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滿洲지역 地方志에 나타난 한국고대사

        조법종(Cho, Bup-Jong)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8

        The Chinese provincial site data is an important documentary that contain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traditions, relics and artifacts of the Chinese border area. These materials provide new materials and contents related to ancient history, especially in the Manchu area related to Korea-China exchange, such as Gojoseon and Koguryo. In this study, we review the Rayoning-regional history data of the ancient pre - modern times in China and examin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cient history. In this study, the following data are used for the study, named Chinese local area Data collection 『中國地方志集成』 . What is noteworthy in this document is that various data not known to the existing academic world are transmitted as tradition data. First,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Chinese nationalist history system is being organized early. Second, while the Ming Dynasty records are not the territory of Koguryeo, the Qing and modern Chinese records clearly show that this area is the territory of Koguryeo and not the territory of China. In addition, there are records of local defeat in the battle of Koguryeo and Tang-Taejong during the war with Koguryeo, the situation in each battle, and detailed local tradition of the area concerned. Therefore, these data can be used as hidden data of ancient Korean history and it is very useful in that it presents the international war situation between China and Koguryo objectively.

      • KCI등재

        Main Points of Contention in Terms of the Studies on Tan'gun and Kojosŏn

        Cho Bup Jong(조법종)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8 No.-

        고조선(古朝鮮)은 한국사의 첫 국가로서 한국사의 인식체계에서는 ‘단군(檀君)’, ‘기자(箕子)’, ‘위만(衛滿)’ 등 3개의 성격을 달리하는 존재와 연결된 정치체가 계기적으로 고조선으로 통칭되는 역사를 구성하여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고조선의 역사를 전하는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한 《삼국유사》, 《제왕운기》 등 기록과 국가적 성장이후 중국과의 관계가 중심이 된 《사기》와 《삼국지》가 인용한 《위략》 기록 등에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고조선과 관련된 고고학적 문화양상은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및 지석묘(支石墓)와 石棺墓로 대표되는 靑桐器文化를 필두로 철기문화단계까지 연결되고 있다. 이같은 문화는 中國系 靑銅器文化와는 구별되는 遼東半島, 東北滿洲 및 韓半島에 분포하였다. 특히 중국과는 春秋ㆍ戰國時代 및 秦ㆍ漢교체기에 朝鮮이란 존재로 다양한 정치세력과 조우하였다. 또한 衛滿朝鮮시대를 전후하여 匈奴로 대표되는 騎馬遊牧勢力과의 교류도 있었다. 이같이 고조선은 이들과의 정치, 군사, 경제적 교류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축적하였으며 정치적 성쇠과정을 통해 중심지와 영역의 변화도 수반되었다. 고조선문제에 있어 가장 많은 논란과 쟁점이 부각된 문제는 中心地문제였다. 이는 고조선의 중심지가 한반도 특히, 平壤이 고조선의 중심지였다는 平壤中心說과 遼東지역 遼河 또는 大凌河를 중심한 지역이 고조선의 중심지로서 존재하였다는 遼東中心說로 그리고 요동지역에서 대동강지역으로 이동하였다는 이동설로 나뉘어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른 패수, 왕검성 위치 등의 역사지리논쟁이 고조선문제에서 여전히 남아있다. 한편, 고조선은 위만조선단계에서 漢의 대결구도속에 전쟁을 통해 정치적 붕괴와 한 군현체계에 의한 통제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는 곧 고구려 등에 의해 축출되고 친중국적 토착세력과 연결된 낙랑으로 명맥이 유지되고 고조선은 후대 역사체에 의해 계승되었다.

      • KCI등재

        高仙芝와 고구려종이 ‘蠻紙’에 대한 검토

        조법종(Cho Bup-jong)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3

        중국 제지술의 서방전래는 751년 唐이 大食國(아랍)과의 탈라스전투에서 패한 후 唐나라 포로들이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이 전투는 고구려유민 고선지장군의 지휘하에 진행되었다. 또 휘하부대에는 고구려유민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고 이들도 포로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고구려는 발달된 종이제조기술을 보유하여 고구려종이 ‘만지(蠻紙)’를 당나라에 수출하여 唐代 文人들이 이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고구려에서는 수많은 서적이 제작되었는데 당나라 장수 이적(李勣)이 평양성을 함락한 뒤 고구려의 문화적 우수성을 말살시키고자 전국의 책을 모아 불살랐다. 이는 우리나라 서적이 당한 최대 참변으로 후대에 인식되었는데 이처럼 종이제작은 고구려에 일반화된 사실이었다. 또 7세기 초 고구려승려 담징은 일본에 제지술을 전하였다. 따라서 최초로 서방 사마르칸트에 전해진 제지술과 고구려의 종이 제지술을 보유한 고구려유민이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광개토왕릉비의 四面碑 특성과 동북아시아적 전통

