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청남도 4대수계 주요 지류하천 수질 모니터링을 통한 유역 관리 방안

        박상현 ( Sanghyun Park ),김홍수 ( Hongsu Kim ),조병욱 ( Byunguk Cho ),문은호 ( Eunho Moon ),최진하 ( Jinha Choi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16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lan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a watershed through correct identification of a river watershed by using the flowrate of the river and water quality data, which i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water environment policy. The target river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was selecte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for 4 water system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the recent 3 years.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distribution of discharge capacity by a pollution source group fo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target river showed that most of the target river has a high discharge capacity in the water system for living and livestock. Analysis for the density of the total discharge capacity of the whole watershed of Chungcheongnamdo indicated that the river that needs water quality improvement has high BOD concentration and high discharge load density at the point that this river is located. Thus, for efficient watershed management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Chungcheongnamdo needs to improve the target river in priority. Stepwise planning is also required to establish and execut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order to satisfy said target water quality, and establish the index for the water improvement rate for its evaluation.

      • 수질개선 우선순위 대상하천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모델 연구

        최정호 ( Choi Jeongho ),김홍수 ( Kim Hongsu ),조병욱 ( Cho Byunguk ),박상현 ( Park Sanghyun ),이무규 ( Lee Muky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효과적인 수질개선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우선대상 관리하천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하천그룹화’ 및 ‘하천등급화’ 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하천그룹화 방법을 통해 4개(A~D)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중 A그룹, D그룹 18개 하천을 우선관리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하천등급화’는 의사결정분석 기법인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우선관리 대상하천을 선정하였으며, ‘하천그룹화’ 방법과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개수인 1위~18위까지 18개소의 하천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방법에 의해 선정된 우선관리 대상하천 18개 지점에 대하여 각 하천별 오염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각 하천 특성에 맞는 삭감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천그룹화’에 의해 선정된 18개 하천에 대하여 기 수립된 삭감계획 및 추가삭감을 반영하여 하천모델(QUAL-MEV)이용하여 수질 모의결과 BOD 기준 삽교천 28.6%, 무한천 12.2%, 곡교천 52.0%, 남원천 54.1%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T-P 기준으로는 삽교천 31.4%, 무한천 19.3%, 곡교천 57.2%, 남원천 25.6%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호소모델(EFDC)을 삽교호의 2030년의 수질을 예측해본 결과 TOC는 7.5mg/L에서 4.4mg/L로 약 41.3% 감소하였고, T-P는 0.179mg/L에서 0.114mg/L로 약 36.3%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천등급화’에 의해 선정된 18개 하천에 대하여 삭감이행에 따른 주요하천 및 삽교호의 수질변화를 예측해보았다. 주요 유입하천의 경우 BOD는 삽교천 32.7%, 무한천 17.1%, 곡교천 57.3%, 남원천 56.8%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T-P는 삽교천 35.9%, 무한천 29.2%, 곡교천 59.4%, 남원천 40.1%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삽교호 모의결과 TOC는 7.5mg/L에서 4.1mg/L로 약 45.3% 감소하였고, T-P는 0.179mg/L에서 0.096mg/L로 약 46.4%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우선관리 대상하천 선정방법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삭감을 이행하였을 경우 ‘하천등급화’ 방법이 ‘하천그룹화’ 방법보다 TOC는 4.0%, T-P는 10.1% 수질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수질개선 우선순위 대상하천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모델 연구

        최정호 ( Choi Jeongho ),김홍수 ( Kim Hongsu ),조병욱 ( Cho Byunguk ),박상현 ( Park Sanghyun ),이무규 ( Lee Muky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효과적인 수질개선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우선대상 관리하천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하천그룹화’ 및 ‘하천등급화’ 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하천그룹화 방법을 통해 4개(A~D)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중 A그룹, D그룹 18개 하천을 우선관리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하천등급화’는 의사결정분석 기법인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우선관리 대상하천을 선정하였으며, ‘하천그룹화’ 방법과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개수인 1위~18위까지 18개소의 하천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방법에 의해 선정된 우선관리 대상하천 18개 지점에 대하여 각 하천별 오염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각 하천 특성에 맞는 삭감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천그룹화’에 의해 선정된 18개 하천에 대하여 기 수립된 삭감계획 및 추가삭감을 반영하여 하천모델(QUAL-MEV)이용하여 수질 모의결과 BOD 기준 삽교천 28.6%, 무한천 12.2%, 곡교천 52.0%, 남원천 54.1%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T-P 기준으로는 삽교천 31.4%, 무한천 19.3%, 곡교천 57.2%, 남원천 25.6%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호소모델(EFDC)을 삽교호의 2030년의 수질을 예측해본 결과 TOC는 7.5mg/L에서 4.4mg/L로 약 41.3% 감소하였고, T-P는 0.179mg/L에서 0.114mg/L로 약 36.3%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천등급화’에 의해 선정된 18개 하천에 대하여 삭감이행에 따른 주요하천 및 삽교호의 수질변화를 예측해보았다. 주요 유입하천의 경우 BOD는 삽교천 32.7%, 무한천 17.1%, 곡교천 57.3%, 남원천 56.8%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T-P는 삽교천 35.9%, 무한천 29.2%, 곡교천 59.4%, 남원천 40.1%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삽교호 모의결과 TOC는 7.5mg/L에서 4.1mg/L로 약 45.3% 감소하였고, T-P는 0.179mg/L에서 0.096mg/L로 약 46.4%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우선관리 대상하천 선정방법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삭감을 이행하였을 경우 ‘하천등급화’ 방법이 ‘하천그룹화’ 방법보다 TOC는 4.0%, T-P는 10.1% 수질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수질개선 우선순위 대상하천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모델 연구

