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업보건기관 탐방기 - 환경과 인간, 함께 살아가기 위한 모두의 노력을 위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조민경,Jo, Min-Gyeong 대한산업보건협회 2018 산업보건 Vol.2018 No.-

        산업 발달은 인간에게 편리함과 풍요로움을 가져다준 반면, 환경문제를 일으킨 지 오래, 이제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위험 요인을 곳곳에 뿌려놓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인간이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환경 유해 요인을 분석하고, 전문적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분야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는 이런 사회적 상황에 부응하는 학과로 최근 발생하는 환경보건 문제를 주시하며 꾸준한 연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 노인의료복지학 석사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조민경 ( Min Kyeong Jo ),서민호 ( Min Ho Suh ),서명환 ( Myung Hwan Seo ) 한국노인의료복지학회 2014 노인의료복지연구 Vol.6 No.1

        This study alms to analyze the tendency of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utilized by the past five years` dissertations (from 2009 to 2013) for master`s degrees about seniors` medical welfare at Graduate School.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102 dissertations in the yearly analysis of them, According to the yearly analysis, the number of the dissertations for master`s degree that were turned out in 2012 was twenty four, which was the largest during the five years. and seventeen in 2013, the smallest number during that time. Secondly, as for the analysis of the dissertation subjects, the subject of the other various subjec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39.2%) of all. the elderly accounted for 38.2%, and professions for the elderly were treated as a subject by less than 23% of all the dissertations. Thirdly, as for the these of the dissertations, many of the dissertations for master`s degrees dealt with psychological themes. As for sub-divisions, the matter of satisfaction was mostly treated by dissertations for master`s degrees.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심리적 스트레스와 해마용적 간의 관계

        조민경(Min-kyung Jo),홍창희(Changhee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2

        본 연구는 심리적 스트레스 경험과 해마 용적의 차이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1990년도에서 2016년도까지 출판된 국외 문헌들 중 스트레스를 경험한 개인의 해마 용적을 측정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PRISMA에 따라 스트레스 경험 집단과 정상 집단 간의 해마 용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MRI를 사용하여 해마용적의 평균, 표준편차, 사례수가 제시된 연구들이 분석에 사용되었고, 13편의 연구(스트레스 경험 374명, 정상 대상자 439명)가 최종 선별되었다. 스트레스원의 유형에 따라서는, 전쟁관련 연구 8편, 개인적 외상사건 관련 연구 5편으로 나눌 수 있다. 전체 메타분석에서 효과크기는 –0.70(-1.04; -0.37)이었고, 스트레스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전쟁 관련 하위집단에서의 효과크기는 –0.47(-0.78; -0.16), 개인적 외상사건 관련 하위집단에서의 효과크기는 –0.91(-1.57; -0.26)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의 경험과 해마 용적 간의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만성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그로 인한 환자집단들의 해마 용적은 각 연구 간 이질성이 높은 편이었지만, 3개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해마 용적이 통제집단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hippocampal volume differences between a stress-laid group and normal individual group via meta-analysis. This investigation included studies that contained hippocampal volume measurements in association with stress from 1990 to 2016.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measurements of hippocampal volum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mean size, standard deviation and sample size. The pooled effect size was measured by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his meta-analysis included 13 studies comprising 374 stress subjects and 439 normal subjects. Eight studies targeted war-related veterans and holocaust survivors, while five targeted personal trauma associated with childhood abuse, rape, accident or financial hardship.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Hedges" g) was -0.70 (-1.04; -0.37). Overall, the SMD value was -0.70, with a moderate effect size, but high heterogeneit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or, studies were divided by subgroups of war-related veterans and subjects with personal trauma and then analyzed again. In the war-related subgroup, the Hedges" g was -0.47 (-0.78; -0.16), while in the personal stressor-related subgroup it was -0.91 (-1.57; -0.26).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stress and hippocampal volume.

      • KCI등재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의 유무에 따른 비장애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

        조민경(Jo Min Kyoung),강영심(Kang Young Sim),손성화(Son Sung Hwa)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의 유무에 따라 비장애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와 경상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중학생 27명과 발달장애 형제자매가 없는 비장애 중학생 29명이다. 비장애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표준화 성격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의 유무에 따라 비장애 중학생이 보이는 성격적 특성은 책임감과 자신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중학생이 발달장애 형제자매가 없는 비장애 중학생보다 책임감은 높았으며 자신감은 더 낮게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 중학생의 정서적 특성은 우울조절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중학생이 발달장애 형제자매가 없는 비장애 중학생보다 우울조절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 중학생의 부적응적 특성은 스트레스지수와 타인에 대한 의식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중학생이 발달장애 형제자매가 없는 비장애 중학생보다 스트레스 지수가 높았으며, 타인에 대한 의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를 중심으로 발달장애가 있는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중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대해 차별화된 정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tra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27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iblings and 29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y siblings liv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 was found that ‘stability’, ‘extroversion’ and ‘directed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motional trai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 was found that ‘anxiety regulation’, ‘self-assertiveness’,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aladaptive trai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stress index’ and ‘other-conscious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t, but it was found that ‘acting-out tendenc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 기획논문2 : 갈등 양상을 통해 본 <홍계월전>의 지향 가치 -여성의 자아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조민경 ( Min Kyeong Jo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8 No.-

