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幕末의 정치도시 京都와 寺院의 선택 - 文久期 相國寺의 부지 임대를 소재로
조승미(Seung-Mi Cho) 일본사학회 2025 일본역사연구 Vol.66 No.-
본 논문은 막말 정치 세력의 활동 무대이자 배경 정도로만 다루어져 왔던 교토의 사원의 시선에서, 정치 세력에의 사원의 부지 임대와 그것이 지닌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1862년(文久2) 9월 교토의 사원 쇼코쿠지(相國寺)는 수천 평에 달하는 사원의 넓은 부지를 사쓰마번(薩摩藩)에 20년간 빌려주는 장기 계약을 맺는다. 하지만 그 기간이나 조건은 전적으로 사쓰마 측이 바라는 대로 결정된 것이 아니었으며, 그 뒤에는 지난한 교섭의 과정 역시 존재하고 있었다. 말하자면 사원의 부지는 이를 빌리고자 하는 정치 세력의 요구를 사원이 무조건으로 용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무엇보다 여기에는 어떤 이들에게 어떤 조건으로 공간을 내어줄 것인가 하는 사원의 의사 역시 크게 작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막말 교토의 사원의 부지 임대는 정치 세력의 일방적인 요구에 따라 이루어진 결정이 아니라, 치열한 고민과 교섭의 결과 이루어진 사원의 선택이기도 했다. 이는 무가 세력에의 임대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마저 뭉개버리며 내린 결정이었다. 물론 이를 통해 사원은 적지 않은 것을 얻어 내었다. 이 계약을 통해 쇼코쿠지는 경제적 보상과 군사적 보호는 물론, 무엇보다 당시 교토에서 가장 유력한 정치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던 사쓰마번과 굳건한 관계를 구축해 나갈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한편 막부 말기의 도시 교토에서 전개된, 점차 치열해지는 정치적 갈등 속에서 특정한 정치 세력과의 운명 공동체가 되는 것으로 나아가는 길이었다는 점에서 분명 상당한 위험이 동반된 선택이기도 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and lease to political forces and its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mple, which has only been dealt with as a background for political forces. In September 1862, Kyoto Temple Shokokuji (相國寺) signed a long-term contract to lend a large site to Satsuma-bun(薩摩藩) for 20 years. However, the period or conditions were not entirely determined as desired by Satsuma, and there was also a difficult negotiation process behind it. The temple's site was not made in a way that the temple tolerated the demands of political forces to rent it, and above all, the temple's intention seems to have been playing a major role. In other words, the lease of the temple site in Kyoto at the time was not a decision made at the unilateral request of political forces, but rather a choice of the temple made as a result of fierce consideration and negotiations. This was a decision made by crushing even voices raising issues with the lease of the site. Of course, through this, the temple obtained a lot of things. Through this contract, Shokokuji was able to establish a strong relationship with Satsuma, who was emerging as the most influential political force in Kyoto at the time, as well as economic compensation and military protection. But at the same time, it was clearly a gamble with significant risks.
조승미(CHO, Seung-mee)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9 No.-
『금광명경(金光明經)』은 동아시아 불교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 경전에 많은 불교여신이 비중있게 등장한 점은 거의 주목되지 않았다. 이 경전의 주요 여신은 변재천(辯才天), 귀자모(鬼子母), 길상천(吉祥天), 견뢰지신(堅牢地神) 그리고 보리수신이다. 이들은 모두 인도의 여성 신격들인데, 각기 다양한 시점에서 불교에 수용되어 신앙되었다가 이 경전에서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중에서 일차적으로 한국에 있어서 이들 여신신앙의 문화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우선, 『삼국유사』에서 유일하게 언급된 것은 변재천 설화인데, 지혜를 상징하는 여신의 형태가 보존되고, 산신형태로도 나타난 점은 『금광명경』, 특히 『합부금광명경』의 영향으로 보인다. 『금광명경』에서 변재천 신앙은 가장 중시되었지만, 이후 별다른 신앙문화가 형성되지는 않았다. 고려시대 금광명경도량과 공덕천도량에서는 공덕천(길상천) 신앙을 엿볼 수 있는데, 금광명경도량은 천태의 금광명참법으로 생각되며 공덕천이 중심인 의례였다. 공덕천도량은 주로 기우나 전염병 극복의 목적에서 강화 천도 시절에 열렸으며, 『다라니집경』 「공덕천법」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지지(持地)보살 즉 지신이 삼장(三藏) 속에 포함되면서 수륙재 의례에서 중시되었다. 