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me Measurement in Tibet: A Critical Introduction to the Works on Kalacakra Astronomy by Dieter Schuh, Premier Scholar in Contemporary German Tibetology

        조석효 ( Jo Sokhyo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1

        현재 티벳학의 선도적 업적들은 거칠게 다음 두 전통으로 양분된다. 첫째는 유럽의 문헌학적 전통이다. 일본 역시 불교학에 치중한 채로 대체적으로 이 전통에 속하며, 서구식의 엄밀한 문헌학은 부재하지만 방대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역사 쪽에 치우치고 있는 중국 역시 이 전통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미국의 인문학적 전통이다. 인도학 · 티벳학 역시 인문학의 한 분야임이 강조되며, 따라서 인문학 제 분야에서 다루는 공통의 이슈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의 전수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근(현)대성 (modernity), 젠더 (gender) 등의 이슈들이 인도나 티벳의 문맥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 지의 문제들을 논쟁적 방식으로 검토한다. 후자의 전통에서 학술적이고 지적인 연구는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글쓰기 능력과 유리되어 있지 않다. 이 글에서 필자는 두 전통 중에서 첫번째 전통에 속하는 독일 학술 전통에서 가장 탁월한 학자인 디터 슈 Dieter Schuh가 이룩한 성취들 중에서 천문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제시한다. 그의 주된 업적은 『티벳 달력 계산의 역사에 관한 연구』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tibetischen Kalenderrechnung (1973) 의 출판이다. 인도 후기 밀교 텍 스트인 Kalacakratantra 문헌에 기반하고 있는 티벳의 천문학 (인도-티벳 천문학 Indo-Tibetan astronomy; skar rtsis) 연구는 여전히 티벳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분야 중의 하나이지만, 그는 당시에 충격적이었고 현재도 놀라움을 던져 주는 상기 단행본을 저술했다. 또한, 그는 중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티벳의 점성술 (중국-티벳 점성술 Sino-Tibetan astrology; nag rtsis)에 대한 연구, 티벳어 사본과 판본에 대한 연구, 티벳어로 된 공식 문서들, 티벳-몽골 외교 관계에 대한 연구, 티벳 법률에 관한 연구, 인구학, 서부 티벳에 관한 지역학적 연구 등등 다방면에 걸쳐 높은 수준의 문헌학에 기초하여 선구적인 업적들을 보여 주었는데 필자의 후속 논문에서 나머지 저작들에 대한 소개도 예정되어 있다. The German scholar Dieter Schuh is one of the contemporary giants of Tibetan studies. His seminal and ground-breaking work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tibetischen Kalenderrechnung, published in 1973, has made a lasting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Tibetan astronomical and historical research, clarifying the essence and calculation bases of Indo-Tibetan astronomy in Tibet (skar rtsis). Further, he has pioneered such new fields in Tibetology as sino-tibetan astrology (nag rtsis), manuscripts and xylographs, historical documents, the diplomatic history between Tibet and Mongolia, law, demography, research into Western Tibet, etc. In this work, I attempt to show the integral components of his scholarship on Indo-Tibetan astronomy by means of presenting the structure and outline of his works. Because I focus on showing the main ideas and contents according to his line of thinking in each work, readers may benefit from easily spotting parts they are interested in. Thereby, this work may serve as a guideline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details of each work. The amount I assign to each work may vary in accordance with the gravity and importance I subjectively assume. Lastly, the aim of this work is simple: numerous quality non-English writings are not easily used simply because they were not written in English.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time-honored German tibetology based on high-level philology has been a great source of inspiration to Tibetan scholars in the world. As a part of bridging the gap between English and non-English scholarship, this work, which introduces Dieter Schuh’s research into Indo-Tibetan astronomy, may be helpful to enrich and foster future research, being another source of inspiration.

