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전시에서 소스 커뮤니티가 갖는 의미

        조성실(Cho, Sung-Sil)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본고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시 ‘아리랑’을 통해 박물관 전시에서의 무형문화유산 재현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특별전 ‘아리랑’은 국립박물관 최초로 ‘소스 커뮤니티(source community)’라는 개념에 착안하여 기획된 전시다. 소스 커뮤니티는 북미의 박물관 관계자들이 제국주의 시기부터 ‘타자’로 다루었던 원주민 공동체를 후기식민주의 이후 새롭게 조명하게 되면서 탄생한 개념이다. 소스 커뮤니티적 관점에서의 박물관 전시는 전시주체인 큐레이터(혹은 박물관)와 전시객체 즉 전시주제의 대상이 되는 특정 민족공동체와의 협업을 중요하게 여긴다. 필자는 소스 커뮤니티가 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만나는 양상과 특징을 본고에서 다루고자 했다. 이에 먼저 무형문화유산이 박물관 전시의 콘텐츠로 활용되기까지의 배경을 고찰하였고 아울러 소스 커뮤니티 개념이 국내의 박물관 전시에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가도 살펴보았다.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는 아리랑 특별전시가 소스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무형문화유산을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소스 커뮤니티적 관점에서의 무형문화유산 전시는 유형문화인 유물 중심의 기 박물관 전시와 달리 이 유형의 문화유산을 전승하는 주체인 ‘사람’에 집중한다는 데에서 박물관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박물관과 소스 커뮤니티가 협업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권력구도가 생성될 가능성도 있는 등 여러 문제가 뒤따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전시기획에서는 전시대상이 되는 집단 즉 소스 커뮤니티와 전시기획자 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 서로 간의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다고 보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pecial exhibition ‘Arirang’, the exhib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llaborated with source community,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o take a look at the meaning of it. The reason I see the exhib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the aspect of source community is related to its attribute. Unlike the 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inheritors a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so that and they play a key role in it. Thus in the exhib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indispensable to collaborate with the source community putting an emphasis on their roles. It makes clear that if people are excluded in the exhibi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living culture would be fossilized in the museum’s exhibition room. I consider inheritors have a big voice and advocate strongly their situation and position through the exhibition taken part in by the inherito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med as source community, but sometimes they might have a conflict with the exhibition planners. Instead of the positive results of the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source community such as minimization of the power and authority of curators and achievement of the democratization, it is likely to produce the new power structure. And it can also follow harmful effect that the exhibition planners just use source community as a tool to convey aggressively their intention for the exhibition. In the original exhibition, people rearrange the relics of the past as one pleases but nowadays there is under the circumstance of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source community. So it is a natural step that this kind of problem occur To solve the problems which could occur, in the Arirang special exhibition the decision of the list and method of performance were entrusted to the source community in order to reduce mutual conflicts happening in advance. It is necessary to negotiat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group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ource community, and the exhibition planners. We can find out the clue of the solution with having enough time to understand each other by the participant observation over source community, continued interview, establishment of rapport. In the end, the succes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source community relies on how well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 KCI등재
      • KCI등재

        사진사(寫眞師)의 삶과 사진관의 사회문화적 의미

        조성실(Cho Sung-sil) 역사문화학회 200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0 No.2

        본 연구는 평생을 사진사로 살아온 유명국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사진사의 삶과 사진관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내용에는 유명국의 삶과 정체성, 그리고 사진사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사진관의 사회문화적 의미 분석이 포함된다. 그의 구술생애사 속에서 사진사와 사진관이 민중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역할 또한 중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진사는 개인의 역사를 담는 기록관이었으며 사진관의 쇼윈도는 도시성을 소비하는 공간이었다. 신태인이 번창하던 시절 사진관의 인기도 대단하였다. 5일장이 서는 날이면 인근 시골에서 온 사람들이 사진관으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쉽게 갈 수 없던 외국이나 서울의 유원지 등이 그려진 사진관 스튜디오의 배경 그림 앞에서 사진 찍는 것을 즐겨하였다. 그의 생애사에는 단순히 한 사람이 살아 온 이야기가 아닌 사진사와 사진관 그리고 민중 사진의 역사가 고스란히 들어있다. 즉 그의 이야기는 한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의식을 표현하고 있음은 물론 당대 역사와 문화에 대한 귀중한 증언이고 살아있는 역사기록인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a photographer's life history and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photo studio. Yoo Myeong Gook, the former photographer, revealed his entire life history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ntent's of this paper includes his life and identity in the first place. It, then, furthers into the sociocultural analysis on the photographer as a modern profession and the photo studio as a place for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s. His life history reveals that the photographer and the photo studio had special meanings to people and played important role on their lives. The photographer was the one who recorded their personal histories. The photo studio was known to be the place to consume a urban culture. When the city of Sintaein was flourished, the photo studio located in the city center was one of the poplar places for people. On the market day, many people coming from the countryside stopped by there. Enjoying background pictures of the photo studio with the foreign landscapes or Seoul's amusement parks, they had their pictures taken in front of th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붓 장인을 통해 본 전통공예의 전승과 변화