        조법종(Cho, Bup Jong)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1 No.-

        고구려가 수용한 첫 비석의 형식은 당시 前秦이 후한시대 판비형 양면비 형식을 수용 정립한 양식을 그대로 나타낸 集安 高句麗碑로 나타났다. 그런데 장수왕이 세운 광개토왕릉비부터는 중국적 형식과 내용을 완전히 달리한 새로운 石柱形의 四面碑로 바뀌어 高句麗碑만의 새로운 전통과 문화를 보여 주었다. 광개토왕릉비는 고구려가 중국적 묘비형식과는 다른 새로운 사면비 전통을 세워 중국의 장제문화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의 묘비문화를 이룩한 대표적 상징물이다. 이는 동북아시아 立石 및 사슴돌로 상징되는 종교적 신성조형물의 사면비 전통을 계승한 새로운 비로서 이후 충주고구려비와 신라의 울진봉평비, 마운령, 황초령비등에 그 형태적 영향을 미쳤으며 돌궐의 톤유쿠크비 및 중국이 만들어주었지만 사면비로 변환시킨 퀼테긴비 및 위그르의 사면비문화에도 연결되어 중국의 묘비문화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의 독자적 비석문화 전통을 수립하였다. The first tomb stone in Kogurye is Jian Kogurye tomb stone. Jian Kogurye tomb stone type is post-Han two sides style. But the tomb stone of King Kwanggaeto is unique style which four sides tombstone. It’s style is similar to menhir. The two of them are much alike in character especially stand erect. So the tomb stone of King Kwanggaeto is distinguished China inscription on a tomb-stone in shape and described side. I assume that the proto type is originated by east aisan menhir culture. And the other line is mogolian deer stone. These two origins are shape and using side method. The new style of Kogurye tomb-stone, four sdies type, influenced to Silla epitaph named Uljin Bongpyung-Bi, Maunryung-Bi, HwangChoryung-Bi. And after Kogurye collapse, so many people refuged to Turk. The turk tomb-stones, named Tonyuquq epitaph, Kultegin’s Memorial Complex, are similar to Kogurye four-sides tomb stone. So the turk four sides type epitaph arec onnected to Kogurye tomb-stone style.

      • KCI등재

        중국 요하문명론의 전개와 의미

        조법종(Cho Bup-Jong)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1

        Recently Chinese academics have started a claim that the origin of the Chinese civilizationthe began to Yellow River. They changed that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 one, but Chinese civilization began in several places. Then, Liao civilization(遼河文明) of the oldest civilizations have been proposed. The heart of the Liao River civilization is a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is a culture of the Neolithic. The archaeological site at Niuheliang(牛河梁) is a unique ritual complex associated with the Hongshan culture. Guo Da-shun see the Hongshan culture as an important stage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 And he said that Hongshan culture is believed to have exerted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 and Manchulia. Especially Chinese excavators have discovered an underground temple complex -- which included an altar -- and also clay female head in Niuheliang. They assert that it is representation of Chinese original the ancestral temple of the royal family. Chinese scholar said that some part of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and Liao civilization(遼河文明) were connected to Koean neolithic culture anmd bronze age culture. It means that from pre-historic age Chinese culture had influenced to Korean culture. Also Liao civilization assert that the Kitan(契丹) and the Manchurian(女眞族) is one of Chinese Nation. And so many relics of the civilization of the Liao River Valley exhibited in the Lianoning provincial museum. But Korean scholar thought quite the opposite. They said that the culture of Liaodung region is distinguished central china culture. So we must research the culture of Liaodung region and we must do our best to solve the problems which confront us now.