        본 연구는 <홍계월전>을 대상으로 이본에 따른 서사 분석과 갈등 양상을 통해 작품을 분석하고, 다른 여성영웅소설과의 비교를 통하여 <홍계월전>의 지향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홍계월전>의 서사 분석은 순차 구조와 함께 서사적 국면에 따른 분석을 시도하였다. 서사적 국면의 변화는 고난을 통해 나타나고, 서사적 추동력의 역할을 하는 것은 여공, 곽도사, 천자이다. <홍계월전>의 갈등 양상은 계월과 보국의 갈등과 계월과 평국의 갈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자는 평등의식을 가진 계월과 권위의식을 가진 보국과의 갈등을 의미하고, 후자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아실현하려는 개인의 욕망과 이것을 허락하지 않는 규범 사이의 갈등을 의미한다. 갈등 양상을 통해 살펴본 <홍계월전>의 지향 가치는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홍계월전>은 평등한 관계를 지향한다. 홍계월은 가정 안에서 남녀의 평등한 관계를 위해 노력하였고, 타자와의 상호협력을 통해 영웅성을 지속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둘째, <홍계월전>은 주체적 삶을 지향한다. 홍계월은 ‘남장(男裝)’이라는 수단을 써서 공적 영역에 진출하였고, 교육을 통해 능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홍계월은 성 역할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홍계월전>이 고정관념에 맞서 자아실현하는 주체적 여성의 모습을 담고 있는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홍계월전>은 당시대 독자들에게는 그들의 욕구를 문학을 통해 대리만족했다는 점에서, 현대 독자들에게는 주체적 삶의 태도를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문학 작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rrative construct, confliction aspect through the different editions of the Honggyewoljeon, and reveal the oriented value of the Honggyewoljeon comparing to heroine novels. The narrative construct of the Honggyewoljeon is analyzed depends on the narrative phrase with using sequential structure. The conflict aspect of the Honggyewoljeon is divided into two aspects: the conflict of Gyewol and Boguk and the Gyewol and Pyoungguk. The conflict of Gyewol and Boguk means Gyewol of awareness of equality and Boguk of authority while the conflict of Gyewol and Pyoungguk presents the discord of person`s unconscious wishes to self realization in the patriarchal society and the social norms which do not accept the value above. The oriented value of the Honggyewoljeon are as follows: First, the Honggyewoljeon aims to the relationship of the equality. Honggyewol tried to make the equal relationship of married couple in the family and showed the persistence of the female hero`s ability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others. Second, the Honggyewoljeon pursues an independent life. Honggyewol went into the world of the public space by male disguise and showed her capacity through education. Honggyewol is the one who made an effort for her self realization against the stereotype of the gender role. In conclusion, Honggyewoljeon is the work of presenting a independent woman who seeks to self realization against the stereotype. Honggyewoljeon was the role of vicarious satisfaction for the readers at that time and it also represents much to the readers who live in the current age by providing the attitude of living independently.

      • 노인의료복지학 박사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조민경 ( Min Kyeong Jo ),조만복 ( Man Bok Jo ),노은미 ( Eun Mi Noh ) 한국노인의료복지학회 2014 노인의료복지연구 Vol.6 No.1

        This study alms to analyze the tendency of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utilized by the past five years` dissertations (from 2009 to 2013) for doctoral degrees about seniors` medical welfare at Graduate School.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99 dissertations in the yearly analysis of them, According to the yearly analysis, the number of the dissertations for doctoral degree that were turned out in 2010 was twenty six, which was the largest during the five years. and seven in 2013, the smallest number during that time. Secondly, as for the analysis of the dissertation subjects, the subject of the other various subject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43.3%) of all, the elderly accounted for 43.3%, and professions for the elderly were treated as a subject by less than 14% of all the dissertations. Thirdly, as for the these of the dissertations, many of the dissertations for doctoral degrees dealt with the other and psychological themes. As for sub-divisions, the matter of satisfaction was mostly treated by dissertations for doctoral degrees. Fourthly, as for the methods of collecting materials, 90% of the dissertations for doctoral degrees implemented questionnaires (including interviews). Fifthly, as for the research methods of the dissertations, 87% of the dissertations for doctoral degrees used post-test experiment designs. Finally, as for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48% of the disseratations for doctoral degrees commonly utilized the method of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n multivariate analysis.

