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회공시 정보의 차별적 시장반응

        조문기(Mun-Kee Cho),김숙연(Suk-Yeon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조회공시 정보가 요구시점 및 답변시점, 답변시점에서의 답변별 유형에 따라 조회공시의 내용을 사안별로 좋은 정보(Good news)인지 또는 나쁜 정보(Bad news)인지로 구분하여 각 시점별 주가반응에 대해서 분석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의 조회공시정보가 검색 가능한 기간을 표본기간으로 설정하여 조회공시정보의 차별적 시장반응에 대해서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과 코스닥시장 상장기업들은 조회공시 요구시점과 답변시점의 내용이 좋은 정보(Good news)인 경우에는 요구시점과 답변시점을 기준으로 양(+)의 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회공시는 조회공시 요구에 대한 답변을 공시하는데 있어서 상장기업의 공시 규정에 따라 확인, 부인(사실무근), 검토 공시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공시하며, 확인, 부인(사실무근), 검토 공시의 분석 결과 연구자가 기대한대로 ‘Good news’인 경우에는 양(+)의 초과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ad news’인 경우에는 음(-)의 초과수익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회공시 정보효과를 통해서 조회공시 정보가 중요한 정보로써 공시되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현행 공시의무 사항들의 구체적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보이용자인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정보가 공시되도록 하는 한편 정보생산자인 기업의 공시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contents of inquired disclosure by the timing of disclosure and the firm"s response pattern, and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 market reaction is different between good news and bad news disclosure. To this purpose, this study tests the hypothesis that inquired disclosure is information contents and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CAR) at the event day has positive return or negative return.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sample of KSE firms, inquired disclosure generates significant stock reaction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inquired disclosure giv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of the KSE. Also inquired disclosure of KOSDAQ firms are shown to have information content. In case of good news disclosure, a firm of KSE and KOSDAQ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AR. In case of bad news disclosure, a firm of KSE and KOSDAQ have significantly negative CAR. Second, the KSE and KOSDAQ have a differential market response of inquired disclosure in Korea stock market. The mean variation of stock return of KOSDAQ firms" inquired disclosur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SE firms" inquired disclosure.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이익의 질에 관한 연구

        조문기 ( Mun Kee Cho ),김숙연 ( Suk Yeon Kim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4 세무회계연구 Vol.0 No.41

        본 연구는 최근 기업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성과와 이익의 질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대용변수(proxy variable)로 국내 선행연구에서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경제정의지수(KEJI) 를 이용하였으며, 이익의 질은 이익의 지속성을 대용변수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다양한 국내 선행연구들과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성과를 발표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성과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경제정의지수(KEJI)를 발표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된 표본은 982개(기업-년)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성과가 높은 기업은 성과가 낮은 기업에 비해 이익지속성 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성과가 높은 기업의 이익의 질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성과가 지속적인 기업이 지속적이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이익 지속성 계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 또한 기업이 수행하는 사회적 책임활동의 성과가 지속될수록 이익의 질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성과와 성과에 대한 지속성이 이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성과가 투자자들의 주요한 투자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 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성과지표로서 정성적인 평가지표를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은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Nowaday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getting much attention and the that fact CSR activities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firm value and performance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earnings quality. For this analysis, KEJI index is used as the measure of CSR activities, and also earning quality is used as the measure of earning persistence. Our sample included 982 firm-year observations among the top 200 companies of the KEJI index between 2004- 2009. The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rms group with higher performance of CSR activities have higher earnings quality. Second, firms group with continuous performance of CSR activities have higher earnings quality. In other words, the more the CSR performance continue, the more earning quality have higher. We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CSR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 persistence’s of CSR activities enhance earning quality. Furthermore the performance of CSR activities is used as a main investment index of investors.

      • KCI등재

        합병기업의 실제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조문기(Cho, Mun-Kee),곽재우(Kwak, Jae-Woo),문성훈(Moon, Seong-Hoon)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1 No.1

        일반적으로 합병기업은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합병 전 이익을 상향조정할 유인을 갖게 된다. 이에 선행연구들은 합병기업이 합병 전 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바 있다. 이익조정은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과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으로 구분된다.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은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에 비해 외부감사와 감독기관의 제재를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교적 안전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합병기업을 대상으로 합병 전 이익을 상향조정하기 위해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이 아닌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을 선호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합병기업의 합병 전 기간(3년 전부터 1년 전)에 대한 재량적 발생액과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합병 당해연도 합병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의 상향조정 보다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의 상향조정이 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합병여부를 더미변수로 한 분석에서도 합병기업은 비합병기업에 비해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의 상향조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합병 기업은 합병시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에 비해 보다 안전한 방법인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 조정을 선호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합병기업의 이익조정 행태를 재량적 발생액뿐만 아니라 실제이익조정을 통해 분석하 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Generally, the acquiring firms have a incentive to raise the earnings of firms before M&A for the purpose of profit maximization of shareholders. Th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acquiring firms had raised the earnings before M&A. The earnings management is divided into the earnings management by accruals and by real activities.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are considered as comparatively safe method in a regard that they do not receive the external audit and the regulation from supervisory institution compared to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accruals.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firms prefer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rather than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accruals to raise the earnings of firms before M&A targeting acquiring firm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during previous period of M&A(from 3 year before to 1 year before). However, we finded that the increase of earnings management by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rather than earnings management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was high during current M&A year. In additional analysis for whether M&A wold be accomplished or not as dummy variable, the increase of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regarding acquiring firms was statistically high compared to the earnings management regarding non-acquiring firms. In conclusion, we fined that the acquiring firms prefer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which was more safe method rather than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in M&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we analyzed the type of earnings management for acquiring firms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activities.