      • KCI등재

        中國의 ‘長白山文化’論과 高句麗

        조법종(Cho, Bup-Jong) 백산학회 2006 白山學報 Vol.- No.76

        China’s studies on the Gochosun(古朝鮮) is connected to the China Nationalism. So many articles emphasis that Gochosun(古朝鮮) and Koguryo(高句麗) are belong to China History. Recently China’ Historical aggression to Korean Ancient history is turned to another part, Chingbaisan Culture(長白山文化). Chingbaisan Culture(長白山文化) is the project to change Baekdusan(白頭山) as the beginning area of Yeojin(女眞). China’s scholar It means that Baekdusan(白頭山) is not the symbol of Korean Culture. And the Baekdusan(白頭山)’s chinese naming, Chingbaisan(長白山) is the origin area of Yeojin(女眞). So China’s intention is to break off historic relations Baekdusan(白頭山) with Korea. Therefor Korea Historian should cope with the new situation and make countermeasur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 고중세 백두산신앙과 만주명칭의 기원

        조법종(Cho Bup-Jong) 한국사연구회 2009 한국사연구 Vol.147 No.-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 identity in relation with Bakdusan have shaped up from Koguryo period. It have been succeeded to unified Silla and Koryo dynasty blending with a belief in Munsoo Bodhisattva and mountain worship. These cultural tradition was received to privately owned Confucian field in Choseon dynasty. And it seems that this tradition of belief in Munsoo Bodhiattva and mountain worship infused into Yeojin, finally making terminology Manchulia to mark a symbol of their identity after Ching(淸) dynasty. The title Yeojin(女眞) was turned to Manchulia(滿洲) and though this expression have argument about its etymological origin, official elucidation was proclaimed the meaning of Manchulia(滿洲) in relation to Munsoo(文殊) Bodhisattva in The origin of Manchulia 《滿洲源流考》 Further, this historical material refers that their ancestor Pogoriyongsun(布庫?雍順) established a tribe and it originated from the name of the tribe. This have also close connection with Munsoo Bodhisattva in Bakdusan(白頭山). In other words, the religion blending with a belief in Munsoo Bodhisattva and mountain worship already had been existed from Koguryo period, it have been succeeded to unified Silla and Korea dynasty before the Royal House of Chong have regarded Bakdusan as a sacred birthplace. So it is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that the etymological origin of Manchulia(滿洲) adhere closely to Korean religion of Bakdusan. For this reason through the alteration of name Yeojin to Manchulia(滿洲) they were realized following self identity establishment of Chong. This fact reconfirms not only they had been nations sharing a common destiny with Koguryo ever since Malgal(靺鞨) in the past but also maked the most use of systematizing integration of mountain worship and Buddhism. Therefore the research of the term Manchulia(滿洲) acertains that the matrix of Yeojin(女眞) had been very deeply connected with Korean historical system going back to the Korea, unified Silla, Balhae, Koguryo.

      • KCI등재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조법종(Cho Bup-Jo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1

        일본의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은 단군부정 연구와 한사군 역사지리 및 낙랑군연구로 집약되어 있다. 먼저 檀君에 대해서는 관련 사료가 고려시대 이후 출현하고 있다는 문제를 부각하여 고려시대 불교적 인식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신화로 규정하여 단군말살을 기도하였다. 또 일부에서는 단군을 일본 天照神의 동생이라 하여 일본신화로 왜곡하기도 하였다. 이 같이 단군을 말살하거나 왜곡한 것은 단군이 국권회복의 구심점으로 부각되자 단군을 역사에서 제거하여 식민통치를 원활히 하고 내선일체를 합리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키 위한 기도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고조선역사에 대한 검토는 철저히 외면한 채 한군현과 낙랑관련 연구만을 진행해 우리 역사의 독자적 출발과 한제국과 맞서 싸웠던 강력한 국가 고조선을 제거하고 한국의 역사는 漢나라의 식민지인 漢四郡으로부터 시작했으며 한반도 남부는 일본에게 지배를 받았다는 이른바 ‘任那日本府說’과 연결짓는 타율적 역사인식의 출발점을 만들었다. 이러한 단군의 부정과 한사군강조에 의한 고조선사의 왜곡은 이후 한국고대사 전개의 기반을 타율적 논리와 반도사관적 인식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 같은 일본의 식민적 고조선사 해석에 대해 우리 학계는 단군의 역사성과 실재성 및 고조선과 고구려로 연결되는 단군인식의 유구성등을 밝히고 이를 입증하는 노력이 전개되었다. 특히, 고조선의 위치문제와 고고학적 성격에 대한 남북한 학계의 꾸준한 연구와 노력은 고조선의 실체 파악을 위한 다양한 견해와 가능성을 제시하여 고조선문제에 대한 식민사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과 함께 구체적 대안과 실체적 진실을 결과하는 성과를 내었다. 그러나 아직 고고학적 자료의 중국, 북한 편중에 따른 제한적 검토환경과 문헌사적 인식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입장은 고조선의 위치논란 및 고고학적 성격 검토를 위한 향후의 과제로서 남겨져 있다. Japanese historians studied Gojosun history for the colonial purpose. Their main part of research is devied two parts, especially Tangun(檀君) and the geograpical position of Hangunhyun(漢郡縣). Japanese historians doubt the truth of Tangun. So they concentrated to deny the reality of Tangun by means of the historical materials ware mad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Koroy period. And they emphasized that the position of gojosun capital is located in Korean peninsula. There are many kinds of opposing argument against Japanese’s contention. In part of Tangun, The first assertion is to raise the historical materials's year. The another part is connecting Tangun myth to Koguryo period by analysis of Koguryo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And the dispute over a point of geographical position is solved by archaeological method. We must do our best to solve the problems which confront us now. Especially the position of Gojosun capital.