        조성실(Cho, Sung Sil)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1 No.-

        본 논문은 전통공예의 전승과 변화, 그리고 이에 대한 의미를 전통 붓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자는 전라북도 전주와 김제 지역의 붓 장인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생애사 속에서 붓 제작과 관련한 전통지식이 어떻게 전승 혹은 변화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참여관찰을 통해 붓 만들기의 전 과정을 자세히 기록, 그 속에서 드러나는 전통 붓 제작의 특징과 붓 장인이 가진 전통지식의 속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른 전통공예 분야도 마찬가지이듯 붓 제작에 있어서도 재료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붓 만들기의 방법과 과정뿐만이 아닌 장인이 가진 재료 선택에 관한 전통지식을 비중 있게 다루고자 하였다. 이러한 전통지식은 선대로부터 물려받기도 하는가 하면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장인이 직접 습득하기도 한다. 한편 연구자는 장인이 가진 전통지식의 전승, 변화 그리고 소멸의 과정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보고자 하였으며, 전통공예가 현대에 이르러 어떠한 의미를 갖고 지속?변화하고 있는지를 총체적이고 유기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transmission, changes and contemporary meanings of traditional crafts focusing on the cases of traditional brush-making craftsmanship. For this purpose, I had interviews with brush-making craftsmen(masters) residing in the areas of Jeonju and Gimje,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I attempt to examine how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brush making have been passed down and undergone changes by collecting their life-history. In addition, using the method of participant observation for recording the whole process of brush-making I endeavor to unveil the traits of the making process and the attributes of the brush craftsmen’s traditional knowledge. In brush-making, a wise selection of materials is quite significant as in other fields of traditional crafts. This study deals with the artisans’ traditional knowledge of not only the processes and methods of the brush-making but also their choices of materials. This type of knowledge has been handed down to the craftsmen from their ancestors on the one hand and has been acquired by themselves through trials and errors on the other hand. Probing the whole process of brush-making, I delineate how the traditional knowledge that the brush craftsmen exert have undergone transmission, changes, and extinction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furthermore from holistic and systematic perspectives. I investigate the meanings of both continuity and changes of traditional craftsmanship in contemporary scene.

      • KCI등재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 연구

        조성실(Cho, Sung-sil)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인류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전라북도 내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과 관련된 종목을 제안한다.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이란 ‘무형문화유산 전승주체들이 공유하는 삶의 영역’이자 ‘해당 문화유산의 전승행위가 실천되는 물리적 영역’이다. 본고는 국내의 문화재보호법에서 간과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도구, 사물, 가공물, 문화공간’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을 해당 문화유산 전승에 필요한 장소로서 인식, 이에 대한 속성을 밝히고 있다.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은 공동체에 기반을 둔 ‘살아있는 유산’일 때 그 가치가 있으며 세대를 거쳐 전승되는 과정에서 변이되거나 사라지기도 하고 때로는 새로운 모습으로 재창조되는 특징이 있다. 연구자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19개의 문화공간 사례를 통해 이 점을 확인하였다. 문화공간은 유형문화유산의 건조물군이나 유적지 등과 종종 혼동되기도 하나 전혀 다른 성격을 갖는다.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은 고정적이기보다는 유동적이며 경계는 불분명하고 비정형적이다. 또한 문화공간은 복수의 형태로 존재하며 그 형체가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는 속성이 있다. 4장에서는 국내, 특히 전라북도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 종목을 제안하고 있다. 전통시장, 빨래터, 전통마을공동체, 경로당, 이야기마을 다섯 가지의 종목은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문화공간이 사라지면 그 안에 전승되어 오던 무형문화유산도 함께 절멸될 것이다. 이는 곧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에 있어서 물리적 장소인 문화공간을 중요하게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ltural spaces’ which is part of UNESCO-register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now on ICH)and to suggest Korean cultural spaces associated with ICH. UNESCO sai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ans the practices, representations, expressions, knowledge, skills-as well as the instruments, objects, artefacts and cultural spaces associated therewith-that communities, groups and, in some cases, individuals recognize as part of their cultural heritage.” ICH-related to space is physical place to practice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s and areas of lif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ICH descended up to this day, it has been changed or reinvented into modern ones sometimes. The cultural space associated with ICH is flexible and has characteristics of blurred boundaries by comparison with tangible cultural heritages : historic sites, archaeological sites and groups of traditional buildings etc. This paper introduces five cases of cultural spaces with respect to ICH in Jeonbuk province, Korea. This research proposes lists which are traditional markets, a wash place, two traditional villages and senior citizen community. If cultural spaces are missed, cultural heritages also will become extinct. That is why it is essential that the cultural space should be a top priority of ICH protection and trans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