지지보살은 천도(天道)‧신도(神道)‧명도(冥道) 중 신도의 수많은 신들을 이끄는 보살로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지장경』과 『금광명경』에서 지신이 수명연장의 역할을 하는 내용과 수륙재의 성격이 연결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선말기에는 104위 신중도라고 하는 새로운 신중신앙 형태가 나타났는데, 그 출처가 되는 백파긍선의 『작법귀감』에 『금광명경』의 5여신이 함께 포함되었다. 이들은 ‘20제천(諸天)’ 형태로 이어져 왔으며, 그 전거는 송대 천태계 승려 행정(行霆)의 『중편제천전(重編諸天傳)』이었다. 한국에서 『금광명경』 여신 신앙은 고려부터 조선 말까지 지속되었다. 개별신앙은 공덕천이 가장 성행했으며, 지신이 높은 위상으로 수륙재에서 중시된 것이 특징이다.『 금광명경』 여신이 포함된 의례 형태는 중국 천태학파의 다양한 의례와 원·명대에 성행한 수륙재 의식집에서 확인되었다. 한국의 불교여신 신앙은 도상이 남아있지 않으며 민중화된 양상이 없어 존재감이 매우 희미하지만, 백파의 신중의례를 통해서 이들이 중시된 전통이 다시 현대 한국 불교문화에까지 이어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Golden Light Sūtra 金光明經 is one of the major sutras which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Buddhist culture in East Asia. However, there as been almost no mention in previous research that notes the sutra includes quite a number of Buddhist goddesses. We meet Sarasvatī, Hārītī, ŚrīLakṣmī and Pṛthvī, and the Goddess of Bodhi Tree in this text. All of them were Indian female deities who were respectively accepted into Buddhism at different times and eventually appeared all together in this sūtra. Comprehensive acceptance of Hārītī, Pṛthvī and ŚrīLakṣmī is shown from the early Buddhist texts to the appearance of Mahayana, whereas Sarasvatī started to appear in rather later times. Yet, Sarasvatī is regarded as very important in the Golden Light Sūtra. Originally she was the Hindu goddess of river, music and knowledge, being depicted as the goddess playing the veena. In this text, however, she shows the magnificent power to defeat enemies or to eliminate the terror of wars. This paper discuss how the worship of these deities has developed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particularly in Korea. Sarasvatī is mentioned in two stories included in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where she is described in association with the Lotus Sūtra and Manjusri, the symbol of wisdom, and depicted as a mountain spirit or an old lady. Unfortunately, there are no later records on Sarasvatī in Korea. Tantric state rituals were frequently held in the Goryeo dynasty, of which there were several held for ŚrīLakṣmī. These were mostly prayers for overcoming national crises such as drought or infectious disease. Goddess of Earth (Pṛthvī) worship also distinctly features in Korean buddhism. In fact, she turned into a significant bodhisattva in popular Buddhist ritu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other two bodhisattvas. Here, she saved forlorn spirits stuck in limbo without descendants to perform memorial services for them. The five goddesses of the Golden Light Sūtra finally appeared all together by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Painting of 104 Guardian Deities, whose new members were those of a different Buddhist Pantheon than found in traditional Hwaeom deities. It was based on the Chinese text, Zhongbian zhutian zhuan 重編諸天傳, that presented the formation of Buddhist deities in the 12th century. The worship of these female deities in Korea shows low popularity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n East Asia, despite being called upon in times of national crisis. They are characterized by having been worshipped only individually and intermittently, and were only put together in relatively modern times.