        최정호 ( Choi Jeongho ),김홍수 ( Kim Hongsu ),조병욱 ( Cho Byunguk ),박상현 ( Park Sanghyun ),이무규 ( Lee Mukyu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효과적인 수질개선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우선대상 관리하천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하천그룹화’ 및 ‘하천등급화’ 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하천그룹화 방법을 통해 4개(A~D)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중 A그룹, D그룹 18개 하천을 우선관리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하천등급화’는 의사결정분석 기법인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우선관리 대상하천을 선정하였으며, ‘하천그룹화’ 방법과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개수인 1위~18위까지 18개소의 하천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방법에 의해 선정된 우선관리 대상하천 18개 지점에 대하여 각 하천별 오염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각 하천 특성에 맞는 삭감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천그룹화’에 의해 선정된 18개 하천에 대하여 기 수립된 삭감계획 및 추가삭감을 반영하여 하천모델(QUAL-MEV)이용하여 수질 모의결과 BOD 기준 삽교천 28.6%, 무한천 12.2%, 곡교천 52.0%, 남원천 54.1%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T-P 기준으로는 삽교천 31.4%, 무한천 19.3%, 곡교천 57.2%, 남원천 25.6%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호소모델(EFDC)을 삽교호의 2030년의 수질을 예측해본 결과 TOC는 7.5mg/L에서 4.4mg/L로 약 41.3% 감소하였고, T-P는 0.179mg/L에서 0.114mg/L로 약 36.3%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천등급화’에 의해 선정된 18개 하천에 대하여 삭감이행에 따른 주요하천 및 삽교호의 수질변화를 예측해보았다. 주요 유입하천의 경우 BOD는 삽교천 32.7%, 무한천 17.1%, 곡교천 57.3%, 남원천 56.8%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T-P는 삽교천 35.9%, 무한천 29.2%, 곡교천 59.4%, 남원천 40.1%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삽교호 모의결과 TOC는 7.5mg/L에서 4.1mg/L로 약 45.3% 감소하였고, T-P는 0.179mg/L에서 0.096mg/L로 약 46.4%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우선관리 대상하천 선정방법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삭감을 이행하였을 경우 ‘하천등급화’ 방법이 ‘하천그룹화’ 방법보다 TOC는 4.0%, T-P는 10.1% 수질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하천등급화 모델을 이용한 삽교호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최정호 ( Jeongho Choi ),김홍수 ( Hongsu Kim ),조병욱 ( Byunguk Cho ),박상현 ( Sanghyun Park ),이무규 ( Mukyu Lee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6 No.3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are being implemented without predicting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Lake Sapgyo. As the method of selecting the target stream for the effective condu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the method of rating the streams were studied. To build a stream grading method, 60 major streams in the Lake Sapgyo system were monitored. The selection method of rivers subject to priority management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was applied to the stream grading metho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analysis of importance by site by stream grading method revealed the following: water quality (36.0%), flow (26.1%), travel load (13.4%), TMDL density (12.0%), TMDL (8.9%), and area (3.7%). The pollution level of the river was scored by using the stream grading method, and the ranking of 51 streams was calculated. Based on this, the group was classified into six grades (A-F). Among the groups, the F and E groups were selected as the priority management streams. Cheonan-Cheon (Cheonan City) was selected as the first stream to establish water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in the Lake Sapgyo system, and Seowoo-Cheon (Dangjin City) was selected as the second site, and Oncheon-Cheon (Asan City) was selected as the third site. Each local government is expect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with limited resources whe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water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treams (F group, E group) to be managed in this study.

      • KCI등재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삽교호수계 지류하천의 오염원인 분석

        최정호 ( Jeongho Choi ),김홍수 ( Hongsu Kim ),조병욱 ( Byunguk Cho ),박상현 ( Sanghyun Park ),이무규 ( Mukyu Lee ),이병구 ( Byeonggu Lee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21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7 No.3

        In this study, 48 streams in the Sapgyo Watershed were selected, and the Load Duration Curves (LDC) were drawn up for each stream using water quality and flow monitoring over the last three years (2018-2020), and it was evaluated whether the target water quality was achieved for each flow section. As a result of evaluating whether or not the target water quality exceeded according to the LDC, it was found that 22 rivers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Five rivers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due to point pollutant sources, 13 rivers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due to non-point pollutant sources, and 4 rivers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due to both point and non-point pollutant sources. Among the rivers that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due to point pollutant sources, which included domestic sewage of the untreated population,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influx of polluted loads by the untreated population. The use of eco-friendly fertilizers is recommended for rivers with a relatively high farmland ratio among rivers exceeding the target water quality due to non-point pollutant sources, and installation of boiling point reduction facilities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polluted load introduced during rainfall or manage water shores. In rivers with a large number of livestock breeding heads, the livestock houses located in these rivers need to be preferentially transferred to livestock manure treatment plants. Due to the high ratio of land area because of urbanization, initial rainwater treatment facilities are required to reduce the amount of pollutant load flowing into the river through the impermeable layer during rainf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