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조성례 ( Sungryae Cho ),전효정 ( Hyojeong Je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전체효과크기와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연구물 선정기준에 따라 2011년부터 2021년 4월까지 유아 환경교육을 주제로 다룬 13편의 학술지 논문이다. 분석은 CM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환경프로그램의 효과는 큰 효과 크기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영역 범주에 따른 효과크기는 환경요인이 큰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중 기관유형, 회기, 활동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according to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are 13 journal the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2011 to April 2021 according to the research material selection criteri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MA program. The results of meta-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program for children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Second,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factors had a large effect o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effect area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session, and activity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was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육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 대상국인 솔로몬 군도 H유치원의 공간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조성례 ( Sungryae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솔로몬 군도 H 유치원의 공간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2019년 9월에서 10월 중순까지 수행되었으며, 교사 3명과 부모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유아는 참여관찰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에게 있어서의 공간은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 놀이의 확장이 일어나는 공간이었다. 둘째, 부모에게 있어서의 공간은 기다림의 공간과 정보 나눔의 공간이었다. 셋째, 교사에게 있어서의 공간은 흩어짐과 모임의 공간, 변화가 필요한 공간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개발협력 공적개발원조 대상국인 솔로몬 군도 유치원의 공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ultural and technological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space of the Solomon Islands H Kindergarten.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mid-October 2019,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 teachers and 2 parents, and infant participation observ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 for young children was a private space, a public space, and a space where the expansion of play took place. Second, the space for parents was a space for waiting and a space for sharing information. Third, the space for the teacher was a space for scattering and meeting, and a space in need of chang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ed for support for the space of Kindergarten in Solomon Islands, the target country of public development assistanc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