      • KCI등재

        Circular Reasoning and Paradox in Gzhan stong Philosophy

        Jo Sokhyo(조석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8 No.-

        고전 텍스트 독해에서 해당 전통의 문맥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독자가 특정한 답을 얻기 위해 텍스트를 읽는 경우 텍스트는 원하는 답을 주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것은 고전학을 하는 사람들을 좌절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렇다고 그 질문들을 굳이 유보하고 있을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필자는 타공 (他空, gzhan stong) 철학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평소 가지고 있던 질문들을 던져 보고자 한다. 타공은 그것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중관 · 유식 철학이 온전히 이용된다는 점에서 티벳 불교의 이해에 좋은 토픽이다. 여기서 필자는 논리적 측면에서 타공을 옹호하는 학자들이 답하고 있지 않는 지점으로 보이는 역설과 순환 논증에 대해 용어의 정의, 해석학, 그리고 경전과 수행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individual tradition when reading classical texts. However, they tend to frustrate readers because the former does not give the specific answers that the latter wishes to know. Even if it were the case, I believe that individual does not need to refrain from casting critical questions. Gzhan stong is a good topic for understanding Tibetan Buddhism in that it is legitimized by fully utilizing such Buddhist philosophies as Tathāgatagarbha, Madhyamaka, Yogācāra, etc. Here, I point out circular reasoning and paradox in terms of definition, hermeneu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non and meditation that Tibetan gzhan stong scholars do not cast doubt upon. By raising the issues from a modern perspective, I attempt to make them into stepping-stones for my future study of gzhan stong.

      • KCI우수등재

        티벳불교사 연구의 한 방법

        조석효(Sokhyo JO)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1 No.-

        불교사・불교철학 관련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장르인 전기(傳記, rnam thar. 이하 남탈)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 서술 방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남탈은 상징・알레고리 등의 문학적 장치들로 업(業), 무상과 영원의 대립, 해탈에 대한 염원/열망, 그리고 깨달음/해탈/구원 등을 라마의 삶의 시간적 전개에 따라 배치하는 도덕적 서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문학적 장치들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현대 독자・학자들의 해석적 작업은 상관 텍스트들과 기존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는 해석학적 순환의 과정이 된다. 이러한 열린 텍스트로서의 남탈 이해는 불교사・불교철학 연구에 도움을 받으면서도, 동시에 그것들의 연구를 풍부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조낭빠 남탈』 (1465) 냐온 뀐가뻴(이하 냐온. 1285~1379) 부분의 연구를 통해 그러한 점들을 다음과 같이 보여준다: 이 남탈의 저자는 해탈로 향해가는 시간적 구조 내에 상징과 알레고리들을 배치하여, 냐온의 삶의 순간순간들에 깔라짜끄라딴뜨라(Kālacakratantra) 수행에 기반한 타공(gzhan stong)의 가르침을 드러내 보인다. 무상과 영원이라는 대립되는 시간적 구조 내에서 초월적 실재인 타공을 알레고리적 순간에 드러냄으로써, 조낭빠적 깨달음과 구원을 구체화한다. 독자는 이 남탈을 통해, 15세기 저자가 14세기 자파(自派) 타공 교의의 연속성과 우월성을 역사적・비역사적으로 재구성한 방식, 그 지점에서 내려진 냐온에 대한 자파의 확고한 평가 등을 읽어낼 수 있다. 그에 기초하여, 조낭빠 타공 교의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정당한 지성사를 구성할 수 있다. Tibetan Buddhist biographies are rich in information related to Buddhist history and philosophy. However, this information is inaccessible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he biographical narrative method and its structure, since authors used literary devices such as symbols and allegories to describe definitions of karma, the aspiration for liberation, the conflict between impermanence and eternity, and their subject’s realization,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a moral narrative. Attempting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such literary devices is therefore a process of hermeneutic circulation involving reference to corresponding texts and existing research results. Thus in understanding the biography as an open text, both a reliance on the study of Buddhist history and philosophy, and an enrichment of this field by the biography are made apparent. Herein, I demonstrate this through reading the section on Nya dbon Kun dga' dpal (hereinafter Nya dbon) in Jo nang Masters’ Biographies (1465). By placing symbols and allegories within a temporal structure leading to liberation, its author reveals the doctrine of the Kālacakratantra-based other-emptiness in moments of the life of Nya dbon. Through showing the doctrine in an allegorical moment using the opposing temporal structures of impermanence and eternity, the author embodies the notion of the enlightenment and salvation of Nya dbon, in the Jo nang sect. This is also the author’s way of establishing the continuity and superiority of the doctrine. Through an interpretation of this narrative style, readers can verify the self-appraisal of the doctrinal development in 15th century Jo nang pa, and also acquire a firm evaluation of the 14th century lama, Nya dbon, within the sect in terms of the doctrine. In addition,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Jo nang doctrine of other-emptiness can be deduced. In other words, meaningful intellectual history can be derived.