      • KCI등재

        고구려유민의 백제 金馬渚 배치와 報德國

        조법종(Cho, Bup Jong)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백제 후기 거점지역인 金馬渚 즉, 현재의 익산지역은 고구려유민이 고구려부흥전쟁을 진행하는 중심 거점으로 자리한 지역이다. 보덕국의 출발은 고구려 부흥운동과 羅唐 전쟁 및 신라의 고구려, 백제유민 통제정책의 전개과정에서 탄생한 고도의 정치적 산물이었다. 670년 문무왕에 의해 금마저지역으로 고구려유민이 옮겨지고 684년 반란을 일으킨후 신문왕에 의해 토벌된 15년의 기간동안 고구려유민들은 고구려부흥의 꿈을 이루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신라입장에서 백제의 금마저지역은 무열왕의 죽음을 암시한 水變爲血 현상의 공간으로 이후 백제부흥군과의 갈등양상을 고려하면 모종의 사건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공간으로 이 지역에 대한 새로운 통제책이 필요하였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고구려유민의 사민과 보덕국설치를 통한 백제유민, 고구려유민 통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금마저지역은 명칭에서 나타나고 있듯이 금강, 만경강과 바다 및 산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주변 외부세력의 도움없이는 공간적 확장이 곤란한 공간이었다. 이같은 지역적 특성을 감안해 신라는 고구려유민을 이곳에 배치시켰다. 한편 고구려유민들은 신라 신문왕의 보덕국해체기도에 대항하여 684년 겨울에 반란을 일으켰는 데 그 공간은 현재의 왕궁리유적 공간과 보덕성으로 알려진 익산 토성 등 주변 공간을 활용하였다고 파악된다. 또한, 685년 3월에 완산주와 남원소경이 설치된 것을 감안할 때 3~4개월에 걸친 반란은 신라의 강력한 토벌로 붕괴되고 이후 보덕국민들은 남쪽 州郡으로 사민되었다. 관련 기록에 나타난 공간으로 남원 지리산의 옥보고 관련공간 및 전주의 고구려승려 보덕관련 지역 및 금마지역까지 관련 인물들이 확인된다. 결국 고구려유민들은 현재의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분산 배치되어 신라사회에 편입되어 갔으며 그 문화적 영향성은 고려, 조선초기까지 흔적을 남긴 것으로 파악된다. Iksan is a place of main Baekje area and in 661, this place implied the death of Silla muyeolwang. The sign of water changes to blood is the meaning of king death and war. The incident took place after the resistance of the Baekje resurrection army. In 670, also Iksan area changed stronghold of Koguryo resurrection army forces by Silla. But Iksan area was isolated by rivers and the sea. In this place, Silla installed Bodeok state which composed by the displaced Koguryeo people. Bodeok statewas created for political purposes. The purpose of installing the bodeok stationis to control the displaced Koguryeo and Baekje people. Displaced Koguryeo people were trying to revive through Bodeok state. In 684, Koguryeo displaced are revolted against the control of Silla. Their rebellion was eventually Subjugation by Silla and the rest were distributed in Jeonju and Namwon. In Jeonju and Namwon area has remained associated ruins with the Koguryeo displa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