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영광 동래정씨의 분산수호와 갈등 ― 영광 동래정씨 산송 사례를 중심으로 ―

        조미은 ( Jo Mi-e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9 호남학 Vol.0 No.66

        산송은 분산을 수호하는 과정에서 수호권이 대립함에 따라 발생한 분쟁이었으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偸葬 및 禁葬 문제를 중심으로 표출되었다. 시기적으로는 16∼17세기를 전후로 등장하여 18∼19세기에 이르면 사회 전반에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성행했다. 조상의 분묘를 수호하는 양반 사대부가라면 산송을 겪지 않은 집이 없을 정도로 조선 후기 사회를 휩쓸었다. 16세기 말 영광으로 낙남하여 정착한 동래정씨 가문 역시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광에 세거하고 있는 동래정씨는 竹窓 鄭弘衍(1565∼1639)이라는 인물을 입향조로 모시고 있는 가문이다. 가문을 유지하고 성장시켜 나가기 위해 거주하고 있는 인근 지역에 장두산을 종산으로 형성하여 부계 중심의 종족질서에 따라 분산을 수호해 왔다. 그 과정에서 동래정씨 또한 사회적 변화와 맞물려 잦은 산송과 여러 분쟁에 휘말리게 되었고, 원지에 있는 분산수호가 이러한 분쟁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동래정씨는 종법질서와 유교적 이념에 따라 분산을 수호하고 가문을 지키려고 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동래정씨 가문 소장 고문서 자료에 잘 나타나 있다. 현전하는 동래정씨 소장자료 가운데 산송 및 분쟁과 관련된 사례 55점을 분석해 보았다. 분묘를 수호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산송, 위토 분쟁, 묘역의 침탈, 기타 지산사 운영 관련 면역 요청 사례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를 묘지 소송과 갈등, 위토와 묘지기 분쟁, 선조의 실전 묘 찾기와 수호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동래정씨의 분산수호는 세거지 인근에 위치한 영광의 근지분산과 상주의 원지분산 수호 사례를 함께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분산을 수호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사회적 갈등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어떻게 대응해 나갔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Sansong, a lawsuit on graveyard, was a dispute from the confrontation of protection right in the course to protect the mountain with graveyard, which was exposed mainly in the matters of secret burial and forbidden burial. It was emerged from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y, prevailing in the 18<sup>th</sup> to 19<sup>th</sup> century throughout the society. Sansong was very common in the late Joseon that most of Yang Ban families had experienced to protect the graveyards for ancestors. Dongrae Jung’s family settled in Youngkwang in the late 16<sup>th</sup> century showed the situation of the times well. DongraeJung’s family in Youngkwang was a family to serve Jukchang Jung Hong Yun (1565∼1639) as the first ancestor. To maintain and grow the family, they developed Jangdu mountain near their residence as a family graveyard mountain, protecting it according to the paternal line-oriented family order. Meanwhile, Dongrae Jung’s family experienced multiple times of lawsuits on the graveyard and protection of mountain with graveyard in the original place caused to enhance these disputes. However, Dongrae Jung’s family tried to protect their mountain with graveyard and family according to their family order and Confucian ideology. These historical background was shown in the old documents held by Dongrae Jung’s family.