      • KCI우수등재

        공성과 아이온의 시간 : 티벳 불교 수행 해석의 한 가능성

        조석효(Jo, Sokhyo) 불교학연구회 2021 불교학연구 Vol.69 No.-

        조낭빠와 닝마빠는 각각 깔라짜끄라 딴뜨라와 족첸이라는 딴뜨라 수행을 통해 체득되는 공성을 수뜨라의 연장선 상에서 설명한다. 두 교파는 이러한 체험적 공성의 묘사에서 동일한 용어와 개념을 공유하지만, 수행의 상이한 접근과 단계에 있어 차이가 있다. 가령 공의 묘사인 락/공(樂空)의 경우에, 조낭빠는 궁극적 실재에 대한 초월적 체험, 닝마빠의 경우 공과 현상의 불가분성 설명에 초점이 있다. 이러한 공의 체험과 해석은 수행에서 핵심적인 이슈인 시간과 불가분인데, 그 묘사 역시 비슷하면서 다르다. 양자는 초월과 내재를 동일한 평면에 둠으로써 근원적인 비시성의 차원을 설명한다. 조낭빠의 경우, 점진적 수행을 통한 정화를 통해 일반적인 마음의 미혹이 제거되어 근원적 상태가 드러나는 깨달음의 상태를 궁극적 실재에 대한 체험이라 한다. 이것은 일반적인 시간 차원과는 다른 차원인 본초불 아디붓다(Ādibuddha)의 근원적 시간에 대한 묘사이다. 반면, 닝마빠의 경우, 일체의 개념적인 분별을 부정하는 궁극적인 차원의 비결정성을 강조한다. 족첸에서 일반적인 마음은 본래적 마음과 다르지도 같지도 않으며, 시간을 통한 비시간적 차원의 체험 차원이다. 족첸에서 삼세(三世)를 초월하는 ‘제 4시’인 비시간의 시간은 일반적 시간과 불가분인 본초불 사만타바드라(Samantabhadra)의 시간이다. 시간적 차원은 원래 비시간의 근원적 시간 차원으로 환원되지만, 그 근원적 시간은 불확정적 차원에 있다. 이러한 차이에도, 시간성의 차원과 맞물리는 두 교파의 공성 체험에 있어서, 실재는 일반적인 흐르는 크로노스가 아닌 공의 비시간의 시간 즉 아이온이라는 점, 또한 아이온은 흐르는 시간 내에서 흐르지 않는 동시적 시간으로서 체험적 공성의 평면이라는 점은 양자 모두 동일하다고 보인다. Emptiness as explained by Jo nang pa and Rnying ma pa, which regard sūtras as being hermeneutical realms not independent from tantras, is based on their tantric practices, the Kālacakra tantra and Rdzogs chen respectively. Both schools share identical terms and concepts to explain empirical emptiness, but show different approaches and descriptions. For example, regarding bliss/emptiness (bde stong), Jo nang pa explains it in terms of the transcendent experience of the ultimate; Rnying ma pa, in terms of the non-duality between emptiness and phenomena. Explanations of time, which are inextricably tied to their explanations of emptiness, are also similar but different. Both Schools explain primordial timelessness by placing irreducible transcendence and omnipresent and ever present immanence on the same plane. However, Jo nang pa emphasizes that, by means of a gradual approach to purify mental obscuration, the primordial state is revealed, which is an experience of the ultimate reality. This is also a description of Ādibuddha’s primordial tim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ime of sentient beings. Meanwhile, Rnying ma pa emphasizes the indeterminacy of the ultimate. In Rdzogs chen practice, when mind is reduced to the primordial state, practitioners realize that conventional mind is primordial mind. Timelessness is experienced through time. Thus, ‘the fourth time’, which is beyond past, present and future, is timeless time or an indeterminate time on which Samanthabhadra’s realization is grounded, being nondual with the three times. In this way, experience of emptiness is explained in conjunction with temporality in both Schools. I suggest that they both explain that ultimate reality lies not in a conventionally flowing chronos time but in a Deleuzian primordial time of aion simultaneous with chronos time, and that the time of aion can be understood as the plane of empirical empt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