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관절염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퇴행 변화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조성도(Sung-Do Cho),서재희(Jae-Hee Seo),이채칠(Chae-Chil Lee),정지영(Ji Young Jung),어진(Jin Eo),고상훈(Sang-Hun K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퇴행 변화에 대해 조직학적 양상과 정도를 알아보고 환자의 나이,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 및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인공 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80예에 대해 전방 십자 인대의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퇴행 변화를 시사하는 조직학적 양상으로 점액양 변성(mucoid degeneration), 액화(liquefaction), 초자 변성(hyaline degeneration), 석회화(calcification), 균열(fissuring) 소견을 보였다. 이들 다섯가지 소견의 각각의 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고 이를 합산하여 전방 십자 인대의 퇴행 변화를 조직학적으로 등급화 하였다. 이 결과와 환자의 나이,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과 Knee Society Score를 이용한 환자의 기능적 평가와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은 정상, 비정상(정상에 비해 얇아져 있거나 비후 되어 있을 때) 및 파열로 분류하였다. 결과: 전방 십자 인대의 퇴행 변화에 대한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결과는 최하 2에서 최고 10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였고 이는 환자의 나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상 정상인 군은 19예(23.8%)로 조직학적 등급은 평균 3.47 (2-6)이었다. 비정상인 군은 57예(71.3%)로 평균 5.95 (3-10), 파열된 군은 4예(5.0%)로 평균 9.0 (8-10)이었다.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소견과 조직학적 퇴행 변화와는 상관 관계가 있었고(p<0.05), Knee Societe Score를 이용한 기능적 평가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전방 십자 인대의 조직학적 퇴행 변화의 정도는 나이와는 무관하고, 전방 십자 인대의 육안적 퇴행 정도는 슬관절의 기능 악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degeneration in an arthritic knee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gross appearance of the ACL, the patient s age and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Histological evaluations of the ACL were carried out on 80 patients who had total knee arthroplasty. Five types of ACL degeneration were noted; 1) mucoid degeneration, 2) liquefaction, 3) hyaline degeneration, 4) calcification, and 5) fissuring. A scoring system for the level of ACL degeneration was made. Each type of degeneration was scored and the degree of ACL degeneration was graded by summing each score. The correlation between ACL degeneration and patient's age, gross appearance,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knee by Knee Society Score (KSS) was analyzed. The gross appearance of the ACL was classified as normal, abnormal (thinned or hypertrophied), and tear. Results: The scores for the histological degeneration of the ACL ranged from 2 to 10,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atient's age and the scores (p>0.05). The gross appearance of the ACL was "normal" in 19 cases, "abnormal" in 57, and "tear" in 4 with an average score of histological degeneration in 3.47 (2-6), 5.95 (3-10), and 9.0 (8-10) respectively. The score for the histological degeneration of the ACL was correlated with the gross appearance of the ACL and a functional evaluation by the KSS (p<0.05). Conclusion: The degree of ACL degeneration was not closely related to the patient s age but there was some relationship with the gross degenerative changes in the ACL and the functional loss of the kne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요천수에 투사하는 연수 신경세포들의 분포

        조성도,고광호,오우택,Cho, Sung-Do,Ko, Kwang-Ho,Oh, Uh-Taek 대한약학회 1991 약학회지 Vol.35 No.6

        Spinal parasympathetic outflows originate in the sacral parasympathetic nuclei. The sacral parasympathetic nuclei receive inputs from the brainstem. Many areas in the medulla appear to influence sympathetic outflow of the spinal cord. Whether neurons in these areas of the medulla may project to the lumbosacral cord to affect the parasympathetic outflow has not been studied clearly.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origins of cells projecting from the medulla to the sacral parasympathetic nuclei of the spinal cord. In 3 cats, horseradish peroxidase (HRP) was injected into the lower lumbar spinal cord. HRP labeled neurons were found mainly in the following areas: nucleus retroambiguus, nucleus tractus solitarius, raphe complex and ventrolateral area of the rostral medulla. Most of these area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regulation of sympathetic activity, and,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areas are likely to affect the sacral parasympathetic outflow as they do for the sympathetic nerves.