『삼국유사』의 구도 설화와 티벳 밀교 전기문의 비교 -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조승미(Cho, Seung-M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100
『삼국유사』의 다양한 설화 중 불교 내적으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성불을 위한 구도 설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중에서는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에 있어서 다른 문헌 속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운 독특한 특성이 있다. 대표적으로 노비 욱면과 같이 여성이 성불하여 날아간다던가, 원효나 노힐부득, 달달박박 같은 남성 구도자가 여성으로부터 분별의 눈을 시험받는 이야기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유사』 구도 설화 속에서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을 분석하고 이를 티벳 밀교의 전기문과 비교하여 그 유사성을 검토해 보았다. 검토된 문헌은 아바야닷따(Abhayadatta)의 전기문과 따라나타(Tāranātha)의 저술들이다. 티벳 밀교 문헌은 『삼국유사』와의 연관성이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이 문헌들이 『삼국유사』와 역사적인 영향 관계가 있음을 논증하는 것은 아니며,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에 한정하여 그 내용에 있어서 유사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은 3가지 주제로 분류하였다. 첫째, 깨달음을 얻은 여성이 하늘로 날아오른 이미지인데, 여성 노비 욱면과 마니바드라(Maņibhadrā)를 통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분별의 시각을 시험하는 여성으로서,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그리고 관음을 친견하지 못한 원효 등이 전형적인 사례에 해당하고, 이에 해당하는 내용은 붓다구햐와 붓다샨띠, 그리고 아바야까라굽타의 전기에서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는 남성 구도자의 조력자로서, 아내와 어머니 그리고 여신이다. 광덕과 조신의 아내, 진정의 어머니 등의 모습을 티벳 밀교 전기문에서 사라하, 띨로빠의 아내, 그리고 깜발라의 어머니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구도를 돕는 여신들은 『삼국유사』에서는 변재천녀, 관음보살, 티벳 문헌에서는 주로 다끼니들이었다. 『삼국유사』 구도 설화에서의 이와 같은 여성 이미지와 역할은 티벳 밀교 전기문에서 각각 유사한 내용이 발견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유사성은 『삼국유사』의 구도 설화가 티벳 밀교 수행과 공유하는 특성을 배경으로 한다고 추론된다. 즉, 낮은 신분의 수행자들, 세속과의 관계가 중요시되는 재가주의, 그리고 성취자들의 신비한 능력 강조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의 새로운 역할론을 포함한 유사한 이미지들의 함의를 고찰하였다. The Samgukyusa contains various tales, but among them, the tales of enlightenment are considered to occupy the most important proportion within Buddhism. These tales have a unique characteristic rarely seen in literature with different images and roles of women. Representatively, there are stories like Uk-myeon where an enlightened woman fly up into the sky, and male ascetics such as Wonhyo, Nohilbudeok, and Daldalbakbak are tested for enlightenment by woman. In this study, women’s image and role in the tales of enlightenment of the Samgukyusa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biography of Tibetan Buddhism to examine the similarities. The literature reviewed include the biographical text of Abhayadatta written in the 12th century and the writings of Tāranātha compiled in the 17th century. Although the Tibetan esoteric literature rarel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gukyusa, the Tibetan esoteric texts, featuring low-status achievers, the mystical abilities of Tantric yoga practitioners, and the high status of women, share the orientation of the Samgukyusa. However, this study’s aim is not to argue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mgukyusa and Tibetan esoteric literature, but to confirm that there are similarities in Buddhist literature when compared to the two cultures, limited to womens images and roles. Womens images and roles are classified into three themes. First, the image of an enlightened woman flying into the sky; second, the tester of mens capacity for enlightenment; and third, the case of a wife, mother, and goddess as a facilitator to mens enlightenment. Subsequently, similar contents were confirmed in the Tibetan esoteric texts related to the subject, respectively.
