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수 연구업적평가의 문제점

        조성택(Sungtaek Cho) 역사비평사 2013 역사비평 Vol.- No.104

        Evaluating the research performance of university professors involves special expertise and should be different from simply measuring lengths or heights. However, the way professors are evaluated at universities in present-day Korea is no different from the way lengths or weights are measured: scores are given based on the quantity of academic publications. Papers published in English language journals, especially SSCI or A & HCI journals by commercial publishers, are given heavier weight - two to six times (depending on the university) more than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orse still, evaluations are performed by simply totaling up such quantity-based scores. Although qualitative peer review criteria is a factor taken into consideration, it has no real impact on the assessment result. It is common for research institutions in so-called STM fields (Science, Technology and Mathematics) in the US or Europe to apply quantitative indexes based on bibliometrics to assess research performance. Nevertheless, qualitative evaluation is also performed on individual researchers. What is more, when it comes to research performance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quantitative indicators, for example the number of publications, are only used as a form of reference while qualitative evaluation is the major focus. In contrast, Korean universities, especially in regard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lmost completely depend on quantitative measurements. Many problems related to this have occurred and there is a shared understanding of such problems, but shifting the current quantitative framework to a qualitative one seems to be a remote possibility for the time being. Unfortunately, the current framework is crippling the academic ecosystem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is regard, this paper first reviews, from a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 why qualitative assessment has not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universities in Korea. Secondly, foreign faculty evaluation cas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examined.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qualitative assessment is essential in order to recover the health of the ecosystem in the various academic fields.

      • KCI등재

        AI 기반 원자재가격예측정보서비스 도입이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조성택(Sungtaek Cho),이우준(WooJun Lee)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20 미래성장연구 Vol.6 No.1

        본 논문은 AI기반 원자재가격예측시스템을 이용하기 시작한 2000년부터 2016년까지 28,282개 기업을 대상으로 AI기반 원자재가격예측시스템사용이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예측서비스를 이용한 기업은 50개이며 그렇지 않은 기업은 28,232개로서 처리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OLS, 임의효과 모델을 통해 추정하였고 자료의 특성상 고정효과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Chamberlain 추정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AI기반 원자재가격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수적 추정과 함께 추가적으로 비모수적 추정방법인 성향점수일치 추정방법을 통해 두 집단간의 생산성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도 모수적 추정결과와 마찬가지로 AI기반 원자재가격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생산성이 1.8%~2.4% 더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AI based price prediction system on firm productivity using Kisvalue-released database from 2000 to 2016.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reat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reatment group consists of 50 firms and 28,232 in the control group. Using these data, we estimated AI-based Raw Material Price Forecast Information Service on Firm s Productivity through OLS and Random effect model. Since fixed effect model can not be used in the analysis due to the nature of data, we also conducted an additional analysis using Chamberlain model that can get a consistent estimate. The result shows that firms with using AI based price prediction system are more productive than firms without using it. In this paper, non parametric approach is also used for testing differences in productivity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non parametric approach show that firms with using AI based price prediction system are 1.8%~2.4% more productive than that without using it.

      • KCI등재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박순찬 ( Soonchan Park ),조성택 ( Sungtaek Cho ),이홍식 ( Hongshik Lee ) 서강대학교 서강시장경제연구소 2017 시장경제연구 Vol.46 No.2

        본 논문은 1988년부터 2014년까지 21개 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GMM을 분석에 사용하였고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글로벌 아웃소싱의 대용변수로 총중간재에서 차지하는 해당산업의 수입중간재 비중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기간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또한 글로벌 아웃소싱과 고용간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가 고용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global outsourcing on employment for the period 1988 to 2014 using. To analyze the impact, we employed the System GMM and IV methods to address the endogeneity problem that had not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global outsourcing has never had an impact on employment for a full period. Additionally, we analyzed it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result for the additional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global outsourcing has no impact on employment.

      • KCI등재

        가족친화인증제도가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동수 ( Dongsoo Kim ),조성택 ( Sungtaek Cho ),심순형 ( Soonhyung Sim ) 한국국제통상학회 2020 국제통상연구 Vol.25 No.1

        가족친화제도의 확산을 통해 일과 가정생활의 조화로운 양립을 달성하고, 나아가 저출산과 고령화 등 직장-가정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족친화경영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대시켜나가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적 삶의 질과 여가를 중시하고 가정을 배려하는 기업이 더 나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가족친화인증제도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들의 내부자료를 수집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추정한 후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의 인증 전후의 생산성 변화를 통해 가족친화인증제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산성은 Tomiura (2007)의 연구를 참조하였고 독립변수는 시장점유율의 대용변수로서 매출액 증가율을 사용하였으며, 대주주 지분율, 연구개발비, 자기자본비율 등을 고려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인증변수는 인증을 받으면 1, 그렇지 않으면 0으로 설정한 더미 변수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Chamberlain방법, 패널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가족친화인증여부는 기업의 생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종속변수와 설명변수 간 아무런 함수관계를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추정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 가족친화인증제도는 기업의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생산성의 증가율이 약 0.22∼1.9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needed to establish social perception of family friendly business to achieve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and to minimize social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low birth rates and aging. To do this, it is require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family friendly business firms is improving their productivit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 the effect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System(FFS) on Firms’ Productivity. For analysis, we collected the data from FFS Certified firms and estimated the productivity of the firms. And then, we observed the deviation in the productivity between pre- and post-certification. The methodologies used in this paper are Chamberlain model and Panel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s reported that FF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irms’ productivity. Additionally, we performed the nonparametric estimations that assumes no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shows that FFS policy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s’ productivity. Specifically, in terms of productivity growth, FFS Certified firms are 0.22~1.95% more productive than those does not.

      • 다중 카메라 기반의 의료용 네비게이션 개발

        이근후(Lee Geunhu),조성택(Sungtaek Cho),류우석(Wooseok Ryu),신민준(Minjun Shin),김소연(Soyeon Kim),이성온(Lee Sungo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의료용 네비게이션에서 사용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는 각 카메라에서 얻은 영상정보를 바탕으로 로봇과 환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사람 또는 로봇의 움직임으로 인해 카메라가 가려지는 경우 목표를 끊김없이 추적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 대 이상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넓은 각도에서 관측하여 카메라가 일부 가려지는 경우에도 나머지 카메라를 사용하여 끊김없이 목표의 위치와 자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남북 농업부문 교역이 동북아(한·중·일)의 교역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조성택 ( Cho¸ Sung-taek ),김기환 ( Kim¸ Gi-hwan ) 한국유기농업학회 2021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9 No.4

        Until now, research o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economic integration has been limited to the areas of the two Koreas. However, Korea is connected with many countries in Asia through the global value chain. Thus, if inter-Korean trade deepens, it may affect the trade structure of neighboring countries. In order to establish a specific inter-Korean economic integration policy when North Korea becomes a normal state in the future, an analysis that reflects the trade structure including Northeast Asia must be preced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impact of inter-Korean trade on Korea, China and Japan was analyzed using the international input and output table containing actual trade data. The scope of analysis was limited to agriculture, reflecting North Korea's demand for economic cooperation. The results show that trade in the agricultural sector between the two Korea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f production and value added. but when China and Japan participate in trade with North Korea, the production effect was calculated to be as high as 4 million dollars in Korea and up to 10 million dollars in Japan. And China showed up to 520 million dollars. In addition, the value-added effect was calculated up to $1 million in Korea, up to $4 million in Japan, and up to $250 million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