      • KCI등재

        재무분석가의 활동이 이익의 질과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조문기(Cho, Mun-Kee),최동춘(Choi, Dong-Choon)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들의 활동이 기업의 감시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회계이익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본비용을 감소시키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재무분석가의 기능 중 하나인 감시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면 경영자의 재량적 의사결정을 제한함으로써 회계이익의 질이 향상될 것이며, 회계이익의 질의 향상은 자본비용을 감소시키게 될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하였 으며, 재무분석가의 활동과 회계이익의 질을 검증하기 위해 1,529개, 재무분석가의 활동과 자본비용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698개의 표본이 이용되었다. 재무분석가의 활동은 선행연구에 따라 이익예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분석가의 수로 측정하였으며, 회계이익의 질은 재량적 발생액의 잔차와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자본비용은 GM 모형, MPEG 모형, PEG 모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상대로 재무분석가의 활동은 재량적 발생액의 잔차와 표준편차를 감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무분석가의 활동이 회계이익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둘째, 재무분석가의 활동은 자본비용을 감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재무분석가는 기업의 효과적인 외부감시주체 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회계이익의 질의 향상과 자본비용의 감소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 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활동과 회계이익의 질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본비용 간의 관계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examined whether the activities of analysts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accounting earnings and reduce the cost of capital by strengthening the monitoring function of firms. The main research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when(if) the monitoring function, which is the one of functions of analysts, would perform properly, then the quality of accounting would be improved by limiting the discretion of the managers and the improvement of earnings quality would reduce the cost of capital. The empirical analysis samples consist of firms which were listed in the Korean Stock Change(Market) from 2005 to 2010. The 1,529 sampl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 activities of analysts and the earnings quality and the 698 sampl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analysts and the cost of capital. The analysts’ activity was measured by number of analysts according to research method of previous studies and the cost of capital was measured by using the models of GM, MPEG, PEG.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s like expectation, the activities of analysts reduced the residual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is result means that the activities of analysts improved the quality of accounting earnings. Second, the rel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analysts and the cost of capital hav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and this result means that the activities of analysts reduced the cost of capital. In summary,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activities of analysts improved the earnings quality and reduced the cost of capital and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at the activities of analysts decreased the cost of capita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업사원들의 일-가정 갈등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광주(Jo, Kwang-Joo),조문기(Cho, Mun-Kee)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4

        최근 산업사회로부터 지식사회로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일과 가정사이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이 두 영역의 갈등은 당사자인 영업사원의 삶의 질과 건강만 해칠 뿐 아니라 가족구성원, 직장동료, 나아가 조직의 성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수준에 걸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일과 가정사이의 갈등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과 가정사이 갈등으로 힘들어하는 영업사원을 조사하여 일과 가정사이의 상호 역할관계를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과 가정사이 갈등을 WIF(work interference with family:일 초래 갈등), FIW(family interference with work:가정초래 갈등)으로 분류하였고, 이 갈등 요인들이 가족 또는 회사 상사, 동료의 사회적 지원과 기업의 제도적 지원으로 얼마나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보험회사에 근무하는 직장인 10명과 자동차에 근무하는 직장인 7명을 심층면접 설문 조사 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업사원들이 일과 가정사이 개체들의 깊은 부정적 갈등관계를 확인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직장, 가정 내 조절 장치들 중 효과적으로 이 갈등을 줄이는 지원요소들의 긍정적 작용과 부정적 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의 사회적 지원은 업무에 큰 영향을 가져왔으나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원은 시기, 질투를 야기하였고, 기업의 제도적 지원은 조직기강의 해이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일과 가정사이 갈등을 더욱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정량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and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were re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ales persons who has relatively more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In addition, these conflicts were studied how to adjust the factors of conflict by family’s social supports and Supervisory and Coworkers’ social support, and how family friendly support system from their companies to adjust the conflicts between work- family.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 question survey of 10 insurance sales and 7 car sales, we have foun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of all, WIF of sales person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such as role overload, job conflict and job ambiguity. In second, FIW of sales person was classified as husband and wife conflict, and economic conflict. Considering these kinds of family induced conflict, sales person could face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WIF). In third, moderating role from social support to FIW which gives negative effect to sales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From this study, social support and company’s support system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the results implied an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research constructs.