      • KCI등재
      • KCI등재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조성도(Sung-Do Cho),곽창열(Chang-Youl Gwak),정창윤(Chang-Yu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목적: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두 가지 대퇴부 고정 방법에 따른 임상적 안정성과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부 고정방법으로 제1군(31예)에서 Endopearl과 생체 흡수성 간섭 나사를 사용하였고, 제2군(36예)에서는 RIGIDfix 횡 고정핀을 사용하였다. 경골부는 두 군 모두 screw washer 및 생체 흡수성 간섭 나사로 이중 고정하였다. 술후 결과의 평가를 위해 Lysholm knee score, 2000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l000 arthrometer 검사, 2000 IKDC 슬관절 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Lysholm knee score는 제1군에서 28예, 제2군에서 33예가 양호 이상이었다.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는 제1군에서 27예, 제2군에서 33예가 70점 이상이었다. Lachman 검사상 제1군에서 30예, 제2군에서 35예에서 음성 또는 1 + firm end인 결과를 보였고 pivot shift 검사에서 제1군에서 27예, 제2군에서 35예가 음성을 보였다. KT-l000 arthrometer 검사상 5 ㎜ 이하의 차이를 보인 경우가 제1군에서 30예, 제2군에서 36예였다. IKDC 슬관절 검사상 제1군에서 29예, 제2군에서 34예가 정상 혹은 거의 정상 소견을 보였다. 결론: 신선 동결된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단기 추시 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대퇴부 고정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stability and function of two femoral fixation methods after artho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For femoral fixation, endopearl and bio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were used in 31 patients (group Ⅰ) and RIGIDfix<SUP>®</SUP>, in 36 patients (group Ⅱ).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 months. The evaluations included Lysholm knee score,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and 2000 IKDC knee examination. Results: Twenty-eight patients (90.3%) in group Ⅰ and 33 (91.7%) in group Ⅱ were good or excellent according to the Lysholm score. Twenty-seven patients (87.1%) in group Ⅰ and 33 (91.7%) in group Ⅱ had IKDC subjective knee score > 70. Thirty patients (96.8%) in group Ⅰ and 35 (97.2)% in group Ⅱ had 1+firm end or negative Lachman test. Twenty-seven patients (87.1%) in group Ⅰ and 35 (97.2%) in group Ⅱ had a negative pivot shift. Thirty patients (96.8%) in group Ⅰ and 36 (100%) in group Ⅱ had <5 ㎜ of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T-1000 arthrometer. Twenty-nine patients (93.5%) in group Ⅰ and 34 (94.4%) in group Ⅱ were normal or nearly normal according to the 2000 IKDC knee examination.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with fresh-frozen tibialis tendon allograft produced a reliable and predictable outcome after the short-term follow-up. The two methods used for femoral fixation produced similar outcomes.