      • KCI등재

        조선시대 왕세자문서와 국왕문서의 비교 연구 - 명령문서와 보고문서를 중심으로 -

        조미은 ( Jo Mi-eu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69 No.-

        본 논문은 현전하는 왕세자문서 가운데 왕세자가 내린 명령문서와 왕세자에 대한 보고문서를 국왕문서와 함께 비교ㆍ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왕세자문서의 문서식을 복원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왕세자문서는 왕세자가 직ㆍ간접적으로 발급 혹은 수취한 문서로서 차기 왕권 계승자로서의 면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문서이다. 그러나 왕세자문서의 특성상 국왕문서에 비해 현전하는 문서의 실례가 매우 희소하고, 기본적으로 국왕문서 형식에 준하여 발급되기 때문에 별도의 문서규정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왕세자’라는 발급 또는 수취 주체가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국왕문서 또는 왕명문서, 왕실문서 등의 범주에 혼재되어 있거나 아무런 명칭 없이 흩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만의 독자적인 특성은 주목받지 못했었다. 왕세자문서 가운데 왕세자가 신하에게 내리는 명령문서와 신하가 왕세자에게 올리는 보고문서는 국왕문서 사례와 비교해 볼 때, 왕세자와 국왕의 서로 다른 지위와 권한에 따른 문서행정 체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실례라고 할 수 있다. 현전하는 왕세자문서와 국왕문서의 실례를 비교ㆍ분석하여 왕세자가 통치자로서 국정을 운영할 때 발급 또는 수취한 문서는 모두 국왕문서의 제도 속에서 작성되고 행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문서의 양식은 기본적으로 국왕문서의 형식을 준용하되, 왕세자의 지위에 알맞은 용어와 명칭을 사용하고 문서를 발급ㆍ전달하거나 수취하는 과정에 차별성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by analyzing the orders issued by the crown prince and the documents submitted to the crown prince and comparing them with similar documents issued by and submitted to the king,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both kinds of documents and recover the writing styles of the crown prince's documents. The crown prince's documents are what the crown prince directly or indirectly issued or received, vividly showing the feature of the heir apparent of the throne. But,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wn prince's documents, very few have remained, in contrast to the abundant amount of the king's documents. And, as the former was issued in accordance with the writing styles of the latter, there was no separate writing style for the former. Even if the subject who issued or received the documents was clearly 'the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s documents have existed under the category of the king's documents or the court documents, or in scattered condition without any separate category. Thus, the crown prince's documents have not attracted specific attention. Among what can be categorized as the crown prince's documents, order documents issued by the crown prince and report documents submitted by officials to the crown prince can be said to the empirical cases where we can learn how the crown prince's documents and the king's documents are the same and different in the document administrative system in those days. With the remaining documents of both kinds, this study identified that all the documents the crown prince had issued or received were written and used in the system of the king's documents. That is, while the former applied the writing styles used in the king's documents, they were made with specific terms and titles suitable to the crown price.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procedure of issuing, delivering, and receiving documents between the two types of document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수령의 해유문서 형식과 해유절차 연구

        조미은 ( Mi-eun Jo ) 한국고문서학회 2018 古文書硏究 Vol.52 No.-

        해유문서는 조선시대 관원이 해당 직책에서 해임될 때 작성하는 인수인계문서로 解由狀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해유에 관한 제도는 고려의 解由格을 계승하여 조선 초기 신·구 수령이 교대할 때에 일의 해이해짐을 막기 위한 조치로 시행되었다. _경국대전_이 편찬되면서 ‘解由牒呈式·解由移關式’이라고 하여 해유에 관한 문서식이 법제화되었다. 이후 새로운 법령이 추가되면서 해유에 관한 규정은 더욱 구체화되고 점차적으로 보완되었다. 여러 단계를 거쳐 작성되는 해유문서의 특성상 완전한 형태와 내용을 담고 있는 사례가 매우 희소하고 대부분 단편적인 형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해유에 관한 연구 사료로써 적잖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유문서는 조선시대 경관직과 외관직의 해유, 특히 해유절차에 따른 문서행정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는 자료이자 동시에 당시 법으로 제정된 해유규정과 비교하여 해유제도의 실상을 실증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본고는 현전하는 조선후기 수령의 해유문서 사례를 통해 수령의 해유문서 형식과 해유절차에 관한 연구이다. 현전하는 100여 종의 해유문서 가운데 형태적·내용적으로 완전한 사례를 선별하여 각각의 형식과 구성내용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수령의 해유문서가 어떠한 형식으로 작성되었고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령의 해유절차를 다섯 단계로 구분하여 해유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수령의 해유문서는 국가 차원에서 지방의 재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관료제의 책임행정을 구현하기 위한 제도 속에서 문서행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is a study on Haeyu document and Haeyu procedure of the Local Governor based on the existing Haeyu documents of the late Joseon period. For the purpose, we have selected complete cases, both in form and content, among more than 100 existing Haeyu documents and identified the form and content of each document. Based on these analyses, we examined how the Haeyu documents were prepared in form and in content. We divided Haeyu procedure of the Local Governor into 5 stages and considered the Haeyu proces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Haeyu documents of the Local Governor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ere handled as a part of document administration in a system that was intended to manage local finance efficiently and to implement responsible administration of bureaucracy on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강진 해남윤씨 죽록(竹麓) 윤효관(尹孝寬) 고문헌 자료의 특성과 가치