      • KCI등재

        공급사슬 상의 MFCA(물질흐름원가회계) 기법의 확대 적용 사례

        김종대 ( Jong Dae Kim ),조문기 ( Mun Kee Cho ),안형태 ( Hyoung Tae An ),김연복 ( Yeon Bok Kim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사슬상의 MFCA기법의 확대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MFCA는 제품의 제조 전과정(product life-cycle)을 원재료 등의 물질(material)의 흐름으로 보고 각 물질이 생산공정을 어떻게 이동(flow)하고 체류(stock)하며, 어디에서 제품과 폐기물로 나누어지는지를 파악하여 폐기물 원가를 정확히 측정하고 관리하는 환경회계기법이다. H社를 협력모기업으로 하고 공급사슬 상에 있는 협력기업인 S社, Y社 그리고 D社를 대상으로 H社가 완성품으로 판매하고 있는 셋탑박스 제품 CD-1004iS에 대해 MFCA를 적용하였다. 모기업은 제조공정이 없이 원재료를 구입하여 협력기업에 제공하고 부품을 납품받고 있으며, S社와 Y社가 납품한 부품을 D社는 조립하여 H社에 최종 납품한다. 각 협력업체에 대한 MFCA 적용 뿐 아니라 모기업 입장에서 전체 공급사슬의 MFCA 적용 결과를 도출하여 물질 및 원가의 손실금액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공급사슬에 대한 MFCA의 적용으로 모기업 입장에서 원가와 물질관리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개선과제를 도출하였으며, 공급사슬 전체의 효율 향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잠재적 효익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상의 손실의 분석(크기 및 우선순위 등)을 통해 수직관계가 아닌 수평 관계로써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바람직한 그린공급사슬관리(GSCM)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MFCA를 개별 기업에 적용할 경우에는 얻을 수 없는 혜택이며 향후 MFCA는 그린공급사슬관리의 환경경영전략 수단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본 연구는 보여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apply MFCA(material flow cost accounting) to the supply chain. MFCA analyzes the material and cost flows of target production processes in order to measure and manage material loss and related loss costs. It analyzes the flow and stock of materials including raw materials and energy through the product life-cycle to figure out good and bad products and their costs. This case studies CD-1004iS(set-top box) produced from the supply chain consisting of a buyer firm and three suppliers. Of them S and Y companies provide D company with parts for the set-top box, so the D company assembles them with the other parts to complete 1004is. The buyer firm H finally sell them to the customer.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MFCA to the supply chain as well as individual companies reveal the amounts and location of materials loss. It facilitates spotting of problem areas and helps derive improvement measures with the potential benefits from the improvement.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green SCM using MFCA by the improvement, which cannot be attained from MFCA for individual company. It proves that MFCA will be widely used as useful tool for green SCM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최대주주지분율에 따른 이익의 정보유용성 차이

        곽종민(Kwak Jong Min),조문기(Cho Mun Kee) 글로벌경영학회 201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최대주주지분율과 이익의 정보효과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최대주주지분율과 기업가치 및 이익의 정보유용성 간의 관계를 검증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최대주주지분율의 수준에 따라 이익의 정보효과는 차별적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최대주주지분율이 낮은 구간에서는 최대주주와 소액주주 간의 이해관계가 일치할 것이나,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특정 수준을 넘어서면 최대주주는 소액주주의 이익을 침해하려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주주지분율의 구간에 따라 이익의 정보효과가 나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전체적으로 최대주주지분율이 높아질수록 이익의 정보유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간별로 이익의 정보유용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격자탐색기법으로 찾은 3구간 모형(채택모형)의 설명력은 구간을 나누지 않은 모형(비교모형1)과 중위수로 2구간으로 나눈 모형(비교모형2)에 비해서는 높게 나타났으나, 3분위수로 구간을 나눈 모형(모형3)에 비해서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대주주지분율의 변화에 따라 구간별로 이익의 정보유용성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향후 이익의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지분율의 수준에 따라 이들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 between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and earnings informativeness. Different relations are expected as economic factors work in different manner according to the level of share ownership. That is, earnings informativeness is expected to enhance as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grows. On the low level of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the agency problems between the largest shareholders and minority s are not serious. Thus, managers put all the efforts to maximize the corporate value to avoid the market pressure. This is called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But, if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goes beyond a certain level the largest shareholder seeks his interest in the expense of minority shareholders wealth rather than cope with the market pressure. If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goes beyond the level, his interest is aligned with other shareholders as the largest shareholders cash-flow gets more important. Consequently, the correlation between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and earnings informativeness is expected to become strong again. To briefly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thesis, firstly, the earnings informativeness improves as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increases but it depends on the level of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In the 1st section (less than 29% of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earnings informativeness is weak, in the 2nd (from 29% to 39% of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strong earnings informativeness is seen, and the 3rd section(more than 40% of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shows the weak earnings informativeness again. The thesis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and earnings informativeness in that it proves that they do not have monotonic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