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브랜드 세계화를 위한 브랜드자산에 영향을 주는 마케팅 믹스요인에 관한 연구

        조명자(Myung-Ja Cho),곽수영(Su-Young Kwak) 한국무역연구원 2011 무역연구 Vol.7 No.1

        In today's society, as brand plays an essential role to make consumers aware of the difference of products, brand has become more important means in companies' marketing activities. Based on this view,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marketing mix, and explores factors that affect brand globalization and consumer-based brand equity through literature review. Also, by studying how companies' marketing strategies for brand globalization affect brand equity, the paper proposes new direction on brand equity management.

      • KCI등재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안현옥(Ahn Hyun Ok),조명자(Cho Myung J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행복감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유아에게 총 10회기의 숲 체험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후 숲 체험활동 실행 전과 후에 두 집단의 감성지능과 행복감을 교사가 평가한 후 비교한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평가한 실험집단 유아의 숲 체험 활동 후 감성지능 총점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숲 체험 활동은 감성지능의 하위영역 중 자기조절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평가한 실험집단 유아의 숲 체험 활동 후 행복감 총점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숲 체험 활동은 행복감의 하위영역 중 또래관계, 인지 및 성취, 몰입, 영성, 정서, 생활만족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숲 체험활동을 통한 유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orests activities on five year-ol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feeling of well-being. For these purposes, infa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only the experiment group 10 times took part in forests activities. Then the differences were done between the two groups of infants concern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feeling of well-being.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designed and conducted. The survey of this research was answered by teachers for each student. The result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forests activitie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feeling of well-being. Concerning help in building emotional intelligence, especially significant effectiveness was seen in the ability to self control of those individuals who took part in the forest program. Also, according to this study forest activities turned out to help infants increase a feeling of well-being. Above all things, significant effectiveness was seen in the domains of peer relationships, cognitive ability, a sense of achievement, exceptional powers of concentration, spirituality, emotion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of life, and so on of those individuals who took part in the forest program. Based on these studies, to promote infants' mental health through forest activities practical and political alternatives were discussed in the stu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