조승미(Cho, Seung-M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5
마리치(Mārīcī)는 불교의 전쟁의 여신으로서, 인도와 티벳 뿐 아니라, 동아시아에서도 일찍부터 관련 경전과 도상이 소개되면서, 다양하게 그 신앙이 전개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과 한국 일본 등에서 마리치가 어떤 내용으로 신앙되었고 그 특징이 무엇인가 고찰하고자 하였다. 중국에서는 마리지천 경전이 여러 종류가 번역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은 『다라니집경』에 속해 있는 『마리지천경』과 8세기 불공 삼장이 번역한 경전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송대 천식재가 번역한 『대마리지보살경』 등이다. 마리치 신앙이 중국 당나라 왕실에서 시행되도록 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불공 삼장이었다. 이후 고려 왕실에서는 이 문화를 수요하여 여러 가지 재난을 막기 위해서 마리지천 도량을 개설하였다. 그런데 고려의 강화 천도 이후에는 마리지천 도량이 개설되지 않았고 묘통사 행차가 더 빈번하게 이루어졌는데, 본 고에서는 그 이유를 경전별 마리지천의 특성 차이와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즉, 대몽항전 시기에는 전쟁의 여신 성격이 강한 천식재본 마리지천 신앙의 요구가 더 컸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 송대 천태종 승려들은 마리지천을 불교의 주요 신격에 공식적으로 포함시켰는데, 소위 20제천이 그것이며, 이에 대한 의례를 정기적으로 시행했다. 조선 후기 불교의례집 『작법귀감』에는 이것이 반영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에서의 마리지천 신앙은 진언종과 임제종, 법화종이 그 신앙 유포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세에는 특히 무사들의 수호신이자 전쟁승리의 신으로서의 신앙이 성행하였다. 동아시아 마리지천 신앙문화 중 흥미로운 점은 중국에서는 도교의 여신 두모(斗母)와 융합되고, 일본에서는 신도의 신이 되면서 다양하고 세속적인 성격을 담지한 민간신앙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Mārīcī is known as a goddess of war in Buddhism, whose cult has been developed diversely not only in India and Tibet but also in East Asia with the earlier introduction of the scriptures and images related to her.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what is contained in her cult in East Asia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focusing on its unique characteristics. Hence diverse scriptures related to Mārīcī have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representative ones including the Marishten sūtra in the Collected Dhāraṇī-sūtras (陀羅尼集經), the texts translated by Amoghavajra (不空) in 8th century, and the Exalted Bodhisattva Mārīcī(大摩里支菩薩經) translated by Tiān Xīzāi (天息災) in the Song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the Mārīcī cult in the court of Tang dynasty in China was greatly due to Amoghavajra (不空). Hence the court of Goryeo in Korea began to hold the Marishten rituals actively to avoid various disasters, inheriting the cultural aspects of the cult from China, especially at the uniquely appointed temple of Myotongsa. Marishten rituals, however, were not held after the period of Goryeos opposition to the Mongol invaders, whose reason might found in the difference of the kinds of the scriptures related to Marishten. In other words, the rituals were based upon the Mārīcī cult before the translation by Tiān Xīzāi, while his translation reveals typically strong traits of the warrior goddess. Monks of the Tientai Order in Song dynasty in China included Marishiten officially in 20 major Buddhist deities, holding the rituals regularly, whose continuity is observed in their inclusion in the Buddhist ritual tex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Korea. Lastly, in Japan, Marishiten has been worshipped as a guardian of warriors and as a goddess for victory at war, whose remains are still visible today. Most interestingly, Marishiten has been synthesized with Doumou (斗母), a Daoist Goddess, in China, while she has become an object of folklore cults with rather secular characteristics by transforming herself into a Shinto kami in Japan.
조승미(Cho, Seung Mee) 한국불교연구원 2010 불교연구 Vol.32 No.-
백용성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근대 한국불교의 근대성 평가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전통의 이분화 구도를 탈피하고, ‘근대지향’의 관점에서가 아닌 ‘근대를’ 반성적으로 분석하는 관점에서 백용성과 메이지 말기 일본 불교의 키요자와 만시(淸澤滿之)의 사상과 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용성의 선풍진작활동 시기부터 1930년대 대각교 운동에 이르기까지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선종(禪宗)’으로의 귀원(歸源)의지였다. 키요자와 만시의 정신주의 운동의 경우 정토진종 종조 ‘신란(親鸞)’의 타력신앙을 원형으로 한 것이었다. 이들은 원형을 향한 자신들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독자적인 종교실험을 시행했다. 한편, 이들의 원형의지와 이를 둘러싼 담론은 근대 종교지형이 세속화(世俗化:secularization)와 성화(聖化:sacralization), 혹은 사사화(私事化:privatization)와 사회화로 분절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종교의 세속화와 그 대극의 성화는 근대 종교일반의 특징이었는데, 용성의 활동을 평가한 당시 사회적 담론의 예를 통해, 한국불교는 ‘종교’범주에 포섭되어 가면서 사사화와 사회화로 이분된 근대종교 지형 한 가운데에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신앙본연의 영역을 구축하고자 했던 키요자와의 입장은 근대 종교의 이분화 속에서 사사화에 충실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더 나아가 종교의 사회적 역할론과 세속적 관점 등에 강한 저항을 보이며 비판하였는데, 이것은 키요자와 시대의 불교가 세속화를 본질로 하는 근대화가 심화되었음을 반증한다. 