宗) especially Linji school(臨濟 宗) tradition. Kiyozawa was willing to recover Shinran(親鸞)'s teaching as the root of Jodo Shinshu(浄土真宗), that is the faith characterized by the complete dependence on Amitabha Buddha. The national and social environment, the condition ofbuddhist community, the character of buddhist tradition they was based on respectively, educational background,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between Yong Sung and Kiyozawa, they have one thing in common, that is, a will to restore buddhist tradition. Both of them thought that returning to each original form was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response to modern social and religious situation. They all showed resistance to secularization of modern buddhism. Kiyozawa's Spiritualism(精神主義) was more aggressive to secular moderization, compared to him, Yong Sung wished that the duties of modern religion were fulfilled through the Zen tradition restored. Sometimes, their response attitude toward modern religion have been criticized for anti moderization, namely, conservatism. But the other way, the problem of buddhist modernization is revealed by their voices and actions. Yong Sung and Kiyozawa are need to be regarded as another part of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 KCI등재

        근세 후기 일본 사회의 명목금 대부 사칭 현상 ― 18세기 후반 오사카와 교토를 중심으로 ―

        조승미 ( Seung-mi Cho ) 수선사학회 2021 史林 Vol.- No.76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the Myōmoku-kin loan in Osaka and Kyoto in the late 18th century. According to the law of the Tokugawa Japan, it emphasized that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n financial dispute. But the Myōmoku-kin loan run by the temple had an absolute advantage in the lawsuit, that was guaranteed by the Shogunate. As the examples of Osaka and Kyoto show, it was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in the handling of the lawsuit in the Machi-bugyōsho. This seems to have led to the prevalence of the loan. It is important that this is also the result of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authentic loan. Those who wanted to take advantage of the loan and the loan manager who wanted to make additional profits from it were together producing inauthentic loan.

      • KCI등재

        특집 2 : 근대 중국불교의 부흥운동과 여성

        조승미 ( Seung Mee C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 No.-

        본 논문은 근대 중국의 불교부흥운동이 여성에게 어떤 조건을 제공하고,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하고, 한편으로는 불교부흥에 있어서 여성들의 주체적인 면을 발굴하여서, 근대불교와 여성의 관계 혹은 불교여성에게 근대는 어떤 의미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에 대한 불교부흥운동의 성격은 청말기 음란한 비구니에 대한 정치세력의 조사와 처벌사건이 상징하듯이, 타락하고 무지한 불교여성을 수행과 교육을 통해 계몽하고자 하는 방향에서 설정되었다. 우선, 청말의 楊文會는 여성들을 위한 경전과 계본을 수집, 발간, 유포함으로써 여성수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출판사업을 통한 여성수행의 장려는 진화법사의 『續比丘尼傳』간행이 정점이었다. 또한 많은 여성수행단체가 결성되고 활동도 활발하였는데, 이와 같은 여성수행문화가 빠르게 확산되는 데에는 『海潮音』같은 불교 잡지들의 역할이 컸다. 즉 여기에는 불교계 지도자들의 여성계몽에 대한 관점과 의지가 반영되어 있었다. 1924년에는 최초의 여자불교학교인 武昌女子佛學院이 太虛에 의해 설립된다. 이 학교출신 비구니들이 중심이 되어 새로운 불교여학교가 설립되어갔다. 특히 恒寶비구니는 菩提精舍라는 여학교를 설립하였고, 佛敎女衆專刊이라는 여성전문불교잡지를 발행하기도 하였으며, 경전의 차별적인 여성관을 비판하고 불교를 새롭게 해석하는 등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 이 밖에도 여성들이 설립한 여학교에는 女工을 위한 대중적인 불교학교와 반대로 전문적인 여성불교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가 있었다. 한편, 『속비구니전』을 통해서 지역불교부흥에 공헌한 근대 비구니들의 업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근대 불교여성들은 자발적인 불교부흥운동을 통해 여권의식이 함께 성장해 가고 있었다. In the modern era, male Chinese Buddhist leaders encouraged Buddhist women to practice and learn Buddhism. Illiteracy and moral corruption of Buddhist women were regarded as obstacles to Buddhism revival, so Chinese Buddhist revivalist have worked to enlighten the ignorant women. As a result, A sequel to Biographies of Chinese Buddhist nuns has published and the Buddhist schools for woman have founded. Buddhist women were expected to follow the example of Chinese Buddhist nuns in the Biographies. The first school that Buddhist women could receive modern Buddhist education is Wuchang Women`s Buddhist School. The renowned Buddhist leader, Ven. Tai Xu(太虛) established the school. On the other hand, Buddhist women made a contribution to revival Buddhism too. First of all, they founded many Buddhist school for women. There was a public school for female laborer, and a special school to train for female Buddhist researcher. In addition, we can see the Buddhist nuns who have worked for reconstruction of local Buddhist culture through A sequel to Biographies of Chinese Buddhist nuns. In the last place, the awareness of women`s rights was raised in the process of Buddhist reconstruction work among the Buddhist women. For example, they had a controversy with each other about Buddhist sexism, and asserted Buddhist nun`s rights for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