      • 약용식물(오크라, 엉컹퀴, 엄나무, 줄풀) 유래 페놀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

        최진영,조민경,구영미,김현경,신진원,김동영,김혜진,이은호,김나현,조영제,Choi, Jin-Young,Jo, Min-Kyeong,Goo, Young-Mi,Kim, Hyun-Kyung,Shin, Jin-Won,Kim, Dong-Yeong,Kim, Hye-Jin,Lee, Eun-Ho,Kim, Na-Hyun,Cho, Young-Je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5 慶北大農學誌 Vol.33 No.2

        안전한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항산화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오크라, 엉컹퀴, 엄나무 및 줄풀 등 4종의 천연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해보았다. 추출물의 총 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오크라와 엉컹퀴는 50% ethanol, 엄나무는 40% ethanol, 줄풀은 60% ethanol에서 최대용출을 나타내었으며, water 추출물에서 2.72~34.15 mg/g, ethanol 추출물에서 2.83~34.23 mg/g의 용출율을 나타내었다. 4종류 약용식물 water과 ethanol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50{\mu}g/mL$의 저농도에서 모두 74%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4종의 약용식물 water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100{\mu}g/mL$의 농도에서 모두 88% 이상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측정한 결과, 엉컹퀴 water과 ethanol 추출물 $50{\ddot{I}}g/mL$의 저 농도에서 각각 1.73과 1.76 PF로 다른 약용식물 보다 높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TBARs 생성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오크라를 제외한 3종의 약용식물 추출물 $50{\mu}g/mL$ phenolic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다양한 약용식물 추출물이 항산화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Hibiscus esculentus, Cirsium japonicum, Zizania latifolia and Kalopanax pictus for functional food source were examin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phenolic compounds extraction from medicinal plants were at 50% ethanol with Hibiscus esculentus and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t 40% ethanol with Kalopanax pictus and at 60% ethanol with Zizania latifolia. The total phenolic contents from the extracts of medical plants were determined to be 2.72~34.15 mg/g in the water extracts and 2.83~34.23 mg/g in the ethanol extracts. The electron-donating abilities (EDA)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both above 74% at the low concentration of $50{\mu}g/mL$. The ABTS radical-cation decolorization was above 88% at $100{\mu}g/mL$ concentration in all the extracts of various medicinal plants. The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in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he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extracts was $1.73{\pm}0.02PF$ and $1.76{\pm}0.01PF$ at $50{\mu}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and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edicinal-plant extracts. The TBARs inhibition rates of all the medicinal-plant extracts, were above 80% at the $50{\mu}g/mL$ concentration except Hibiscus esculentu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various oriental medicinal plants (Hibiscus esculentus,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alopanax pictus and Zizania latifolia) tha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re useful anti-oxidant and functional-food resources.

      • KCI등재

        고형 에탄올 연료의 기본 물성치 및 연소특성

        김혜민,조민경,양성호,Kim, Hyemin,Jo, Min Kyung,Yang, Sung Ho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9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3 No.3

        현대에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액체 및 고체연료는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은 각 연료의 단점을 극복하고 장점만을 취하고자 새로운 형태의 연료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액체 에탄올을 고형화 하는 공정을 개발하고, 제조된 연료의 기초 물성치 및 연소특성을 관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형 에탄올은 아가로스 하이드로젤을 제조하고 이를 에탄올에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 조건으로 제조된 고형 에탄올 연료의 정성적/정량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조된 연료의 유효성 및 고형 에탄올 연료의 실제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Liquid and solid fuels currently in use have various pros and cons. As a result, researches are dedicated to produce a new form of fuel that utilizes the advantages and overcomes weakness of conventional fuels. In the present study, a new method for making solidified ethanol fuel is introduced, and its preliminary propertie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 are observed. The solidified ethanol fuel was made through the production of agarose hydrogel, and its subsequent soaking into pure ethanol. The properties of the solidified ethanol fuel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bserved, and i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discussed.

      •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상관관계

        전주영(Jeon, JuYoung),조민경(Jo, MinKyoung),김해영(Kim, HaeYoung),이은혜(Lee, EunHye),김수경(Kim, SuKyou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전 및 충남 소재의 6~8세의 학령전기 아동들(일반아동 15명, 발달장애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DTVP-Ⅱ)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손의 기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젭슨-테일러손 기능 검사(Jebsen & Taylor hand function test)를 사용하였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우세손 기능, 전체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반아동과 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반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우세손 기능은 각각 연령, 연령과 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했을 때도 시지각 발달은 연령과 기관, 우세손 기능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우세손) 사이에 상관성이 나타났다.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 사이에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시지각 발달 및 손 기능에 차이가 있다. 일반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의 일부 영역은 발달장애 아동보다 우세하다. 일반아동 및 전체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손 기능(우세손)은 일반적 특성(연령, 기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의 시지각과 손기능의 발달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적절한 교육과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typically developing and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From 20 October through 17 November in 2006, we visited 2 kindergartens, 2 elementary schools, 1 special school in Dae-jeon and Chung-nam.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childrens(15 typically developing and 15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6~8 years old).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K-DTVP Ⅱ) were employed for evaluation tool for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Jebson & Taylor hand function test were employed for evaluation tool for hand func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ubjects' performance on K-DTVP Ⅱ and Jebsen & Taylor hand function test. Visual perception and dominant hand of normal children on general charac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e identified significant difference that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dominant hand function of total children, but not in same general charact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dominant hand function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total children. Between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of normal and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as different. Some parts of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better than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s.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dominant hand) of normal and total children were different on some of general characters. Correlation of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dominant hand)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found out but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hand function in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were not foun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