이에 비해 용성은 세속화문제에 있어서 조금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계율문제에 있어서 세속화에 강한 거부를 보인 용성의 태도는 사회여론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즉, 사회와 불교계 내부가 세속화에 대한 의지가 더 높았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용성은 ‘자(自)’의 내적인 깨달음이 ‘타(他)’(사회, 민족)에게로 확대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사회화에 관여하였다. 이처럼 용성과 키요자와 만시가 보여주는 원형의지는 근대화 정도의 맥락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원형’에의 의지는 종교의 ‘근대적’ 분열 속에서 형성된 세속화에 저항하는 또 하나의 ‘근대적’ 현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근대에 불완전하게 적응한 불교로 보이기도 했던 이들의 사상과 활동은 역설적으로 그 근대의 ‘시선’이 불완전함을 알려주고 있다. Korean Zen Master, Yong-Sung Baek(白龍城, 1864-1940) and Japanese Buddhist thinker Manshi Kiyozawa(淸澤萬之, 1863-1903) both advocated buddhist reformation, and endeavored to realize their each ideal buddhism. By the way, we can see the original directivity pattern in their thought and practice. In Yong-Sung's case, his Daegaggyo(大覺敎) movement as buddhist reform was oriented towards Zen sect(禪宗) especially Linji school(臨濟 宗) tradition. Kiyozawa was willing to recover Shinran(親鸞)'s teaching as the root of Jodo Shinshu(浄土真宗), that is the faith characterized by the complete dependence on Amitabha Buddha. The national and social environment, the condition ofbuddhist community, the character of buddhist tradition they was based on respectively, educational background,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between Yong Sung and Kiyozawa, they have one thing in common, that is, a will to restore buddhist tradition. Both of them thought that returning to each original form was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response to modern social and religious situation. They all showed resistance to secularization of modern buddhism. Kiyozawa's Spiritualism(精神主義) was more aggressive to secular moderization, compared to him, Yong Sung wished that the duties of modern religion were fulfilled through the Zen tradition restored. Sometimes, their response attitude toward modern religion have been criticized for anti moderization, namely, conservatism. But the other way, the problem of buddhist modernization is revealed by their voices and actions. Yong Sung and Kiyozawa are need to be regarded as another part of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불교의 모신(母神) 하리티(Hārītī) 신앙의 형성과 변천 연구
조승미(Cho, Seung Mee) 한국불교연구원 2014 불교연구 Vol.41 No.-
하리티Hārītī는 불교의 여신이자 모신母神이나, 본래 인도 토착 신격인 야차녀(yakṣiṇī)로서 아이를 잡아먹는 천연두 역신疫神이었다. 한역불전에서는 ‘귀자모鬼子母’로 더 많이 알려져 왔다. 하리티는 탄트라를 포함한 경율론 삼장과 불교 역사서 및 인도 여행기 등에 광범위하게 등장하는데, 하리티의 고고미술사적 연구는 많았지만, 이와 같은 불교문헌에 기초한 정리 분석작업은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불교문헌을 중심으로 하리티 교설을 분석, 종합함으로써 하리티 신격과 그 신앙의 성격을 이해해 보고자 한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하리티 설화를 다룬 문헌을 비교 검토하고, 불교문헌 속의 하리티 이미지를 성격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한역과 팔리문헌을 비교하여 하리티 이름의 기원을 유추해 보고, 귀자모와 환희 등의 한역 이름의 조성 과정을 분석했다. 또한『유부비나야잡사』등을 통해 설일체유부 사원의 하리티 의례를 살펴보았는데, 사원 내에서 하리티 신앙이 성행한 점, 그리고 하리티설화와 관련하여 승가의 공양의례와 계율이 정해지고, 사원의 제사가 시행된 점 등을 알 수 있었다. 하리티의 대중적인 영향력에 힘입어 사원에서 그녀는 재가 기부의 중요한 중심이었다고 평가된다. 불교문헌 속에서 하리티가 여러 이미지와 성격의 변화를 보이기도 했지만, 일관되게 견지한 것은 아이를 동반한 형태였다. 이것은 불교에서 그녀의 위상과 역할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하리티는 모성적 존재로 불교에 수용되어, 어린이 보호와 전염병치유, 후사와 안산 등이 기원되고, 나아가 물질적 풍요와 세속적인 복잡한 일의 해결을 책임지는 신격이었다. 이와 같은 성격의 하리티는 여러 지역으로 불교가 전파될 때 불교의 여성적인 얼굴을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을 보다 용이하게 불교에 귀의할 수 있게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리티 신앙의 세속적이고 대중적인 성격은 한편으로 지역과 시대별로 하리티 신격의 변형가능성을 높여 주었던 것 같다. Hārītī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emale deities of Buddhism as a Mother Goddess. Originally, this goddess was a smallpox goddess, who was said to eat children, as one of the several types of the yakṣiṇī that belongs to evil deities in the ethnic indigenous faiths of India. Hārītī appears widely from Nikayas through Mahayana Sutras to Tantra texts, and not only in the three canonical works of sutras, vinayas, and treatises, but also throughout historiographies of Buddhism and travelogues of eminent