        조미은 ( Jo Mi-e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호남학 Vol.- No.74

        본 논문은 강진 보동마을에 세거했던 해남윤씨가에 전래한 죽록 윤효관 관련 고문헌 자료의 특성과 가치에 대해 살펴본 연구이다. 자료의 전체 수량은 고문서 362종 560점, 고서 86종 93책, 유물 11종 12점으로 총 459종 665점이다. 정조대와 순조대 문신으로 활동했던 죽록 윤효관과 관련된 자료가 주를 이루며, 나머지는 윤효관 이후 직계 후손 및 집안 운영과 관련한 자료이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고문서 자료는 윤효관의 관직 진출과 이후 관직 활동 과정에서 생산된 실증자료로써 매우 의미가 있다. 이와 함께 윤효관의 인적 또는 사회적 관계망은 물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일상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간찰 자료가 다수 남아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윤효관의 관직 활동과 이후 생활 공간에 따라 강원도 영월, 충청도 제천 장락촌, 강진 보동마을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각 지역과 공간에서의 윤효관의 삶과 그 속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들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밖에 윤효관의 직계와 후손가의 가계 운영과 관련하여 세계 및 족보 편찬, 윤효관의 부친상과 처상 등 장례문화, 가족 구성원, 잡역 면제와 묘지 소송 등에 대한 해남윤씨가의 역사와 생활상도 함께 엿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있다. 고서 자료는 윤효관이 직접 과거시험을 대비하여 공부한 흔적과 관련 수험서 자료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윤효관이 관료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기 위해 참고했던 다양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윤효관의 일대기를 좀 더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윤효관의 시문집인 『竹麓遺稿』는 그의 삶과 가치관, 사상과 철학, 학문적 역량 등 윤효관의 주요이력과 일생은 물론 윤효관의 주변과 그들의 생활상까지도 함께 파악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처럼 죽록 윤효관 관련 고문헌 자료는 당대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와 의의가 있다. 향후 주요 자료에 대한 사례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면 호남지역 고문서 사례 연구, 문중 및 향촌사회사 연구 등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Juknok Yoon Hyo-gwan, which were passed down to Haenam Yoon, who lived in Bodong Village in Gangjin. The total number of data is 560 pieces of ancient documents from 362 types, 93 pieces from 86 types, and 12 pieces from 11 types, a total of 665 pieces from 459 types. The main data is related to Juknok Yoon Hyo-gwan, who served as a civil servant for King Jeongjo and Sunjo, and the rest is related to direct descendants and family management after Yoon Hyo-gwan. The documents from ancient document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number among them, are very meaningful as empirical data produced during Yoon Hyo-gwan's entry into government offices and his subsequent activities in government office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o be significant in that there are a number of interpersonal data that contain information on various daily lives that appear in the process as well as Yoon Hyo-gwan's personal or social network. In addition, it can be divided into Yeongwol, Chungcheong-do, Jangrakchon, and Gangjin Bodong Village,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glimpse of Yoon Hyo-gwan's life in each region and space and various stories contained in it. In addition, it is even more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a glimpse of the history and life of the Haenam Yoon family about the compilation of the world and genealogy, funeral culture such as Yoon Hyo-gwan's father's statue and wife's funeral, family members, exemption from miscellaneous duties, and cemetery litigation. The old book data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grasp the traces of Yoon Hyo-gwan's study in preparation for the past exams and related examination book data. In addition, various data that Yoon Hyo-gwan referred to in order to fulfill his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as a bureaucrat can be identified. It can be said to be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a more specific and empirical glimpse of Yoon Hyo-gwan's life story. 『竹麓遺稿』,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Yoon Hyo-gwan,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grasp not only his major history and life, but also his surroundings and their lives, such as his life, values, ideology and philosophy, and academic competencies. As such, ancient literature materials related to Juknok Yoon Hyo-gwan are of historical value and significance in that they can confirm and understand historical facts of the time. If case studies on major data continu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contribute greatly to case studies of ancient documents in the Honam region and research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Hyangcho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