      • KCI등재
      •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한 단계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조성도,고상훈,박문수,정광환,차재룡,곽창열,어진,Cho, Sung-Do,Ko, Sang-Hun,Park, Moon-Soo,Jung, Kwang-Hwan,Cha, Jae-Ryong,Gwak, Chang-Youl,Eo, Jin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서론: 신선 동결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실패한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의 술기 및 슬관절의 안정성 및 기능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실패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 대하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 재건술을 시행한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재 재건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61.8개월 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8.4개월이었다. 술기는 아킬레스건에 부착된 종골을 골결손부에 이식하고 재확공을 하여 한 단계로 시행하였다. 일차 재건술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였고 술 후 평가는 Lysholm knee score,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와 KT-1000 arthrometer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실패의 원인은 부적절한 수술 수기가 10예로 가장 많았다. 최종 추시점에서 Lysholm knee score는 10(75.9%) 예에서 우수 또는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Lachman 검사는 12예(92.3%) 에서 음성 또는 경도의 전방전위를 보였으며 pivot shift 검사는 음성인 경우가 11(84.6%) 예이었다. KT-1000 검사는 최대 전방 전위차가 3 mm 미만이 9예였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면 한 단계로 골이식 및 재확공을 할 수 있고 안정성 면에서 좋은 이식물의 하나이며 추후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stability and function after one-stage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Thirteen patients who underwent one-stage revision ACL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tendon allograft could be evaluated. The average time from primary procedure to revision surgery was 61.8 month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8.4 months. The bone defects of pre-constructed femoral and tibial tunnels were filled with calcaneal bone attached to Achilles tendon and the new femoral and tibial tunnels were created. Evaluations included the causes of failure of primary ACL reconstruction, Lysholm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s of failure of ACL reconstruction were poor surgical techniques in 10 cases (76.9%). Ten patients (76.9%) were good or excellent on the Lysholm score. Twelve patients (92.3%) had negative or 1+firm end Lachman test. Eleven patients (84.6%) had negative pivot shift test. Nine patients (69.2%) had less than 3 mm difference of manual maximum by KT-1000 arthrometer. Conclusion: One-stage revision ACL reconstruction with fresh-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creating new tunnels after filling bone defects, resulted in a reliable and predictable outcome in terms of stability.

      • 50세 이상 환자에서의 반월상 연골 절제술 - 최소 3년 이상 추시 결과 -

        조성도,염윤석,고상훈,정광환,차재룡,이채칠,정지영,서동교,Cho, Sung-Do,Youm, Yoon-Seok,Go, Sang-Hun,Jung, Kwang-Hwan,Cha, Jae-Ryong,Lee, Chae-Chil,Jeong, Ji-Young,Seo, Dong-Kyo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목적: 50세 이상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 최소 3년 이상 추시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50세 이상 환자 36명, 36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6.4세, 평균 추시 기간은 5년 3개월이었다. 술전 Kellgren and Lawrence 분류 상 Grade I 16예, II 12예, III 6예, IV 2예, Outerbridge 분류상 Grade I 16예, II 10예, III 7예, IV 3예이었다. 술후 Lysholm 점수, 환자의 주관적인 만족도, 방사선학적 변화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Lysholm 점수는 24예(66.7%)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26예(72.2%)의 환자들이 술후 결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퇴 경골간 각이 술전 평균 외반 3.9도에서 술후 평균 외반 2.6도로 변화하였으며, 술후에 관절염이 진행한 경우가 22예(61.1%)로 나타났다. 결론: 50세 이상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 최소 3년 이상 추시시 72.2%의 환자에서 만족할만한 임상적인 호전을 보였으나 방사선적으로 술전 관절염 변화나 관절경적 관절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 임상적 결과가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results of arthroscopic meniscectomy in patients aged over 50 with minimum 3-year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arthroscopic meniscectomies between Dec. 1997 and Dec. 2003, 36 patients(36 knees) were available for retrospective evaluation.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56.4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3 months. According to the Kellgren-Lawrence classification, grade I change were noted in 16 patients, II in 12, III in 6 and IV in 2. According to Outerbridge classification, grade I articular lesions were noted in 16 patients, II in 10, III in 7 and IV in 3. Postoperative Lysholm score, patient s subjective satisfaction and radiographic change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Twenty-four patients(66.7%) were good or excellent for the Lysholm score and 26 patients(72.2%) were satisfied at final follow-up. Tibiofemoral angle was changes from mean valgus 3.9 degrees to mean valgus 2.6 degrees and 22 patients(61.1%) showed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c changes. Conclusion: The satisfactory results could be obtained in 72.2% of patients aged over 50 with a minimal follow-up of 3 years after arthroscopic meniscectomy. The results tended to be worse in patients with moderate or severe tibiofemoral osteoarthritic changes or with articular cartilage le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