monk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historical studies on Hārītī in the fields of art history and archeology, nonetheless, there have been few analytical works on the basis of Buddhist texts. This article analyzed comparatively various Buddhist texts on Hārītī, see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and rituals and worship patterns of Hārītī. Among the images of Hārītī, the figure of loving mother holding her baby is predominant in its history of art, although we can sometimes find Hārītī in the figure of archetypical ogress similar to the Hindu Goddess Kali. This shows the coexistence of the Buddhist appropriation of the Hārītī faith and its traditional worship forms.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f Hārītī in Buddhist scriptures shows her as a novice, sotāpanna in the first saintly status, or loving mother with her maternity in emphasis. In Mahayana sutras, she is portrayed mainly as the guardian deity of believers in sutras, the Lotus Sutra being its representative text. The Hārītī faith can be divided into daily rituals in temples and householders’ private worship. In Pali texts, the offering of food to Hārītī takes place in householders’homes, while the offering is described to take place in temples according to standardized format in the Sarvāstivāda texts, which even include the recordings of the sacrifices for the son of Hārītī. Householders’ worship of Hārītī had diverse goals, including the treatment of epidemics, getting a child, and comfortable childbirth, the abundance of material goods. The widest circulation of the faith, however, took place in the Tantra tradition. Especially, the Hārītī tantra show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Yakṣiṇī Sadhana. From this, the Hārītī tantra might be appraised to be a variant of the Hārītī faith as well as the synthesis of it and its archetypical and traditional Yakṣiṇī faith. These facts might be thought to show the vitality of the Hārītī faith together with its geographically wide circulation for a long time.
조승미(Cho Soong Mi) 한국여성체육학회 1988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 No.-
Ballet is a human language that transcends the frontier and thought to the source of the art world and pursues the ideal of beauty by expressing beauty of the body even to a high-level line. Therefore, every one or every country walks along the right world of ballet which is traced and developed in his or its own way. Now it is said that the three big corps de ballet in the world are $quot;New York City Ballet$quot; in U.S.A., $quot;Royal Ballet$quot; in England, and $quot;Bolshoi Ballet$quot; in Soviet Russia. These crops strive to display peculiar individuality and atmosphere in their own way and variation in the world of art. We usually place value on $quot;New York City Ballet$quot; to pursue delicacy and sweetness, that is, what is flesh, $quot;Royal Ballet$quot; with classical and graceful magnetism to lay stress on its tradition. and $quot;Bolshoi Ballet$quot; with originality, individuality and lineage. It is obvious that many corps de ballet in the world continue to study, dispute, and develop ballet. Especially, $quot;Bolshoi Ballet$quot; in Soviet Russia which accomplished a monumental work in the artworld in a tranacendental thought as a communist country, is indeed all our great pleasure in the world art or in the world ballet circle. Dance (dancing) is not the pursuit of formal beauty, but in itself involves a great thought to express dramatic truth from the inner world. Dance (dancing) in the combination of music and art, that is, stage setting, costume, accompaniment, etc. shows its paces to an extreme and display the highest perfection of a composite art. Dance needs many sympathizers and artists in every field can produce genuine dance works in one mind. It is not going too far to say that dance is a product of the age which is accomplished in its background and sympathizers` capacity. It is thought that a dance art is charged with a missionto make an atempt at great human achievements getting to the bottom of society and the general public keeping with the times in the art world in tranacedental thought. Dancers, great creators need a continuous quest and f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